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골자전거 삶노래 2015.5.13.
: 걷고 걷는다
도서관에 들른 뒤 우체국으로 달린다. 오월이 한껏 무르익으니 가만히 서서 해를 바라보면 덥고, 나무그늘에 서면 시원하며, 자전거를 달리면 바람맛이 아아아 상큼하다. 어느덧 이런 철이 되었구나. 달력이 아니라 바람과 하늘을 보니 이렇게 철이 사뭇 바뀌는구나.
면소재지로 가는 길목인 호덕마을 앞을 지나가야 하는데, 이곳에서 한창 공사를 한다. 상수도 공사를 한다. 시골마을에 수돗물이 흐르도록 하겠다면서 벌이는 공사이다. 시골 할매와 할배는 이 공사를 모두 반기는 듯하다. 관청에서 자꾸 ‘지하수’는 나쁘다고 떠벌이고 ‘수돗물’이 몸에 좋다고 외치니까, 시골에서조차 이런 말을 곧이곧대로 듣는구나 싶다.
늘 느끼는데, 시골에서조차 도시처럼 수돗물을 마신다면, 도시에서 살던 사람이 시골로 와서 살고 싶을까 궁금하다. 도시를 떠나려는 사람은 손수 흙을 일굴 뿐 아니라, 싱그러운 바람과 맑은 물과 고운 볕과 넓은 하늘과 푸른 숲을 누리려는 마음이라고 본다. 아닐까? 도시에서 애써 시골로 가서 살려고 하는데, 맑은 물이 아니라 수돗물을 마셔야 한다면 즐거울까? 수돗물을 마셔야 하는 곳으로 ‘귀촌’이나 ‘귀농’을 하고픈 도시사람은 얼마나 있을까?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 작은아이가 잠든다. 바람 따라 길바닥에서 데굴데굴 구르는 빈 쌀푸대를 하나 줍는다.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 아버지가 숨을 몰아쉬면서 땀을 흘릴 즈음, 큰아이가 “나, 자전거에서 내릴래. 걷고 싶어.” 하고 말한다. 참말 걷고 싶은 마음일까, 아니면 아버지를 아껴 주려는 마음일까. 아무튼, 자전거를 세워서 걷기로 한다. 자전거순이에서 걷기순이로 바뀐 큰아이는 들길을 노래하면서 총총총 달린다. 하하하 웃으면서 춤을 춘다. 큰아이가 보여주는 멋진 ‘걸음춤’을 기쁘게 바라보면서 자전거를 끈다.
그런데 말이야, 우리 걷기순이야, 아버지가 자전거를 끌어도 이 긴 자전거를 영차영차 끌어야 한단다. 자전거를 달려도 이 긴 자전거를 영차영차 달리지. 그러니까, 네가 참말 스스로 걸으면서 들바람을 쐬고 싶으면 그저 그 마음 그대로 기쁘게 걸으렴. 네 아버지는 자전거를 달리든 걷든 모두 즐거우니까. 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2015 - 시골에서 자전거와 함께 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