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넋·삶 11 뭇느낌



  한국사람이 쓰는 말은 한국이라는 터에서 아주 오랫동안 이어온 말입니다. 그래서 이 말을 가만히 들여다보면, 예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어떤 삶을 어떤 넋으로 마주하면서 어떤 말로 갈무리햇는지 읽을 수 있습니다.


  토박이말을 살려서 써야 한다는 소리가 아닙니다. 한국말을 제대로 바라볼 수 있을 적에, 말과 넋과 삶이 얽힌 실타래를 스스로 풀면서, 생각을 마음에 씨앗으로 심는 얼거리를 손수 깨닫는다는 뜻입니다.


  정치권력은 으레 종교와 군대 두 가지를 일으킵니다. 종교는 예배당이라는 모습으로도 나타나지만 ‘학교(의무교육)’라는 모습으로도 나타납니다. 오늘날 현대문명에서는 종교가 ‘예배당’보다는 ‘학교’라는 모습으로 불거지기 일쑤입니다. 그래서, 학교에서 쓰는 교과서는 성경과 같고, 학교에서 일하는 교사는 성직자(목사, 신부, 스님)와 같기 일쑤입니다. ‘예배당·성경·성직자’는 ‘학교·교과서·교사’라는 모습으로 살짝 겉만 꾸몄을 뿐입니다.


  정치권력은 군대로 전쟁을 부추깁니다. 정치권력이 종교(학교)와 함께 군대를 두는 까닭은, 사람들을 바보로 만든 뒤 허수아비로 쓸 생각이기 때문입니다. ‘종교(학교)’는 마음을 가두는 쇠사슬입니다. 군대는 몸을 가두는 쇠사슬입니다. 마음이 갇힌 종(노예)이 되고 만 사람들은 몸도 갇히기 마련이니, 나라가 시키는 대로 ‘충성 맹세’를 하면서 목숨을 싸움터에서 버립니다. 이를 마치 ‘희생’이나 ‘애국’이라는 이름으로 덧씌우지만, 우리 목숨은 싸움터에서 사라지라고 있지 않습니다.


  정치권력이 종교와 군대로 이웃나라를 잡아먹은 뒤에 무엇을 하는지 생각해 보셔요. 맨 먼저 하는 일이 ‘말’ 바꾸기입니다. 정치권력이 거느린 ‘말’로 이웃나라 사람들이 ‘말’을 바꾸어서 하도록 억누릅니다. 지구별 모든 정치권력은 이웃나라를 식민지(종)로 억누르면서 무엇보다 ‘말’부터 빼앗습니다.


  한국사람은 아주 오랫동안 시골(숲)에서 삶을 손수 지으면서 가꾼 말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 말은 고려와 조선을 거치면서 많이 다쳤고, 개화기와 식민지를 지나면서 와르르 무너졌고, 해방과 군사독재를 가로지르는 사이 그만 목숨을 거의 잃었다고 할 만합니다. 그래서 오늘날 한국사람 가운데 ‘한국말’을 제대로 쓸 줄 아는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이러다 보니 ‘뭇’이라는 낱말은 아주 잊혀진 말이 됩니다. 우리 모두 ‘잊혀진 하느님’이듯이 ‘뭇’이라는 낱말은 ‘잊혀진 말’입니다.



 뭇짐승 . 뭇매 . 뭇발길 . 뭇별 . 뭇사람 . 뭇눈길(뭇시선)



  한국말사전을 뒤적이면 이럭저럭 몇 가지 ‘뭇’이 겨우 살아남은 모습을 엿볼 수 있습니다. 참말 겨우 살아남았지요. 오늘날 한국사람이 스스로 한국말을 잊었듯이, 한국말은 간당간당 가까스로 목숨줄만 잇습니다.


  ‘뭇’은 “매우 많은”이나 “모든”을 가리킵니다. 한자에서 ‘萬’이라는 낱말이 “숫자 10000”을 가리키면서 “매우 많은”이나 “모든”을 가리키는 얼거리하고 같습니다. 한국말 ‘뭇’은 “매우 많은”과 “모든”을 함께 가리킵니다.


  그러면, ‘뭇느낌’이란 무엇일까요? 오늘날 쓰는 한자말로 다시 옮긴다면, “모든 감정”입니다. “소중한 경험”이라 할 만한 “모든 감정과 가치판단”이 바로 한국말로 ‘뭇느낌’입니다.


  우리한테 좋거나 싫거나 밉거나 반갑거나 옳거나 그르거나 맞거나 틀리거나 예쁘거나 지저분하거나 멋지거나 좀스럽거나 이런저런 ‘감정’이나 ‘가치판단’ 같은 느낌이 있다면, 이는 우리 스스로 ‘뭇느낌’에 휩싸인 나날이라는 뜻입니다. 뭇느낌에 휩싸인 나날은 나쁘지도 좋지도 않습니다. 말 그대로 ‘뜻깊은 하루(소중한 경험)’입니다. 뜻깊은 하루를 잘 살피면서, 이를 장작불로 삼을 수 있다면, 우리는 모두 불꽃을 타고 홀가분하게 하늘을 가를 수 있습니다. 뭇느낌을 불태울 수 있는 사람은, 언제나 홀가분한 마음과 몸이 되어 우리 꿈으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 4348.2.1.해.ㅎㄲㅅㄱ


(최종규/함께살기 . 2015 - 람타공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