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넋·삶 48 가는 말, 오는 말
나한테서 나오는 말은 내가 손수 길어올립니다. 나한테 오는 말은 네가 손수 길어올립니다. 나는 네 말을 듣고 나서 내 말을 길어올릴 텐데, 네가 어떤 말을 나한테 하지 않더라도 ‘내 말’을 하기 마련입니다. 네가 어떤 말을 했기에 꼭 ‘이 말’을 하지 않아요. 네가 저런 말을 했으니 나도 그에 맞추어 ‘저 말’을 하지 않습니다. 나는 늘 ‘내가 하려는 말’을 합니다.
그런데, 때때로 ‘네 모습’에 맞추어 말을 꺼냅니다. 이때에는 ‘정작 내가 하려는 말’이 아니기 일쑤입니다. 네 모습에 맞추거나 네가 꺼낸 말에 따라서 ‘내 말’을 한다면, 이 말은 ‘휘둘리는 말’이거나 ‘휩쓸리는 말’입니다. 이런 말을 뱉고 나면 누구나 아차 잘못했구나 하고 느끼면서 스스로 뉘우칩니다.
우리는 왜 스스로 뉘우칠 만한 말을 할까요? 제대로 바라보지 않았기 때문이고, 제대로 생각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무엇을 제대로 바라보지 않았을까요? 나와 마주한 ‘너’를 제대로 바라보지 않았을까요? 아닙니다. 너와 마주한 ‘나’를 제대로 바라보지 않았습니다. 네가 나한테 어떤 말을 하든 대수롭지 않습니다. 나는 ‘내가 하려는 말’을 해야 합니다. 내 모든 마음을 쏟아서 하려는 말을 바람처럼 들려주어야 합니다.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는 옛말이 있습니다. 왜냐하면 말은 흐르기 때문입니다. 우리 집에서 내보낸 구정물은 다시 우리 집으로 돌아옵니다. 물 한 방울은 돌고 돌아서 다시 우리 집으로 와요. 내가 버린 쓰레기는 돌고 돌아서 언제나 우리 집으로 옵니다. 한국 옆에 있는 중국에서 모랫바람이 분다는데, 이 모랫바람은 지구별을 한 바퀴 돌아서 다시 중국으로 가요. 한국에서 버리는 쓰레기는 바닷물을 타고 일본으로 갑니다. 이 쓰레기는 다시 돌고 돌아서 한국으로 옵니다. 그러니, 우리는 ‘남 탓’을 할 까닭이 없습니다. 탓하려면 ‘내 탓’을 해야 합니다. 우리 집에서 이루어 둘레로 내보낸 대로 우리 집으로 돌아와요. 내 입에서 흘러나온 말이 고스란히 나한테 와요. 이를 빗대어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고 합니다.
‘가는 말’이란 ‘내가 하려는 말’입니다. 남(너)한테 맞추어서 하는 말이 ‘가는 말’이 아닙니다. 나를 제대로 바라보고, 나를 제대로 생각하면서, 나를 제대로 사랑하려는 말이 바로 ‘가는 말’이며 ‘내 말’이고 ‘내가 하려는 말’입니다. 내가 나를 제대로 바라보아서 사랑하고 깊고 넓게 생각해서 말을 들려준다면, 이 말을 듣는 너(남)는 어떤 마음이 될까요? ‘마음을 넓고 깊게 열어 따사로운 사랑을 실어서 들려주는 말’을 들은 너(남)는 어떤 마음이 되어서, 나한테 ‘이녁 말(네 말)’을 들려줄까요? 이녁(너)도 이녁 마음속에서 길어올린 깊고 넓으면서 따사로운 사랑으로 가득한 말을 나한테 들려줄 테지요.
겉보기로 그럴듯하게 보이는 말이 ‘고운 말’이 아닙니다. 마음 깊이 사랑을 실어서 들려주려는 말이 곱습니다. 마음을 넓게 보듬으면서 푸른 꿈으로 짓는 말이 곱습니다.
나는 내 마음을 오롯이 너한테 보냅니다. 너는 네 마음을 옹글게 나한테 보냅니다. 서로 어깨동무를 합니다. 마음과 마음으로 사귈 수 있을 때에 어깨동무를 합니다. 마음과 마음으로 사귀지 못하면 어깨동무를 못 합니다.
‘어깨동무’는 ‘마음동무’입니다. 마음동무는 ‘사랑동무’입니다. 사랑동무는 ‘꿈동무’요 ‘이야기동무’입니다. 꿈과 이야기를 함께 나누는 동무는 ‘삶동무’입니다. 아름다운 삶으로 함께 나아가려는 씩씩하고 어여쁜 ‘길동무’입니다. 4348.3.5.나무.ㅎㄲㅅㄱ
(최종규/함께살기 . 2015. - 람타 공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