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넋·삶 74 안 보일 때, 보일 때


  낮이 저물고 밤이 되면 둘레가 온통 깜깜합니다. 이제 빛이 없는 때입니다. 빛이 없으니 눈으로 알아볼 수 없는 모습입니다. 빛이 있을 적에는 온갖 빛깔이 알록달록 드러나는데, 빛이 없을 적에는 모두 까맣기만 합니다. 게다가 어느 것도 눈에 안 보이니까, 있는지 없는지 알 길이 없습니다.

  낮에서 밤으로 접어들 적에 마음을 차분히 가라앉히면서 눈에 기운을 모으면, 차츰 눈이 밝게 트입니다. 사람한테는 낮눈과 함께 밤눈이 있어요. 안 보인다고 하는 생각에 사로잡히면 그야말로 아무것도 못 보고 말지만, 내 밤눈을 생각하면서 차분히 기다리면 밤눈이 천천히 뜨입니다.

  어떤 사람은 밤눈이 아닌 다른 눈으로 봅니다. 적외선을 볼 수 있다면 아무리 어둡더라도 환하게 알아볼 수 있습니다. 어떤 사람은 따로 장치를 눈에 씌워서 볼 테고, 어떤 사람은 맨눈으로도 적외선을 보겠지요. 그러면, 안 보이기에 두렵거나 무섭고, 보이기에 안 두렵거나 안 무서울까요? 우리는 어떤 눈으로 무엇을 볼까요?

  바닷속을 들여다볼 수 있기에 바닷물을 두려워 하지 않는 사람이 있습니다. 바닷속을 들여다볼 수 있지 않으나 헤엄을 칠 줄 알아서 바닷물을 두려워 하지 않는 사람이 있습니다. 그리고, 헤엄을 칠 줄 알고 바닷속을 들여다볼 수 있는데 두려워 하는 사람이 있어요. 바닷속에서 무섭다 싶은 것을 보았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어느 한 사람한테는 무서운 것’이 ‘어느 한 사람한테는 아무것도 아닐’ 수 있습니다. 한 사람은 두려움에 떨지만, 한 사람은 느긋하면서 차분하지요.

  1억 원에 이르는 돈을 손에 쥐었지만 두려워 하는 사람이 있고, 1억 원에 이르는 돈을 손에 쥐었기에 두려워 하지 않는 사람이 있습니다. 돈이 한푼조차 없으나 두려워 하지 않는 사람이 있고, 1억 원에 이르는 돈은 도무지 손에 쥘 수 없다는 생각에 두려워 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보는 눈’이란 무엇일까요? 겉모습을 보기에 ‘보는 눈’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 ‘못 보는 눈’이나 ‘안 보는 눈’이란 무엇일까요? 겉모습을 못 보면 ‘못 보는 눈’일까요? 겉이나 속 어느 것도 안 쳐다보려고 하면 ‘안 보는 눈’일까요?

  같은 책을 놓고 읽는 두 사람이 있는데, 한 사람은 책에 깃든 참이나 거짓을 느끼거나 헤아리지 못합니다. 다른 한 사람은 책에 깃든 참이나 거짓을 느끼거나 헤아립니다. 참이나 거짓을 ‘보는 눈’은 어떤 눈일까요? 참이나 거짓을 ‘못 보는 눈’이나 ‘안 보는 눈’은 어떤 눈일까요? 몸에 있는 눈으로 얼굴이나 차림새를 알아본다고는 하지만, 마음속을 알아보지 못한다면, 우리는 ‘보는 눈’일까요 ‘못 보는 눈’일까요 ‘안 보는 눈’일까요? 삶을 이루는 사랑과 꿈을 알아보지 못하면, 우리는 ‘뜬 눈’일까요 ‘감은 눈’일까요?

  어떤 것이 코앞에 있어도 안 보일 수 있습니다. 어떤 것이 아주 멀리 있어도 보일 수 있습니다. 어떤 사람을 코앞에 두고도 안 볼 수 있으며, 어떤 사람이 대단히 멀리 떨어진 데 있어도 서로 마주볼 수 있습니다.

  우리는 누구나 ‘몸에 달린 눈’으로만 바라보지 않습니다. ‘몸에 깃든 마음’으로도 함께 보기 마련입니다. 이제 하나하나 헤아려야 합니다. ‘몸에 깃든 마음’ 가운데 어떤 눈으로 서로 마주보거나 바라보는가를 헤아려야 합니다. 네 마음을 알아보지 못한다면 내 ‘마음눈’은 무엇인지 헤아려야 하고, 우리 마음이 하나가 될 수 있다면 내 ‘마음눈’은 어느 자리에 있는지 헤아려야 합니다. 마음눈을 뜨는 사람은 두려움이 없습니다. 마음눈을 안 뜨는 사람은 두려움에 사로잡힙니다. 마음눈을 활짝 열지 않으면 참이나 거짓을 알 수 없기도 하지만, 사랑과 꿈으로 나아가지 못하기도 합니다. 마음눈을 활짝 열 때에 비로소 참과 거짓을 환하게 알아볼 뿐 아니라, 참과 거짓을 넘어 사랑과 꿈으로 곱게 거듭나는 삶으로 나아갑니다. 4348.3.19.나무.ㅎㄲㅅㄱ

(최종규/숲노래 . 2015 - 람타 공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