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적나라한 결혼생활 : 3년째 ㅣ 적나라한 결혼생활 2
케라 에이코 지음, 심영은 옮김 / 21세기북스 / 2015년 3월
평점 :
절판
만화책 즐겨읽기 525
한집살이 세 해쯤 되면 두 사람 모습은?
― 적나라한 결혼생활, 3년째
케라 에이코 글·그림
심영은 옮김
21세기북스 펴냄, 2015.3.6.
만화책 《아따맘마》를 그린 케라 에이코 님이 빚은 《적나라한 결혼생활, 3년째》(21세기북스,2015)를 읽습니다. ‘적나라한 결혼생활’이라는 이름을 내걸고 ‘신혼편’하고 ‘결혼편’하고 ‘3년째’하고 ‘7년째’, 이렇게 네 권이 한꺼번에 한국말로 나왔습니다. 이 네 가지 가운데 한집살이를 한 지 세 해가 되었다는 이야기를 맨 먼저 읽어 봅니다. 한집살이 세 해쯤 되면 어떤 이야기가 흐를 만할까 하고 가만히 들여다봅니다.
‘집에 혼자 있는 게 좋아! 행복하다!’ 부웅. ‘회사에 다니는 사람들은 방귀 어떻게 뀌려나.’ (9쪽)
“화장실에 책 들고 들어가지 마! 밥 먹으면서 책 읽기도 하잖아!” “봐! 괜찮아. 응가 같은 거 안 묻히니까!” “그래도 냄새가.” (40쪽)
케라 에이코 님은 집에서 지내며 만화를 그리고, 이녁 곁님은 회사를 다닙니다. 집일은 만화를 그리는 분이 도맡고, 밥도 집에서 지내는 사람이 도맡습니다. 회사를 다니는 사람은 집일을 잘 모르고, 밥짓기도 잘 못하는구나 싶습니다. 이 같은 모습은 예나 이제나 비슷하구나 싶고, 한국이나 이웃나라도 비슷하구나 싶습니다. 참말 안 달라지는 모습이라고 할까요. 아무리 성평등을 말한다고 하더라도, 정작 한집살이를 하면서 ‘집 바깥’으로 나가서 돈을 버는 일을 하는 사람은 집일이나 집살림에 눈길을 못 둔다고 할까요.
그나저나, 회사에 다니는 사람은 방귀를 어떻게 뀔까요? 어쩌면 소리를 죽이고 뀔는지 모르고, 살짝 뒷간을 다녀오거나 담배를 태우려고 바깥으로 나가서 뀔는지 모릅니다. 방귀가 나오려 하면 끝까지 참을는지 모르고, 회사일이 끝날 때까지 꾹 누르다가 회사를 나서기 무섭게 뀔는지 모릅니다.
바깥일이 바빠서 방귀를 뀔 겨를이 없을 수 있습니다. 회사일을 하지만, 정작 회사에 눌러앉지 않고 이곳저곳 돌아다니면서 일을 보느라, 길에서 거리낌없이 뀔 수 있습니다. 일터에서 다른 사람이 듣거나 말거나 씩씩하게 뀔 수 있어요.
‘부부도 오래되면 완전히 순수한 상태가 된다. 언제 누가 침실로 들어와도, 천사처럼 잠든 얼굴.’ (69쪽)
“밖에서 아내 험담을 하는 게, 남자의 자존심이야. 시시하다고 생각한다면, 자신부터 먼저 자존심을 버려.” “싫어엉! 아내는 미인이고, 재능 있는 요리 천재란 말이야앙!” “자존심이 너무 없어!” (79쪽)
한집살이를 오래 했기에 두 사람이 해맑은(순수한) 마음이 된다고는 느끼지 않습니다. 사람은 누구나 처음 태어날 적부터 해맑은 마음이라고 느껴요. 해맑은 마음으로 무럭무럭 자라면서 뛰놀다가 학교를 다니고 회사를 다니고 사회에서 온갖 일에 치이면서 차츰차츰 해맑은 마음이 스러지거나 옅어지는데, 한집살이를 하는 두 사람이 서로 아끼고 믿고 사랑하는 동안, 이 해맑은 마음이 새롭게 깨어나지 싶습니다.
그러니까 처음부터 해맑은 마음이던 두 사람이 한동안 툭탁거릴 수 있지만, 하루 이틀 한 해 두 해 한집살이를 하면서, 미움도 시샘도 싫음도 털어내고, 좋음도 반함도 반가움도 가만히 내려놓으면서 고요한 마음으로 거듭나는구나 하고 느낍니다.
“앗! 목욕타월이 뛰어다녀요!” “아니, 그게, 흉측한 꼴로 있어서.” “남편 분도 고생이 많으시네요.” “네에, 뭐어.” ‘하지만 이번 일로 저 녀석도 역시 질렸겠지.’ (108쪽)
“아, 맞다. 다이어리 올해 속지 사는 걸 잊고 있었네.” “엇, 그럼 백화점 가? 백화점 가야겠네! 같이 가 줄게, 응? 응? 다이어리 내가 사도 괜찮아!” “어쩔 수 없군.” … “봤어! 당신! ‘내 쇼핑에 같이 가 준다’는 식으로 말해 놓고. 그 잔뜩 쓰인 메모는 뭐야?” (123∼124쪽)
집에서 가벼운 옷차림으로 지냅니다. 뒤꼍이나 마당에서 일할 적에도 가벼운 차림새입니다. 시골에서 흙일을 하는 사람은 멋지거나 예쁜 옷을 차리는 일이 드뭅니다. 수수한 차림이면서 가벼운 옷입니다. 옷으로 뽐내거나 그럴듯하게 보일 까닭이 사라지면서, 한결 스스럼없는 사이가 되고, 겉모습이 아닌 속마음으로 삶을 읽고 사랑을 노래하는 사이로 달라지리라 느낍니다.
한집에서 오래도록 지내는 삶이라면 바로 ‘한마음’ 되기로 나아가는 삶이리라 봅니다. 한집에서 어깨동무를 하는 삶벗이 되면, 두 사람은 ‘한넋’이요 ‘한사랑’이며 ‘한꿈’을 가꾸는 아름다운 숨결로 거듭나는 하루이리라 봅니다.
그러나, 툭탁거림을 그치지 못한 나머지 두집살이로 갈라질 수 있습니다. 두 마음이 끝내 두 마음으로 갈라지기만 할 뿐, 한마음으로 엮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마음속에 깃든 고요하고 아름다우며 사랑스러운 넋을 바라보면서 해맑게 어루만질 때에, 두 사람이 이루는 한집살이는 맑은 웃음이랑 밝은 노래로 아침마다 기쁘게 열리리라 생각해요.
그러고 보면, 혼인을 해서 지내는 삶은 ‘좋음 싫음’이나 ‘좋음 나쁨’으로 가를 수 없습니다. 더 좋아지려고 한집살이를 하지 않고, 더 나빠지지 않으려고 두집살이를 하지 않습니다. 두 사람은 고우면서 착하며 참다운 사랑을 바라보면서 한 걸음씩 나아가고 싶기 때문에 한집살이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한집살이를 아홉 해째 하면서 느낀 생각입니다. 4348.6.17.물.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2015 - 시골에서 만화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