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글게 쓰는 우리 말

 (1589) 석줄노래


 삼행시(三行詩) : 세 줄로 이루어진 시



  ‘아침바람 찬바람에 울고 가는 저 기러기’로 첫머리를 여는 노래가 있습니다. 가위바위보를 하기 앞서 이런 노래를 부르기도 하는데, 이 노래를 가만히 살피면 “두 장 말고 세 장이요, 세 장 말고 네 장이요” 하는 대목이 나옵니다. 오늘날에는 아주 많은 사람들이 이 대목을 “세 장”과 “네 장”으로 쓰지만, 이 말마디는 “석 장”과 “넉 장”으로 바로잡아야 올바릅니다.


  “세 사람·네 사람”에서는 ‘세·네’이지만, “석 장·넉 장”과 “석 줄·넉 줄”처럼 ‘석·넉’으로 적어야 하는 자리가 있습니다. 이는 한자를 배우거나 가르칠 적에도 알아볼 수 있습니다. 한자 ‘三’과 ‘四’는 “석 삼”과 “넉 사”입니다. “세 삼”이나 “네 사”로 읽지 않습니다.


  언제부터인가 놀이나 재미 삼아서 꽤 많은 사람들이 ‘삼행시’를 쓰거나 읊습니다. 한국말사전을 찾아보면, “세 줄로 이루어진 시”로 풀이하는데, 이 풀이말은 틀립니다. “세 줄”이 아닌 “석 줄”이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삼행시’를 ‘세줄시’로 고쳐서 쓰는 사람이 대단히 많아요.


 세줄시 (x)

 석줄시 (o)


  어느 모로 본다면, 사람들이 하나같이 잘못 말하거나 엉터리로 말하더라도 ‘거의 모든 사람이 잘못 말하거나 엉터리로 말하는 투’가 오히려 ‘바른 말투’인 듯이 굳을 수 있습니다. 사회 흐름이기 때문입니다. 뿌리나 바탕을 살핀다면 틀리거나 잘못이거나 그릇된 노릇이지만, 사회 물결에 휩쓸리는 사람들은 옳고 바름을 안 따지거나 안 살피기도 합니다. 그냥 휩쓸려 가고 맙니다.


  그나저나, 나는 ‘석줄시’를 조금 더 생각해 봅니다. 우리는 ‘시(詩)’라는 낱말을 그냥 쓰기는 하는데, 석 줄로 쓰는 시란, 가만히 따지면 석 줄로 지어서 즐기는 노래와 같아요. 무엇보다 예부터 우리 겨레는 모든 ‘시’가 언제나 ‘노래’였습니다. 줄줄이 읊는 말은 ‘이야기’라 했고, 가락을 붙여서 읊는 말은 ‘노래’라 했어요. 다시 말하자면, 오늘날 ‘산문·수필’은 지난날에 ‘이야기’였고, 오늘날 ‘시’는 지난날에 ‘노래’였어요.


  ‘석줄시’는 ‘석줄노래’라 할 만합니다. 석 줄로 지어서 즐기는 노래이기에 ‘석줄노래’입니다. 누구나 홀가분한 마음으로 기쁘게 지어서 오순도순 나누는 노래이기에 ‘석줄노래’입니다. 4348.2.22.해.ㅎㄲㅅㄱ


(최종규/함께살기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