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너는 1등 하지 마 ㅣ 크레용하우스 동시집 2
이묘신 지음, 박혜선 그림 / 크레용하우스 / 2012년 10월
평점 :
시를 사랑하는 시 52
나는 재미있게 놀고 싶어
― 너는 1등 하지 마
이묘신 글
박혜선 그림
크레용하우스 펴냄, 2012.10.30.
아이는 누구나 스스로 놉니다. 장난감을 손에 쥐어도 잘 놀고, 장난감이 손에 없어도 잘 놉니다. 우리 집 두 아이도 이렇게 놀지만, 나도 어릴 적에 이렇게 놀았습니다. 장난감이 있으면 있는 대로 놀며, 장난감이 없으면 손가락을 장난감으로 삼고, 나뭇가지나 돌이나 가랑잎을 장난감으로 삼으며, 머릿속으로 온갖 장난감을 그려서 놉니다.
우리는 손에 쥔 장난감으로도 놀지만, 마음속에 생각으로 그린 장난감으로도 놉니다. 손에 쥔 장난감도 놀랍고 재미있을 뿐 아니라, 마음속으로 그린 장난감도 놀랍고 재미있습니다. 어느 장난감을 갖고 놀든, 마음을 따사롭고 넉넉하게 둘 수 있으면 됩니다.
.. 봉숭아 꼬투리에서 터진 씨앗들 / 바람과 술래잡기한다 .. (나야, 나)
시골에서 나무를 바라보며 놉니다. 나무를 탈 수 있고, 나무에 매달릴 수 있습니다. 커다란 나뭇줄기에 귀를 가만히 대고 한참 가만히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에 귀를 대고 눈을 감다가 깜빡 잠들 수 있습니다. 때로는 풀밭에 드러누워 잠들 수 있어요. 볕이 좋고 바람이 싱그러운 날 풀밭에서 잠들면 아주 상큼합니다. 흙과 풀과 바람과 볕과 나무가 우리를 따사롭게 돌보는 손길을 실컷 누립니다. 우리 몸에 아픈 데가 있다든지, 우리 마음에 슬픈 데가 있으면, 흙과 풀과 바람과 볕과 나무가 우리를 곱게 어루만지면서 다독여 주어요.
나는 어릴 적부터 풀밭에 드러누워 잠들기를 즐겼습니다. 어쩐지 이렇게 잠들면 무척 달콤하면서 아늑했어요. 도시에서는 풀밭을 만나기 어렵고, 마땅한 풀밭을 찾기란 매우 힘들지만, 학교 운동장 한쪽에 풀밭이 있으면 어김없이 이곳에 드러누웠어요.
풀밭에 드러누우면 개미가 내 몸을 타고 기어다닙니다. 풀밭에 드러누워 가만히 있으면 메뚜기나 사마귀도 내 둘레로 지나갑니다. 누워서 하늘을 보면, 구름이 얼마나 빠르게 하늘을 가르는지 알아챕니다. 누워서 눈을 감으면, 풀잎이 사각거리는 소리가 엄청난 노래잔치로 스며들고, 때때로 섞이는 멧새 노랫소리는 놀라운 숨결처럼 깃듭니다.
그러고 보면, 그리 멀지 않은 지난날까지 지구별 모든 아이들은 ‘풀밭에 누워서 노는 삶’을 누렸습니다. 누구나 풀밭에서 뒹굴고 풀밭에서 누우며 풀밭에서 이야기꽃을 피웠습니다.
.. 내가 기분 좋아 흥얼거리면 / 엄마 얼굴에 웃음이 가득해 / 내가 아파서 기운 없으면 / 옆에 있는 엄마도 힘이 없는 거야 .. (엄마와 이어진 줄)
흙바닥에서 뛰어놀면 다치는 일이 없습니다. 물구나무를 서든, 구르기를 하든, 흙바닥에서는 아무도 안 다칩니다. 흙바닥에서 노는 아이들은 그야말로 마음껏 달리고 뛰고 구릅니다. 시멘트나 아스팔트로 된 바닥에서 뛰어놀다가 넘어지면 크게 다치거나 깨집니다. 더군다나, 시멘트나 아스팔트로 된 바닥은 거의 자동차가 차지합니다. 아이들이 놀 빈터가 없어요.
도시에서 흙이 사라지며 아이들은 놀이를 빼앗깁니다. 시골에서는 아이를 도시로 빼앗겼고, 시골에서 아이를 도시로 빼앗기면서 농약과 비료가 춤추니, 시골은 도시 못지않게 풀밭도 빈터도 도시만큼 거의 없습니다. 이래저래 한국에서는 아이들이 놀 곳이 없고, 놀 틈이 없으며, 놀 생각마저 어른한테 빼앗깁니다. 아니, 학교와 학원으로 닦달하는 어른한테 모든 삶을 빼앗기는 아이입니다.
.. 할머니는 밥상을 가져와 / 텔레비전 앞에 앉았어요 / - 그래, 너하고 나하고 마주 보고 밥이나 먹자 .. (할머니와 밥)
이묘신 님 동시집 《너는 1등 하지 마》(크레용하우스,2012)를 읽습니다. 동시집 이름부터 축 처집니다. 1등을 하지 말라는 소리가 흐르는 동시라니, 이러한 삶이 오늘날 아이들 모습이라고는 하지만, 여러모로 가슴이 시립니다. 왜 1등을 하지 말아야 할까요. 왜 1등이 되면 서로 고단할까요. 어른이 세운 굴레에 갇힌 아이들은 왜 서로 다투거나 옥신거려야 할까요.
.. 윗집 빨랫줄에 / 매달린 / 빨래집게들 // 빨강 / 노랑 / 파랑 // 봄바람에 / 흔들흔들 / 꽃잎 같아 .. (빨래집게)
놀지 못하는 아이는 배우지 못합니다. 학교에만 가면 배운다고 잘못 생각하기 일쑤인데, 오늘날 학교에서는 아이한테 아무것도 안 가르칩니다. 시험공부만 시키는 학교는 참말 아이한테 아무것도 안 가르칩니다. 시험공부는 ‘공부’조차 아닐 뿐 아니라, 어떤 ‘가르침·배움’도 될 수 없습니다. 시험공부를 어디에 쓰나요? 시험공부로 밥을 짓거나 옷을 짓거나 집을 짓지 않습니다. 시험공부로는 사랑을 알 수 없습니다. 시험공부로는 꿈을 꾸지 못합니다. 시험공부로는 동무를 못 사귀고, 어른을 섬기지 못하며, 여행이나 놀이도 누리지 못해요. 시험공부로는 오직 대학입시 한 가지만 할 뿐입니다.
그러니, 우리 어른은 아이한테 시험공부를 시켜서는 안 됩니다. 우리 어른은 아이한테 시험을 들이밀지 말아야 합니다. 우리 어른이 할 일은 오로지 하나입니다. 바로 사랑입니다. 아이를 사랑하고, 아이를 사랑으로 돌보며, 아이와 사랑으로 삶을 지어야 할 뿐입니다.
사랑스레 즐겁게 읽을 책이 아니라면, 아이한테 책을 주지 말 노릇입니다. 독후감을 쓰거나 논술 훈련을 잘 하도록 읽히는 책이 아닙니다. 삶에 빛이 되는 길동무로 삼도록 하는 책입니다. 사랑을 누리거나 나누는 길잡이가 되는 책입니다.
.. 잠을 자려고 누웠는데 / 엄마가 동화책을 읽어 줬어요 / - 여우는 교활했어요 / - 엄마, 교활이 뭐야? / 엄마는 얼른 국어사전을 가져왔어요 / - 교활은 간사하고 꾀가 많다는 거야 / 꾀가 많은 건 알겠는데 간사란 말은 어려웠어요 / - 간사한 거는 뭐야? / 다시 사전을 찾는 엄마 / - 응, 간교하고 남을 잘 속이는 거야 / 속이는 건 알겠는데 간교가 뭔지 궁금했어요 / 엄마가 사전을 다시 찾았지요 / - 간교는 간사하고 교활하다는 거야 / - 어? 교활이 또 나왔네 / 사전도 할 말이 없어서 우물쭈물 / 엄마도 할 말이 없어서 우물쭈물 .. (말꼬리)
동시를 쓰는 어른은 글줄에 꿈을 실을 수 있기를 빕니다. 왜냐하면, 동시는 언제나 노래이기 때문입니다. 노래인 동시이니, 아이들이 언제나 노래를 부를 수 있도록, 꿈을 싣고 사랑을 담아 곱게 글을 쓰기를 빕니다. 노래가 될 만한 놀이를 어른부터 스스로 즐기면서 동시를 쓰기를 빌어요. 노래로 다시 태어날 만한 삶을 어른부터 스스로 가꾸면서 동시를 쓰기를 빌어요.
아이들은 재미있게 놀고 싶습니다. 아이들은 문학을 맛보거나 문화를 즐겨야 하지 않습니다. 아이들은 그저 놀아야 합니다. 아이들은 예술을 알거나 교육을 받아야 하지 않습니다. 아이들은 그저 놀면서 가슴에 사랑을 담고 마음에 꿈을 심어야 합니다. 동시가 나아갈 길은 ‘사랑을 노래하는 삶을 짓는 따사로운 꿈길’이라고 생각합니다. 4348.2.7.흙.ㅎㄲㅅㄱ
(최종규/함께살기 . 2015 - 시골에서 시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