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치유의 걷기 - 몸과 마음을 살리는 걷기는 따로 있다
애너벨 스트리츠 지음, 김주희 옮김 / 동양북스(동양문고) / 2025년 12월
평점 :
얼마전에 읽었던, [길 위의 뇌] 이후에 읽게 된 책이다.
솔직히 말하자면, 달리기에 대한 부담감이 있는 내게 '걷기'는 심리적 편안함을 제공한다. 그래서 이 책이 눈에 들어왔는지도 모르겠다.

「치유의 걷기」는 인터뷰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인간이 땅·공기와 나누는 신비로운 대화와 몸, 마음, 장소 사이의 상호 작용을 살펴보고, 이것이 인간의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소개(p.9)하는 책이다.
유의미한 연구결과들과, 효과를 직접 경험한 사람들의 인터뷰를 읽다보면, 공감하는 부분이 많다. 어디에서 어떻게 살고 있는가 하는 것이 나의 몸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경험으로 나 역시 알고 있다. 다만 내가 심증적으로 그럴 것이라고 생각했던 것을 공신력 있는 연구의 결과로 듣게 되면 신뢰도가 상승한다. 이 책을 읽는 동안 그런 생각을 많이 하게 되었다.
작가이자 심리학자인 샤론 블래키Sharon Blackie 박사는 우리에게 특정 장소가 가장 필요할 때 그 장소가 우리를 끌어당긴다고 믿으며, 작가이자 팟캐스트 진행자인 세라 윌슨Sarah Wilson은 정서적 고통을 완화해야 할 때는 해안가를 따라 걷고, 관대함과 용서를 발휘해야 할 때는 숲속을 거닌(p.13)다고 말했다.
어떤 장소에서 걷느냐에 따라 그 효과는 달라진다는 말인데, 환경이 사람의 몸과 마음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익히 알고 있지 않은가? 그것이 그 장소에 있다고 해서 가능할지, 걷는다는 행위를 통해 효력이 나타나는지에 대해서는 책을 계속 읽어보고 개인이 판단할 일이라고 생각한다. (나는 사람에 따라 효과가 다르다고 믿는 사람이다)
내가 관심 깊게 읽은 부분은 숲, 해안, 꽃과 초원, 이행대, 강, 야경이다.

숲은 나무와 덤불로 덮인 넓은 지역으로 믿음의 상실, 고독에 대한 갈망, 불면증, 여성의 분노, 남성의 우울 등 간략히 요약하자면 거의 모든 문제에 효과가 있다. 숲과 산은 조금 구분하기가 그런데 우리 나라는 산이 있는 곳에 숲이 있어서 그런 것 같다. 풀이나 나무가 빽빽하게 들어서 있는 곳을 숲이라 할 때, 한국적 지형에서 대부분은 산이라고 봐야 할 것 같다. 우리 동네에는, 삼각주 지대에 갈대숲이 우거져 있어서 산이 아닌 숲도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기는 하다.
어쨌든, 일본 연구진들이 '숲이 건강에 미치는 주목할 만한 효과'를 최초로 확인했다고 하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p.35)
- 항암 특성을 지닌 자연 살해natural killer, NK 세포의 증가
- 혈압, 심박수, 체내 순환하는 스트레스 호르몬의 감소
- 부교감신경(신체 이완과 소화 작용) 활성화 및 교감신경(투쟁 또는 도피 반응) 비활성화
- 면역력 향상
- 우울, 분노, 혼동, 불안, 피로의 저하
- 활력과 에너지의 폭발적 증가
삼림욕 전문가인 리칭 박사에 따르면 숲의 효능에는 깨끗한 공기, 평온함, 기분 좋은 향기, 매력적인 풍경 등도 한몫하지만, 나무가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생성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더욱 큰 영향'을 미친다고 말한다. 즉, 피톤치드가 신체적 상태와 심리적 상태를 큰 폭으로 회복시키며 불안과 우울을 완화한다. 그리고 숲에서 걷는 '동적' 삼림욕이 '정적' 삼림욕보다 정신 건강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p.36)고 한다.
그래서 피톤치드, 피톤치드 하는구나. 사실 이 글을 쓰고 있는 지금, 귀가 길에 만날 수 있는 갈대숲을 떠올리고 있으며, 나는 그곳을 몇 번 걸어봐야겠다고 생각한다.
이 책에는 다양한 장소를 언급하고 있지만, 한국 사람에게는 숲이나 산이 가까이서 만날 수 있는 장소가 아닐까 싶다. 아, 강이나 해안가도 마찬가지다. 그런 면에서 내가 살고 있는 부산은 이러한 자연 장소들이 풍부한 곳이다. 나무숲이든 갈대숲이든 숲이 있고, 산이 있으며, 낙동강 큰 줄기 따라 많은 강이 있고, 부산하면 떠올리는 바다(해안)이 있으며, 해안길 따라 조성된 절벽길이 있다. 바다(강)와 육지가 만나고, 바다(강)과 하늘이 만나는 곳이라 이행대 생물들도 만날 수 있다. 이 책에서는 주로 새들을 이야기하는데, 낙동강 하류는 철새들의 서식지라서 수많은 새들을 만날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내가 부산을 좋아할 수 있는 이유가 하나 생긴 셈이다. 이 모든 자연 공간들은 사람들에게 다양한 결핍을 보완하고, 치료해주는 역할들을 한다.
나는 학교 다닐 때, 억지로 해야 하는 체육 시간이 너무 싫었다. 빨리 달려야 하는 것도, 멀리 뛰어야 하는 것도, 공을 피해 도망쳐야 하는 것도, 힘 없는 팔로 철봉에 매달려야 하는 것도 정말 싫었다. 그래도 가장 잘 할 수 있는 것이 하나 있었는데, 오래 달리기였다. 100미터 달리기는 못해도, 오래 달리기는 (남보다 빠르게) 완주를 했다. 그런가하면, 나는 잘 걷는다. 물론 교통수단을 스스로 움직일 수 있는 능력(^^)이 없어서이기도 하지만. 그리고 산도 잘 올라간다. 부산 인구의 70%이상이 경사지에 살고 있다는 데서 알 수 있듯이, 주거지가 언덕에 있다보니 언덕을 오르는 일도 잦다. 그러니, 나는 '건강을 위해' 걷기 위해 조금 더 긴 시간을 투자하면되니, 쉽게 시도해볼 수 있는 셈이다.
굳이 '건강'을 위해서가 아니더라도, 자연은 나를 즐겁게 한다. 내가 바라보고, 숨쉬고, 느끼는 곳들이 내 건강을 위해서도 좋다면 안 할 이유가 없는 셈이다.
하지만, 이 책을 쓴 저자가 한국 사람이 아니다보니 공동묘지, 호수, 버려진 기찻길, 치유적 경관, 운하 견인로, 순례길, 야경 등의 파트는 (확실히) 남의 나라 이야기같다. 그래도 내 주변에 있는 자연의 장소들을 찾아 걸어본다면 좋겠다는 생각을 한다. 조금 더 여유가 있다면, 우리 나라에서 만날 수 없는 그곳으로 떠나보는 것도 좋겠다. 단, 저자도 말했듯이 야간 도보 여행이나 등산으로 야행성 동물과 산에 끔찍한 악영향을 미치거나, 맑은 공기를 마시러 가면서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차를 타고 가거나, 쓰레기를 버리고 오는 등의 행동은 삼가기 바란다.

#치유의걷기 #걷기장소 #동양북스 #숲에서걷기 #부산에서걷기 #오늘부터걷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