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넋·삶 33 ‘바보’와 ‘멍청이’



  바보와 멍청이는 다릅니다. 둘이 같은 뜻이라면, 굳이 두 가지 낱말을 쓸 까닭이 없습니다. 둘은 다르기 때문에 다른 낱말로 씁니다. 그런데, 한국말사전을 찾아보면 ‘바보’를 “어리석고 멍청하거나 못난 사람을 욕하거나 비난하여 이르는 말”이라고 풀이합니다. ‘바보’라는 낱말을 풀이하면서 ‘멍청하다’라는 낱말을 씁니다. 그리고, ‘멍청이’라는 낱말을 풀이하면서 “아둔하고 어리석은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이라고 해요. ‘바보’는 ‘어리석’으면서 ‘멍청하다’고 하는데, ‘멍청이’는 ‘어리석’으면서 ‘아둔하다’고 합니다. ‘아둔하다’는 “슬기롭지 못하고 머리가 둔하다”고 합니다. ‘둔(鈍)하다’는 다시 “깨우침이 늦고 재주가 무디다”나 “작이 느리고 굼뜨다”를 뜻한다고 해요.


  한국사람이 한국말을 익히거나 살피려고 한국말사전을 뒤적이면, 어쩐지 바보스러워지거나 멍청해지겠다는 느낌이 듭니다. 말풀이는 돌림풀이에다가 서로 뒤죽박죽이기 때문입니다.


  이제 우리는 스스로 생각해야 합니다. 예부터 한국사람이 한국말을 어느 자리에 어떻게 썼는지 마음으로 바라보고 생각해야 합니다. 따로 한국말사전이 없던 때에, 국어학자도 없던 때에, 교육이나 학교나 학문도 없던 때에, 어떻게 ‘말’을 마음에서 마음으로 물려주면서 오늘 이때까지 이을 수 있었는가를 돌아보고 헤아리며 생각해야 합니다.


  ‘바보’는 “제대로 알지 못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멍청이’는 제대로 알지 못하는 사람이 아닌, “생각이 흐르거나 제대로 볼 줄 모르는 사람”을 가리킵니다. 다시 말하자면, ‘바보’는 생각이 흐린 사람이 아닙니다. ‘바보’는 조금 어리석거나 못날 수는 있어도 생각이 흐린 사람을 가리키지 않습니다. 그래서 “한 가지에 푹 빠져서 다른 일은 헤아리지 못하는 사람”을 놓고도 ‘바보’라고 합니다. 이를테면 “딸 바보”라고 하지요. “책만 보는 바보”라든지 “야구만 좋아하는 바보”라든지 “학문은 잘 하지만 집안일은 못 하는 바보”처럼 씁니다. 이런 자리에 ‘멍청이’라는 낱말을 넣어 보셔요. 도무지 안 어울립니다. “딸 바보”는 있어도 “딸 멍청이”는 없습니다.


  무슨 소리인가 하면, ‘바보’는 아직 제대로 모르는 사람일 뿐이기에, 앞으로 제대로 알 수 있는 사람을 가리킵니다. 아직 제대로 가르치거나 알려주는 사람이 없던 탓에 제대로 모를 뿐인 사람이 ‘바보’입니다. 이와 달리, ‘멍청이’는 제대로 가르치거나 알려주는 사람이 있어도 못 알아채는 사람을 가리켜요. 둘레에서 아무리 가르치거나 알려주어도 못 알아듣고 못 알아내는 사람이 바로 ‘멍청이’입니다.


  ‘바보’는 스스로 애써서 “제대로 아는 사람”이 될 수 있습니다. ‘멍청이’는 생각과 머리가 흐리기 때문에 스스로 애써야 하는 줄조차 모릅니다. 그래서, ‘멍청이’는 넋이나 얼이 빠진 채 있기 마련입니다. 넋이 빠진 채 있으니, 옆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알아채지 못하거나 느끼지 못해요.


  다시 한 번 말하자면, ‘바보’는 “배울 수 있는 사람”입니다. ‘멍청이’는 “배울 수 없는 사람”입니다. ‘바보’한테는 아직 가르칠 만한 사람이 찾아오지 않았을 뿐입니다. 그러니까, 바보인 사람 스스로 제대로 알려고 하지 않았다는 뜻이기도 한데, 바보가 바보인 까닭은 “제대로 모르는 사람”이기 때문에, 스스로 애쓰면 저도 바보에서 벗어나서 “제대로 아는 사람”이 되는 줄 모릅니다. 이런 모습이 바로 바보입니다. 그래서, 바보 곁에는 바보를 일깨울 동무나 이웃이 있어야 해요. ‘멍청이’인 사람은 이웃이나 동무가 아무리 많아도 “스스로 마음을 닫아걸어서 제대로 못 보는 눈이 흐린 사람”인 탓에 배울 길도 가르칠 길도 막힙니다.


  내가 스스로 깨어난 사람이라면, 나는 슬기로우면서 철든 ‘어른’입니다. 내가 스스로 깨어나지 못했으면 바보이거나 멍청이일 텐데, 내가 바보라면, 나도 슬기를 깨치고 셈이 트며 철이 들어 어른으로 거듭날 수 있습니다. 4348.2.28.흙.ㅎㄲㅅㄱ


(최종규/함께살기 . 2015 - 람타 공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