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말을 죽이는 외마디 한자말

 (1378) 즉卽


 사 년 전, 즉 1946년 봄 평남 진남포에서

→ 네 해 앞서, 그러니까 1946년 봄 평남 진남포에서

→ 네 해 앞서, 곧 1946년 봄 평남 진남포에서

 힘은 즉 옳음이었다. 약함은 즉 죄였다

→ 힘은 바로 옳음이었다. 약함은 곧 죄였다


  ‘즉(卽)’은 “1. 다시 말하여 2. 다른 것이 아니라 바로”를 뜻한다고 합니다. 그러니까, 한국말로는 “다시 말하여”나 “바로”로 고쳐서 쓰면 되는 셈입니다. 아니, 예전부터 이러한 한국말을 널리 썼으리라 느낍니다. 그리고 “그러니까” 같은 말도 함께 썼을 테고요.


  ‘卽’이라는 한자는 “곧 즉”으로 풀이합니다. 다시 말하자면, 한국말은 ‘곧’이고, 이를 한자말로는 ‘卽’으로 적는다는 뜻입니다. 영어로는 ‘so’를 쓸 텐데, 글흐름을 살피면 ‘곧·그러니까·바로’를 비롯해서 ‘그래서’나 ‘이리하여’나 ‘늘·언제나’를 넣을 만합니다. “약함은 즉 죄였다”는 “약함은 곧 죄였다”나 “약함은 늘 죄였다”처럼 고쳐쓰면 잘 어울려요. 4348.8.2.해.ㅅㄴㄹ




우리는 어떤 대상을 바라보더라도 마음속으로는 이전에 보았던 다른 대상을 바라본다. 즉 우리는 새로운 꽃을 바라보더라도

→ 우리는 어떤 것을 바라보더라도 마음속으로는 예전에 본 다른 것을 바라본다. 곧 우리는 새로운 꽃을 바라보더라도

《데즈먼드 모리스/김동광 옮김-맨워칭》(까치,1994) 463쪽


개인 무역상들은 일반적으로 다른 시스템, 즉 선박무역을 신봉했다

→ 개인 무역상들은 으레 다른 틀, 그러니까 배 무역을 믿었다

《존 아일리프/이한규·강인황 옮김-아프리카의 역사》(이산,2002) 242쪽


즉 앞서 경찰의 대사에서 언급되듯 유대인이라는 이유로

→  앞서 경찰이 한 말에서 나오듯 유대인이라는 까닭으로

→ 그러니까 앞서 경찰이 한 말에서 나오듯 유대인이기 때문에

《노시내-스위스 방명록》(마티,2015) 136쪽


1776년의 독립,  혁명에 의해 탄생한 신흥국가 미국에서는

→ 1776년 독립,  혁명으로 태어난 새 나라 미국에서는

→ 1776년 독립, 이리하여 혁명으로 생겨난 새 나라 미국에서는

《나카마사 마사키/김경원 옮김-왜 지금 한나 아렌트를 읽어야 하는가?》(갈라파고스,2015) 175쪽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