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넋·삶 38 ‘차갑다’와 ‘뜨겁다’



  차가우면 그대로 얼어붙습니다. 뜨거우면 녹아서 날아오릅니다. 차가우니까 땅바닥에 들러붙습니다. 뜨거우니까 어느덧 몸뚱이가 사라지면서 아지랑이가 됩니다. 차가우니까 딱딱한 얼음이 됩니다. 뜨거워서 아지랑이가 된 숨결은 하늘 높이 날아오릅니다. 얼음은 그대로 머뭅니다. 어디로도 안 갑니다. 하늘 높이 날아오른 아지랑이는 이내 구름이 됩니다. 구름이 된 아지랑이는 빗물이 됩니다. 빗물이 된 구름은 하늘을 가르며 땅으로 내려옵니다. 하늘을 가를 적에 바람을 타고 온누리 골골샅샅으로 퍼진 빗물은 냇물도 되고 샘물도 되며 우물물도 되고 바닷물도 됩니다. 골짝물도 되고 시냇물도 되며 가람물도 되지요. 온갖 물로 새로 태어납니다. 온갖 물로 몸을 바꿉니다. 온갖 물로 거듭나는 숨결이 되어요.


  차가워서 얼어붙는 몸은 늘 그대로 있습니다. 그러나, 늘 그대로 있기에 ‘고인 숨결’은 아닙니다. 늘 그대로 있을 뿐입니다. 차가워서 얼어붙어도, 이 몸은 바로 내 몸입니다. 차가움을 가득 안은 몸입니다. 차가움을 가득 안아서 무거우니 어느 곳에도 못 가는데, 아직 아무 곳으로도 안 갔을 뿐, 마음속에 따사로운 꿈을 품습니다. 다시 말하자면 차가운 몸은 따사로운 마음을 꿈으로 꿉니다. 따사로운 마음으로 태어나서 새롭게 피어나겠다는 꿈을 꾸면서 깊디깊이 잠을 잡니다. 이른바 겨울잠입니다.


  뜨거워서 녹는 몸은 언제나 바뀝니다. 언제나 바뀌니 언제나 흐릅니다. 언제나 하르니 언제나 새롭습니다. 뜨거운 기운은 어느 한곳에 머물지 않습니다. 뜨거운 기운은 모든 곳을 흐릅니다. 모든 것을 보고, 모든 것이 되며, 모든 것을 생각합니다. 뜨거운 기운은 언제나 모든 것에 스스로 깃들어 모든 것으로 살다가 새로운 모든 것이 됩니다. 뜨거운 것은 언제나 사랑입니다. 이른바 꽃이고 열매입니다.


  그런데 뜨거운 기운은 어느 날 문득 ‘다른 새로움’을 생각합니다. 모든 것을 짓고, 모든 것이 되며, 모든 것을 하고, 모든 것을 보는 삶에서, 다른 새로움을 한 가지 생각합니다. 언제나 ‘모든 것(온 것)’으로 사는 뜨거운 기운은 ‘뜨거운 기운이 아닌 새로운 것’을 생각해서, ‘삶’이 아닌 앞으로 나아가려 합니다.


  뜨거운 기운이 나아가는 곳은 ‘죽음’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뜨거운 기운은 삶을 누리면서 모든 것을 짓고 사랑을 꽃피우고 열매를 맺는데, 이렇게 하면서 문득 한 가지를 새롭게 그리니 바로 ‘죽음’이자 ‘잠(겨울잠)’이요 ‘꿈’입니다. 이제 ‘모두 다 지었’으니까, ‘잠들어서 꿈을 꾸’려고 하지요. 마당에서 놀던 아이가 집으로 돌아와서 밭으로 간다고 할까요. 씨앗이 밭에서 자라 싱그럽게 자란 풀이 되어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은 뒤 다시 겨울을 맞이하면서 흙(밭)으로 돌아간다고 할까요.


  ‘차가운 기운’은 ‘뜨거운 기운’이 바뀐 몸입니다. ‘차가운 기운’과 ‘뜨거운 기운’은 한몸이요 같은 넋입니다. ‘차가운 기운’과 ‘뜨거운 기운’은 한마음이면서 같은 숨결입니다.


  몸이 차갑게 식습니다. 죽음입니다. 죽은 몸은 흙으로 돌아가 새로운 흙을 깨웁니다. 죽은 몸에서 나온 넋은 새로운 몸을 찾아서 꿈을 꿉니다. 새로운 몸을 찾는 넋은 꿈을 꾸려고 ‘밤낮누리’로 갑니다. 밤낮누리에 깃들어 꿈을 꾸는 넋은 천천히 온별(온 우주)을 살피면서 새롭게 나아갈 길을 찾습니다.


  넋은 새 길을 찾으면 새 곳으로 가서 새 몸을 입습니다. 넋이 새 몸을 입으면, 새로운 몸은 다시 뜨거운 기운이 돕니다. 아기가 태어나지요. 4348.2.28.흙.ㅎㄲㅅㄱ


(최종규/함께살기 . 2015 - 람타 공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