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말도 익혀야지

 (1109) 잉꼬/잉꼬부부


  아주 사이가 좋은 부부를 두고 ‘잉꼬부부’ 같은 말을 흔히 씁니다. 한국말사전을 찾아보면, ‘잉꼬’라는 새 이름은 일본말 ‘inko(鸚哥)’에서 왔다고 하면서 ‘원앙부부’로 고쳐서 쓰라고 나옵니다. 그런데, 한국에는 예부터 ‘사랑새’가 있습니다. 서양에서 ‘펠리컨(pelican)’이라고 일컫는 새를 두고도, 한국에서는 예부터 ‘사다새’라 했어요. 한국에 없는 새라면 이름이 따로 없을 테지만, 한국에 있는 새이기에 예부터 한국말로 곱게 지어서 가리키는 이름이 있어요.


  아주 사이가 좋은 부부라면 한국말로는 ‘사랑새 부부’처럼 쓰면 됩니다. 굳이 새를 빗대지 않아도 될 테니 ‘사랑부부’처럼 써도 잘 어울려요. 부부가 아닌 둘 사이가 아주 좋거나 서로 살뜰히 아끼는 사이라고 하면 ‘사랑동무’나 ‘사랑벗’이나 ‘사랑님’처럼 쓸 수 있어요. 그리고, ‘찰떡동무·찰떡님·찰떡부부’라든지 ‘깨소금동무·깨소금님·깨소금부부’ 같은 이름을 새롭게 써 볼 만합니다. 또는 ‘한마음동무·한마음님·한마음부부’라든지 ‘한사랑동무·한사랑님·한사랑부부’ 같은 이름을 지어 볼 만해요. 4348.8.21.쇠.ㅅㄴㄹ



아빠와 엄마는 ‘잉꼬 부부’였잖니

→ 아빠와 엄마는 ‘사랑새 부부’였잖니

→ 아빠와 엄마는 ‘한사랑부부’였잖니

→ 아빠와 엄마는 ‘한마음부부’였잖니

《서갑숙-나도 때론 포르노그라피의 주인공이고 싶다》(중앙엠엔비,1999) 276쪽


수탉이 암탉과 잉꼬부부처럼 잘 다니다

→ 수탉이 암탉과 사랑부부처럼 잘 다니다

→ 수탉이 암탉과 깨소금부부처럼 잘 다니다

→ 수탉이 암탉과 찰떡부부처럼 잘 다니다

《강수돌-더불어 교육혁명》(삼인,2015) 183쪽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