말·넋·삶 79 물구나무서기



  우리는 새·하늬·마·높(동서남북)으로 네 곳을 가르기도 합니다. 그러나, 어느 쪽을 새녘이나 하늬녘이라 하든, 이곳은 다른 데에서 보면 마녘이나 높녘이 됩니다. 새녘이라 할 곳은 따로 없고, 높녘이라 할 곳도 따로 없습니다. 어느 곳이든 언제 어디에서나 ‘한복판’이 됩니다.


  한복판이란 어떤 곳인가 하면 ‘바로 여기’입니다. 어느 쪽으로도 기울어지지 않는 자리가 한복판입니다. 왜 ‘어느 곳이든 언제 어디에서나 한복판이 되는가’ 하면, 참말 어느 곳이든 모두 한복판일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왼쪽과 오른쪽은 없습니다. 위와 아래도 없습니다. 이러한 이름은 늘 ‘나’를 한복판에 놓고서 말합니다. 다시 말하자면, ‘내가 바라보는 눈길’에 따라서 새와 하늬가 갈리고, 왼쪽과 오른쪽을 나눕니다. 내가 바라보는 눈길이 없다면, 우리는 어느 곳도 알 수 없습니다.


  지구별에서는 북반구와 남반구를 말하는데, 북반구라고 해서 똑바로 서지 않고, 남반구라고 해서 물구나무서기를 하지 않습니다. 북반구이든 남반구이든, 또 적도이든, 사람들은 저마다 ‘똑바로 서’고 ‘한복판에 있’습니다.


  한국으로 치면, 제주섬이 마녘에 있는 데가 아닙니다. 제주섬으로 치면 제주섬이 한복판입니다. 우리는 서울에서 다른 시골로 ‘내려가’지 않습니다. 우리는 이곳에서 저곳으로 갈 뿐입니다. 우리가 움직이는 길에서는 언제나 ‘이 한복판’에서 ‘저 한복판’으로 갑니다. 그러니까, 우리는 ‘이 한복판’에서 ‘저 한복판’으로 가지 않는다면, 움직임이 생길 수 없습니다. 모든 움직임은 ‘오롯한 하나’에서 ‘다른 오롯한 하나’로 갑니다.


  해에는 위나 아래가 있을까 생각해 볼 노릇입니다. 별에 위나 아래가 있을까 헤아릴 노릇입니다. 해나 별이나 지구에서 위나 아래를 따지려 한다면, 아무것도 알 수 없습니다. 온누리에서 위아래를 따질 적에는 참모습을 볼 수 없습니다. ‘위’를 말하면 위는 언제나 곧바로 ‘아래’가 되고, ‘아래’를 말하면 아래는 늘 막바로 ‘위’가 됩니다.


  물구나무서기를 합니다. 두 손으로 땅을 짚고 두 발은 하늘을 밟습니다. 두 손으로 땅을 짚으며 문득 생각합니다. 여느 때에는 땅을 두 발로 밟는 동안 두 손으로 하늘을 짚었구나 하고요. 그러니까, 우리는 늘 언제 어디에서나 하늘을 두 손으로 짚으면서 사는 숨결입니다. 온별누리(은하계) 하늘을 늘 두 손으로 짚으면서 살아요.


  우주선을 타면 알 테지만, 우주선에서는 위나 아래가 없습니다. 거꾸로 나는 우주선은 없습니다. 늘 날아야 할 자리로 날 뿐입니다. 사람 몸에는 손과 발이 있는데, 왜 손과 발이 있느냐 하면, 손은 언제나 하늘을 짚어야 하고, 발은 언제나 땅을 밟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사람 몸에 깃든 넋에는 손이나 발이 있을까요? 없겠지요. 넋이 생각을 지어서 심는 마음에는 손이나 발이 있을까요? 마음에 왼쪽이나 오른쪽이 있을까요? 사랑이나 꿈에 위아래가 있을까요? 넋이나 마음이나 사랑이나 꿈을 크기로 따질 수 있을까요? 큰 마음이나 작은 마음이 있을까요?


  별에는 ‘별힘(당김힘, 중력)’이 있습니다. 별힘은 무엇인가 하면, 별이 당기는 힘입니다. 그래서, 어느 별에서든 몸이 살려면 발이 있어서 땅을 밟아야 합니다. 어느 별에서든 ‘한복판’이 있기 마련이고, 한복판이 한 곳 따로 있기에, 이곳을 바탕으로 위아래나 옆이나 새·하늬·마·높 같은 자리를 따집니다.


  온별누리에는 ‘온별누리힘’, 다시 말하자면 ‘온힘’이나 ‘누리힘’이 있습니다. 온힘이나 누리힘에는 위아래나 크고작음이 없어서 모든 것이 언제나 모든 자리에서 새로운 기운이 됩니다. 온별누리에서는 한복판이 없습니다. 모든 곳이 한복판입니다. 그러니 ‘별힘(당김힘, 중력)’이 없어서 우리를 어느 한쪽으로 끌어당기지 않습니다. ‘모든 곳(온 곳)이 ‘모든 것(온 것)’이 됩니다.


  별을 바라볼 적에 삶을 배우고, 별누리를 살필 적에 넋을 살피며, 온별누리를 헤아릴 적에 사랑을 헤아립니다. 삶에는 바탕이 되는 한복판이 있습니다. 넋에는 위아래나 크기가 없습니다. 사랑은 가없이 넉넉하면서 끝없이 포근합니다. 별(지구별)에서는 따로 물구나무서기를 해야 하지만, 이 별에서 몸이라는 옷을 살며시 벗고 온별누리로 나아가는 숨결이 되면, 늘 홀가분하게 ‘고요춤’을 추는 새로운 밤무지개빛이 됩니다. 4348.3.22.해.ㅎㄲㅅㄱ


(최종규/숲노래 . 2015 - 람타 공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