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보다 작은 형 푸른숲 작은 나무 5
임정진 지음, 이웅기 그림 / 푸른숲주니어 / 200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린이책 읽는 삶 86



동화에 담는 이야기는 무엇일까

― 나보다 작은 형

 임정진 글

 이웅기 그림

 푸른숲 펴냄, 2001.11.10.



  사랑을 받는 아이는 사랑을 받는 줄 압니다. 사랑을 받는 아이는 이웃이나 동무를 따사로이 아낄 줄 압니다. 이웃이나 동무를 따사로이 아낄 줄 모른다면, 이 아이는 아직 어린 나이인데에도 사랑을 받지 못했다는 뜻입니다. 사랑을 받지 못한 나머지 사랑을 아직 몰라, 이웃이나 동무한테 따스하게 손길을 내밀 줄 모르니까요.


  사랑을 알면서 따스하게 손길을 안 내미는 사람이 있을까요? 없습니다. 사랑을 누리면서 따스하게 손길을 안 내미는 사람이 있을까요? 없어요. 누군가 이웃이나 동무한테 차갑거나 매몰차거나 딱딱하거나 모질게 군다면, 이 사람은 아직 사랑을 받지 못한 채 사랑을 모르면서 하루하루 지낸다는 뜻이라고 느낍니다.



.. “우리 형 앞에서 떠들면 혼나.” “왜?” “우리 형 되게 무섭거든.” 동식이는 겁먹은 표정이 된다. “근데 왜 그렇게 키가 작은 거니?” “임마, 키만 크면 다냐? 나폴레옹도 키 작았어.” 형 얘기를 하다가 결국 동식이랑 싸우고 말았다 ..  (12쪽)



  아이는 누구나 장난꾸러기에 개구쟁이입니다. 아이는 누구나 재미나게 놀기를 좋아하며, 신나게 뛰놀면서 자랍니다. 아이는 다른 동무하고 툭탁거릴 수 있지만, 이내 툭탁거리기를 그칩니다. 왜냐하면, 툭탁거려 보았자 재미없거든요. 함께 놀 동무하고 툭탁거린들 저 스스로 재미없는데다가 마음이 무겁거든요.


  그런데 아이들이 자꾸 싸웁니다. 아이들이 서로 말다툼을 합니다. 왜 그럴까요? 바로 어른들이 아이들 둘레에서 싸우기 때문입니다. 아이는 어른이 싸우는 모습을 가만히 지켜봅니다. 서로 어깨동무를 하지 않고 싸우는 어른을 바라봅니다. 내 밥그릇을 챙기려고 이웃을 들볶거나 괴롭히거나 등치는 어른을 마주합니다.


  이런 흐름은 고스란히 아이들한테 이어집니다. 아이들은 어른한테서 좋거나 나쁜 모습을 모두 물려받습니다. 왜냐하면, 아이는 어른한테서 무엇을 배우거나 물려받을 적에 ‘좋다’나 ‘나쁘다’고 따지지 않아요. 그냥 다 받아들여요. 어른이 거친 말을 쓰면 아이도 거친 말을 쓰고, 어른이 맑게 웃으면 아이도 맑게 웃어요.



.. “죽어야 별이 되는 거랬어요. 우리 아빠가.” “그건 그래. 하지만 잘 때는 별나라로 여행을 갈 수 있잖니. 네가 자면 엄마가 하늘에서 우리 민철이 오늘 잘 나나, 오늘 많이 컸나, 오늘 착한 일 많이 했나, 내려다보시지.” “우리 아빠도 그렇게 말했어요.” ..  (49쪽)



  임정진 님이 쓴 어린이문학 《나보다 작은 형》(푸른숲,2001)을 읽습니다. 짧은 동화를 여러 꼭지 묶은 《나보다 작은 형》을 보면, 처음 나오는 이야기는 〈나보다 작은 형〉이고, 이 이야기에 나오는 ‘형’은 몸이 아픈 듯합니다. 어디가 어떻게 나쁘다고 하는 이야기는 안 나오지만, 아픈 형은 몸이 자라지 않는 듯합니다.


  이야기에 나오는 동생은 형이 부끄러울까요? 왜 형 모습을 동무한테 안 보여주려 할까요? 왜 형이 ‘아프다’고 하는 이야기를 스스럼없이 말하지 못할까요? 아주 마땅한 노릇인데, 두 아이네 어버이가 아이들이나 이웃 앞에서 쉬쉬하기 때문일 테지요. ‘아픔 = 나쁜 것’이라고 여겨, 이를 숨기거나 감추려 하기 때문이요, ‘아픈 큰아이’ 때문에 힘든 나날을 보낸다고 여기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마음은 아이들한테 고스란히 이어지니, 이야기에 나오는 동생은 ‘형 이야기’만 나오면 다른 동무하고 툭탁거리고 말아요.


  ‘나보다 작은 형’을 놓고 아이들이 풀고 맺는 수수한 이야기를 엮을 만하구나 하고 느끼는데, 《나보다 작은 형》은 아이들이 삶을 서로 풀고 맺는 얼거리로 엮지는 못 합니다. 다른 모든 것은 젖히고 오직 두 아이(형과 동생) 사이에서만 이야기가 이루어지는 얼개로 나아갑니다.


  이런 얼개도 ‘나쁘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아무것도 풀리지 않습니다. 어떤 실마리도 풀지 못해요. 두 아이는 무엇 때문에 이렇게 무거운 짐을 짊어진 듯 지내야 하는지 모릅니다. 두 아이는 그저 둘 사이가 더 가깝다고 느낄 뿐, 어떤 실타래도 풀어내지 못합니다.



.. 새로 이사 온 아이가 이렇게 별명을 지어 주다니 정말 신기한 일이었어요. 우리는 왜 여태까지 별명 지을 생각을 안 하고 살았을까? 난 내가 친구들 별명을 지어 주지 못한 게 조금 심통이 났어요 ..  (59쪽)



  《나보다 작은 형》에 나오는 다른 이야기 〈빙빙 돌아라, 별 풍차〉는 상황이나 시대를 좀 엉뚱하게 맞춘 듯합니다. 요즈음 ‘풍차 수레’를 끌고 다니는 아저씨가 어디에 있을까요? 옛날 상황도 오늘날 상황도 아닌 어정쩡한 상황을 맞춘 다음 어머니 잃은 아이가 나오는 얼거리는 아무래도 앞뒤가 안 맞습니다. 이 이야기에 나오는 ‘백동전’이라는 낱말도 어느 시대를 바탕으로 삼았는지 아리송하게 할 뿐입니다.


  〈새 친구 왕만두〉는 ‘화교’인 아이와 ‘화교 아닌 아이’ 또는 ‘어버이 가운데 한쪽이 외국사람인 아이’를 보여주려는 이야기입니다. 아이들이 서로 별명을 붙여서 살갑게 어울린다고 하는 얼거리로 흐릅니다. 이 땅에서는 누구나 똑같은 ‘한국사람’일 테고, 아이들은 모두 똑같이 ‘아이’입니다. 아이와 어른도 똑같이 ‘사람’입니다. 이러한 큰 이야기를 들려주려고 화교 아이를 보기로 삼았구나 싶은데, 이야기에 조금 더 살이 붙어야 하지 않나 싶습니다. 이야기가 좀 싱겁게 끝났구나 싶습니다.



.. “뭐 고민 있어요?” 램보가 걱정스레 물었어요. “응, 그게 저기, 모델을 데려오기 어려워서 패션쇼를 포기해야겠다.” “패션모델? 그건 바로 저의 꿈이었다고요! 무대에 서서 조명을 받는 거.” “너의 꿈이라고?” “그래요. 모델이 꼭 사람이어야 하는 법이 어디 있어요?” “좋았어!” 미스터 울은 자기가 사랑하는 양들에게 멋진 양모 제품을 입혀 패션쇼를 하기로 했어요 ..  (119쪽)



  〈땡땡이, 줄줄이, 쌕쌕이〉 이야기에 나오는 ‘땡땡이’ 같은 일본말을 털지 못하는 모습을 어떻게 보아야 할까요. 한국말은 ‘물방울’이나 ‘물방울무늬’입니다. 동화에 쓰는 낱말을 어떻게 살피느냐는 동화에 담는 이야기를 어떻게 헤아리느냐 하고 고스란히 이어집니다. 《나보다 작은 형》을 마무리짓는 〈양들의 패션쇼〉는 한국과 아주 먼 곳에 있는 따뜻한 나라에서 사는 양들을 데려와서 벌이는 ‘패션쇼’를 보여줍니다. 사람과 양이 서로 말을 주고받을 뿐 아니라, 양은 제 털(양털)로 뜨개질도 합니다. 재미난 생각힘(상상력)으로 그린 이야기라고 할 수도 있고, ‘사람과 양이 기껏 말을 섞는’데 아이들한테 들려주는 이야기가 ‘패션쇼’밖에 없을까 싶어 여러모로 아쉽습니다. 패션쇼가 나쁘다는 뜻이 아닙니다. 양들이 저희 꿈을 ‘패션모델’이라고 말한다는 대목이 어이없다는 소리입니다. 이는 ‘양이라는 짐승을 빌어 요즘 어른들 생각’을 드러내는 이야기일 뿐입니다. 텔레비전 방송에 아이들을 길들이는 사회와 경제가 아이들을 똑같은 판박이로 만드는 얼거리가 고스란히 드러나는 이야기일 뿐입니다.


  동화에 담는 이야기는 무엇일까요. 양들이 벌이는 패션쇼도 얼마든지 보여줄 수 있습니다. 양들이 패션모델을 꿈이라고 말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면, 패션쇼와 패션모델을 동화로 엮어서, 이러한 이야기를 아이들한테 어떤 넋으로 들려줄 만할까요? 이 동화를 읽는 아이들은 무엇을 느끼면 즐거울까요?


  동화에는 언제나 사랑을 담는다고 느낍니다. 사랑은 기쁠 수 있고 슬플 수 있습니다. 기쁘든 슬프든 모두 사랑이 됩니다. 사랑이라는 자리로 가면, 기쁨도 슬픔도 모두 녹아서 차분하면서 고요하게 아름다운 숨결로 다시 태어납니다. 그러니까, 동화에 담는 사랑이란, 온누리를 넉넉하고 따사롭게 품에 안는 숨결이라고 할 만합니다. 《나보다 작은 형》이라는 동화책은 ‘사랑’을 어떻게 바라보면서 어떻게 그린 작품이라고 할 만할까요. 요모조모 이야기를 맛깔스럽게 꾸미기는 했는데, 맛깔스러운 이야기는 따사롭거나 넉넉한 사랑으로 다가섰을까요. 4348.3.18.물.ㅎㄲㅅㄱ


(최종규/함께살기 . 2015- 어린이문학 비평)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