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가운 상말

 628 : 억강부약


하지만 저널리즘 윤리로서 공정에 대해서는 언론 현장에서 오랫동안 내려온 전통과 ‘최소한의 합의’가 있다. ‘억강부약(抑强扶弱)’이 그것이다

《손석춘-민중언론학의 논리》(철수와영희,2015) 68쪽


 ‘억강부약(抑强扶弱)’이 그것이다

→ 힘센 이를 누르고, 여린 이를 돕기이다

→ 힘센 이는 누르고, 여린 이는 돕는다

→ 어깨동무이다

 …



  ‘억강부약’이라는 한자말은 뜻풀이를 붙여야 비로소 말뜻을 알 수 있습니다. 이 낱말 뒤에 한자를 달아 놓는다고 하더라도 말뜻을 알 수 없습니다. 기자 윤리를 말하면서 이러한 한자말을 쓴다고 하는데, 왜 이런 한자말을 빌어서 기자 윤리를 밝혀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수수하면서 쉬운 한국말로는 기자 윤리를 말하기 어려울까요? 한국사람이 누구나 알아들을 만한 아름다운 한국말로는 기자 윤리를 적거나 밝힐 수 없을까요?


  힘센 이는 누르고 여린 이를 돕는다고 하는 이야기를 한국말로 간추리자면 ‘어깨동무’입니다. 어깨동무는 서로 나란히 서서 어깨를 겯는 몸짓입니다. 한쪽이 위로 올라가도 안 되고, 아래로 내려가도 안 돼요. 말 그대로 ‘힘세다고 해서 올라가서는 안 되’며, ‘여리다고 해서 눌려서는 안 됩’니다. ‘어깨동무’라는 한 마디는 우리가 함께 웃고 노래하는 기쁘며 즐거운 삶을 슬기롭게 나타냅니다. 4348.4.9.나무.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그러나 기자 윤리로 올바름을 살피면 언론 현장에서 오랫동안 내려온 흐름과 ‘이것만은 지키자’가 있다. 바로 ‘어깨동무’이다


‘하지만’은 ‘그러나’나 ‘그렇지만’으로 바로잡고, “저널리즘(journalism) 윤리”는 “기자 윤리”로 손봅니다. “공정(公正)에 대(對)해서는”은 “올바름을 살피면”으로 손질하고, “오랫동안 내려온 전통(傳統)”은 “오랫동안 내려온 흐름”으로 손질합니다. ‘전통’이라는 낱말이 ‘오랫동안 내려오는 버릇이나 몸짓’을 가리키니, 이 낱말 앞에 ‘오랫동안 내려오는’이라는 꾸밈말을 붙이면 겹말입니다. “최소한(最小限)의 합의(合意)”는 “이것은 지키자”나 “이것만은 지키자”로 다듬고, “-이 그것이다”는 “-이다”나 “바로 -이다”로 다듬습니다.



억강부약(抑强扶弱) : 강한 자를 억누르고 약한 자를 도와줌

   - 자식들의 정신이 억강부약에 있다면 / 억강부약하여 평등 사회를 만드는 것이


(최종규/함께살기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