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2299) 과거의


 과거의 습관

→ 예전 버릇

→ 옛 버릇

→ 지난날 버릇

 과거에 교사 생활을 한 적이 있다

→ 지난날에 교사로 일한 적이 있다

→ 예전에 교사 일을 한 적이 있다

→ 지난 한때 교사로 있던 적이 있다


  ‘과거(過去)’는 “1. 이미 지나간 때 2. 지나간 일이나 생활”을 뜻합니다. 흔히 ‘과거·현재·미래’처럼 묶어서 씁니다. 그런데, 한국말로는 ‘지난날·오늘날·앞날’이거나 ‘어제·오늘·모레’입니다.


  ‘과거’라는 한자말을 쓰려고 한다면 알맞게 쓸 수 있습니다. 다만 “과거의 습관”처럼 쓸 일은 없습니다. “옛 버릇”이라 하면 되니까요. “과거를 속이다”나 “과거를 캐다”는 “옛일을 속이다”나 “지난 일을 캐다”처럼 손질해서 쓸 만합니다.


  지나간 때나 날이라면 ‘지난때·지난날’ 같은 낱말을 새롭게 지어서 쓰면 됩니다. 지나간 해라면 ‘지난해’ 같은 낱말을 쓰면 돼요. 한국말사전을 살피면 ‘지난때’는 안 나오지만, ‘지난날·지난달·지난해’ 같은 낱말은 나옵니다. 한국말로는 ‘지난-’이나 ‘옛-’을 앞가지로 삼아서 쓰면 되고, 글흐름을 살피면서 ‘예전’이나 ‘지나간’이나 ‘묵은·해묵은’ 같은 낱말을 쓰면 됩니다. 4348.8.4.불.ㅅㄴㄹ




굽신굽신 머리를 숙이고 드나들었던 일은 지난 과거의 옛이야기가 되고 말았다

→ 굽신굽신 머리를 숙이고 드나들었던 일은 옛이야기가 되고 말았다

→ 굽신굽신 머리를 숙이고 드나들었던 일은 지나간 이야기가 되고 말았다

《랠프 랩/표문태 옮김-핵전쟁》(현암사,1970) 40쪽


그러나 이것은 과거의 이야기다

→ 그러나 이것은 지나간 이야기이다

→ 그러나 이것은 흘러간 이야기이다

→ 그러나 이것은 옛날이야기이다

→ 그러나 이것은 해묵은 이야기이다

《P.우드링/홍웅성 옮김-미국의 고등교육》(탐구당,1972) 100쪽


더는 과거의 방식으로 살 수 없었다

→ 더는 옛 방식으로 살 수 없었다

→ 더는 옛날처럼 살 수 없었다

→ 더는 낡은 틀로 살 수 없었다

→ 더는 고리타분하게 살 수 없었다

《크리스 하먼/천경록 옮김-민중의 세계사》(책갈피,2004) 39쪽


도시야 같은 아이는 과거의 일들을 자기 안에서 언어를 통해 분류하고 정리해서 기억하는 것이 아니라

→ 도시야 같은 아이는 지난 일을 제 안에서 말로 가르고 나누어서 떠올리지 않고

→ 도시야 같은 아이는 예전 일을 제 안에서 말로 가르고 나누어서 되새기지 않고

《기류 유미코/송태욱 옮김-나는 아들에게서 세상을 배웠다》(샨티,2005) 103쪽


‘그래픽 디자인’이라는 말을 과거의 것으로 돌리지 말고 그 내용을 진화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 ‘그래픽 디자인’이라는 말을 낡은 것으로 돌리지 말고 그 알맹이를 새롭게 살려야 한다

《하라 켄야/민병걸 옮김-디자인의 디자인》(안그라픽스,2007) 236쪽


기자간담회 직후 따로 만난 조정래에게 과거의 발언을 상기시킨 뒤, 노무현 정부에 대한 현재의 소회를 물었다

→ 기자모임을 마치고 따로 만난 조정래한테 예전 말을 되새긴 뒤, 노무현 정부를 요즈음 어떻게 보는지 물었다

《이명원-말과 사람》(이매진,2008) 47쪽


저 사람들은 과거의 사람들이다. 하지만 난 아니다

→ 저 사람들은 옛날 사람들이다. 그렇지만 난 아니다

→ 저 사람들은 지나간 사람들이다. 그러나 난 아니다

《김민희-젤리장수 다로 1》(마녀의책장,2010) 52쪽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코제트 2015-08-05 18:15   좋아요 0 | URL
고맙네요 ^^.

숲노래 2015-08-05 18:52   좋아요 0 | URL
읽어 주시는 분들이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