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책이야 푸른숲 작은 나무 6
김향이 지음, 김유대 그림 / 푸른숲주니어 / 200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린이책 읽는 삶 93



‘이야기’를 담을 때에 책이다

― 나는 책이야

 김향이 글

 김유대 그림

 푸른숲 펴냄, 2001.8.28.



  김향이 님이 쓴 동화책 《나는 책이야》(푸른숲,2001)를 읽습니다. 《나는 책이야》라고 하는 동화책은, 도서관에서 사람들 손길을 아직 한 번도 못 받은 책이 슬퍼하는 이야기로 첫머리를 엽니다. 아이들은 아무도 이 책을 안 건드렸고, 이 책은 참으로 오랫동안 제 몸을 활짝 펼치지 못한 채 잠들어야 했는데, 어느 날 아주머니 한 분이 이 책을 처음으로 책꽂이에서 끄집어 내어 빌려간다고 합니다.



.. 기가 막혀서! 내 얼굴만 보고, 내 이름만 보고 내가 재미없다니, 말도 안 돼 ..  (11쪽)



  ‘나는 책이야’라는 이름이 붙은 책을 끄집어 낸 아주머니는 이녁이 이 책이 읽을 마음이 아닙니다. 이녁 아이한테 읽히려는 마음입니다. 아주머니는 아이한테 책을 안기지 않습니다. 그저 밥상맡에 놓을 뿐입니다. 이러고 나서 텔레비전을 켜서 멀거니 들여다본다고 합니다. 이때에 밥상맡에서 신문을 찾던 아저씨가 신문을 뒤적이려다가 이 책을 알아보았고, 신문읽기나 밥먹기를 잊은 채 이 책을 먼저 펼쳤다고 합니다. 이러자, 이 집 아이가 아버지가 푹 빠진 책에 비로소 눈길을 두면서, ‘그 책은 내가 읽을 책이야’ 하고 말하면서 가져갔다고 해요.


  여러모로 살피면, 이런 모습은 오늘날 흔히 엿볼 만하다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여러모로 좀 아리송합니다. 아저씨가 부를 적에 고개도 안 돌리고 텔레비전만 멀거니 들여다보는 아주머니가 책을 얼마나 즐기는 사람인지 궁금합니다. 한집에서 서로 말도 안 섞는 아주머니와 아저씨는 텔레비전과 신문과 책에서 얼마나 재미난 이야기를 길어올릴는지 궁금합니다. 한집 사람하고 말도 안 섞고 신문부터 찾으면서 밥을 먹으려 하는 아저씨가 어떻게 책을 알아채고는 신문을 내려놓고 책을 읽는다고 하는지 궁금합니다.



.. 나는 아줌마가 좋아. 첫 번째로 나를 데리고 나오기도 했지만, 마치 아기를 안듯 우리를 가슴에 안아 줬기 때문이야 ..  (17쪽)



  ‘이야기’를 담을 때에 책입니다. 이야기를 담은 책이 재미있습니다. 이야기를 담지 않고 왁자지껄 떠들기만 하는 책은 재미없습니다. 사람과 사람이 만나는 자리에서도 이와 같아요. 서로 이야기를 도란도란 나눌 적에 재미있습니다. 한두 사람이 목소리를 높여서 떠든다면 재미없습니다.


  이야기는 서로 생각을 주고받을 적에 피어납니다. 한두 사람만 목소리를 외치는 자리에서는 외곬생각이 뻗을 뿐입니다.


  어떤 책이든 이야기를 담기 마련인데, 어떤 책이든 외곬생각을 담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책을 읽는 사람이 스스로 이야기를 헤아립니다. 책은 첫 쪽부터 끝 쪽까지 그저 이야기를 품습니다. 책이 품은 이야기를 가리거나 고르거나 추려서 ‘새로운 이야기’로 짓는 사람이 ‘읽는이’입니다. 읽는이는 제 삶에 비추어 이야기 한 타래를 새롭게 엮습니다.



.. “오늘 저녁 신문 어디 있지?” 아빠가 엄마에게 물었어. “거기 테이블에 있잖아요.” 엄마가 텔레비전에서 눈을 떼지 않고 말했어. 신문을 찾던 아빠가 나를 집어들고 말했어. “나는 책이야? 이거 하얀이 책이구나.” ..  (29쪽)



  우리는 책을 얼마나 읽어야 할까요? 삶을 아름답게 북돋울 기운을 스스로 찾을 수 있도록 기쁘게 읽어야 할 테지요. 몇 권을 읽든 대수롭지 않습니다. 한 해에 한 권을 읽든, 열해에 한 권을 읽든 대수롭지 않습니다. 꼭 도서관에 가야 하지 않습니다. 모든 책을 스스로 장만해서 읽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책을 많이 읽더라도, 집에서 서로 이야기를 나누지 않는다면, 이러한 삶은 사람다운 삶이 되기 어렵습니다. 《나는 책이야》에 나오는 ‘하얀이네 집’은 책읽기보다 ‘말섞기’부터 해야 할 노릇이라고 느낍니다. 집안일만 하는 어머니와 바깥일만 하는 아버지 모습이 ‘오늘날 흔한 모습’일는지 모르겠으나, 이런 흔한 모습을 깨고서, 아이들이 새롭게 거듭나도록 이끌 만한 이야기를 이러한 동화책에서 담을 수 있어야지 싶습니다. 집에 돌아와서 다른 말 없이 신문부터 찾고 아무 말도 하지 않는 모습을 ‘아주머니’이든 ‘아이’이든 와장창 깰 수 있는 줄거리를 보여줄 수 있어야지 싶습니다.



.. 나는 혼자 있고 싶었어요. 그래서 지나가는 바람에게 부탁을 했어요. “바람아, 이곳에서 떠나게 해 줘. 아무 데나 좋아. 제발 부탁이야.” … 참 이상한 일이지요. 어린 씨앗들이 내 몸에 뿌리를 내린 다음부터 나는 아픈 줄도 몰랐고요, 내 처지를 슬퍼하지도 않았어요. 그 대신 온몸의 힘을 모아 어린 씨앗들이 잘 자랄 수 있도록 마음을 썼어요 ..  (78, 113쪽)



  《나는 책이야》라는 동화책은 이른바 ‘틀에 틀이 있는 얼거리’입니다. ‘이야기 하나에 다른 이야기가 깃든 얼거리’입니다. 그런데, ‘다른 이야기’는 ‘이야기 하나’와 그리 잇닿지 않습니다. 이야기에 깃든 다른 이야기가 ‘바탕 이야기’를 꾸리는 밑힘으로 이어지지 않습니다.


  곰곰이 살피면, 이 책은 《나는 책이야》인데, ‘나는 책이야’라는 이름이 붙은 책은 ‘책’을 말하지 않아요. 그냥 이런저런 여러 이야기를 뒤섞어 놓았습니다.


  책이름이 ‘나는 책이야’라고 한다면, ‘이야기’를 푸는 실마리나 실타래를 ‘책’으로 엮어서, ‘책 이야기’로도 얼마든지 넉넉하고 깊으면서 사랑스럽고 아름답게 조각맞추기를 할 때에 잘 어울리리라 느낍니다. 4348.4.8.물.ㅎㄲㅅㄱ


(최종규/함께살기 . 2015 - 어린이문학 비평)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양물감 2015-04-08 08: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생각하게 하는 글입니다.

숲노래 2015-04-08 09:04   좋아요 0 | URL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