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량한 말 바로잡기

 (1684) 함구


어떤 경로를 통해 아이가 우리에게 왔는지 우리는 끝까지 함구하기로 했다

《카롤린 필립스/유혜자 옮김-황허에 떨어진 꽃잎》(뜨인돌,2008) 77쪽


 함구하기로 했다

→ 입을 다물기로 했다

→ 숨기기로 했다

→ 감추기로 했다

→ 말을 않기로 했다

→ 말을 안 하기로 했다

 …



  한국말사전에 ‘함구’라는 한자말이 두 가지 실립니다. 첫째 ‘含垢’는 “욕된 일을 참고 견딤”이라고 나오는데, 이 한자말을 쓰는 사람은 찾아볼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누구나 “참고 견디다”라 말하거나 “참다”라 말하거나 “견디다”라 말하기 때문입니다.


  둘째, ‘緘口’는 “입을 다문다는 뜻으로, 말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을 뜻한다고 나옵니다. 한국말사전에 나오는 말풀이처럼, 한국말은 “입을 다물다”입니다. “함구하다”가 아닌 “입을 다물다”로 써야 올바릅니다.


 사람들의 함구 그 이면의 말을 캐내려고

→ 사람들이 입을 다문 그 뒷말을 캐내려고

→ 입을 다문 사람들 뒤를 캐내려고

→ 사람들이 말하지 않는 뒷말을 캐내려고

 어제 사건에 관하여 일체 함구하고 있다

→ 어제 일을 모두 입을 다문다

→ 어제 일을 놓고 모두 입을 닫는다

→ 어제 일과 얽혀 조금도 입을 벙긋하지 않는다


  한자말이기에 안 써야 하지 않습니다. 쉽고 알맞게 쓰는 한국말이 있을 적에 굳이 한자말을 끌어들여야 하지 않을 뿐입니다. 영어를 배우려 한다면 ‘shut up’을 써도 될 테지만, 영어를 배워서 써야 하는 자리가 아니라면 ‘입 다물자’나 ‘조용히 해’ 같은 한국말을 즐겁게 쓰면 됩니다.


  그러고 보면, ‘입다물기·입다물다’ 같은 낱말을 오늘날 새롭게 지어서 쓸 수 있습니다. ‘눈감다’라는 낱말을 쓰듯이 입과 얽혀서 ‘입다물다’를 비롯해서 ‘입닫기·입닫다’ 같은 낱말을 쓸 수 있습니다. 4348.5.21.나무.ㅅㄴㄹ



* 보기글 새로 쓰기

어떤 길을 거쳐 아이가 우리한테 왔는지 우리는 끝까지 입을 다물기로 했다


“경로(經路)를 통(通)해”는 “길을 거쳐”나 “길로”로 다듬습니다.



함구(含垢) : 욕된 일을 참고 견딤

함구(緘口) : 입을 다문다는 뜻으로, 말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 사람들의 함구 그 이면의 말을 캐내려고 /

     어제 사건에 관하여 일체 함구하고 있다


..



 알량한 말 바로잡기

 (1691) 우아


페르시아고양이가 샴고양이보다 우아해서 좋다고 한 사람이 누군데

《하이타니 겐지로/햇살과나무꾼 옮김-소녀의 마음》(양철북,2004) 9쪽


 우아해서

→ 아름다워서

→ 멋있어서

→ 예뻐서

→ 고와서

→ 사랑스러워서

 …



  한자말 ‘우아(優雅)하다’는 “고상하고 기품이 있으며 아름답다”를 뜻합니다. 그런데, ‘우아미(優雅美)’라는 한자말도 있으며, ‘우아미’라는 이름을 쓰는 회사가 있습니다. 한국말사전에 나오는 말풀이처럼, ‘우아’는 ‘아름다움’을 뜻합니다. ‘미(美)’라는 한자도 ‘아름다움’을 뜻해요. 그러니, ‘우아 + 미’인 ‘우아미’는 “아름다움 + 아름다움”인 셈입니다.


 우아한 자태 → 아름다운 모습

 우아하게 걷다 → 아름답게 걷다

 백제의 미술은 우아하고 세련되었다 → 백제 미술은 아름답고 빼어나다

 우아하게 낮은 목소리로 → 아름답게 낮은 목소리로


  뜻이 같은 낱말을 잇달아 붙여서 적을 적에는 어떤 뜻을 힘주어서 말하려는 생각이라고 여길 만합니다. 몹시 아름답다고 여겨서 ‘우아미’처럼 쓸 수 있고, 대단히 아름다운 어떤 모습을 빗대려고 ‘우아미’를 쓸 수 있어요.


  그러나, 몹시 아름다울 적에는 ‘몹시 아름답다’라 하면 되고, 대단히 아름다울 적에는 ‘대단히 아름답다’라 하면 됩니다. 해와 같이 하얗고 맑을 적에 ‘해맑다’라 하고, 몹시 맑을 적에는 ‘드맑다’라고 해요. 그러니, 맑으면서 아름다운 모습은 ‘해아름답다’라 할 수 있고, 몹시 아름다운 모습은 ‘드아름답다’라 할 수 있습니다. ‘드-’를 붙이는 ‘드높다·드세다·드넓다·드솟다·드날리다’ 같은 낱말이 있어요. 굳이 여러 가지 한자를 다시 엮고 거듭 붙이면서 써야 하지는 않습니다. 4348.5.21.나무.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