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주량’은 얼마인가
고등학교를 마친 뒤 대학교라는 곳에 살짝 들어갔습니다. 나는 대학교라는 곳에 갈 마음이 하나도 없었으나, 대학교라는 곳이 어떤 데인가 살짝 궁금하기도 해서 그야말로 살짝 겪어 보자고 생각했기에, 대학교에 안 가려던 마음을 조금 누그러뜨린 뒤, 대학교에 아주 살짝 발을 걸쳤습니다. 이때 내 둘레 사람들은 모두 이렇게 물었습니다. 하나하나 짚어 보지요.
ㄱ. 너는 어느 대학교에 다니느냐?
ㄴ. 너는 어디에서 왔느냐, 그러니까 네 고향은 어디이냐?
ㄷ. 너는 몇 학번이느냐?
ㄹ. 너는 술을 얼마나 마시느냐, 그러니까 네 주량은 얼마이냐?
ㅁ. 너는 네가 사귀는 이성친구가 있느냐?
이제 와 돌아보니 이런 물음은 하나도 우스꽝스럽지 않습니다. 예전에는 이런 물음이 몽땅 우스꽝스럽다고 여겼어요. 어떻게 된 노릇인지, ‘살짝 대학교에 발을 걸친’ 나한테 ‘내가 누구인지’ 묻는 사람은 모조리 이 다섯 가지를 차례대로 물었습니다.
무슨 소리인가 하면, ‘사회의식’에 스스로 갇혀서, 학교와 사회와 정치와 언론에 스스로 길든 사람들은 누구나 이 다섯 가지만 물을 수 있다는 뜻입니다. 사회의식에 덜 물든 사람은 다섯 가지 가운데 한두 가지를 안 묻기도 하고, 때로는 차례가 달라집니다. 이런 모습은 ‘사회의식에 덜 물든 모습’입니다. 그러니까, 사회의식에 제대로 물든 사람은 누구라 할 것 없이 바로 이 다섯 가지 차례대로 신나게 묻습니다. 하하하 웃음이 나올 노릇이지요.
‘주량’이라고 하는 ‘술그릇’을 헤아려 봅니다. 나는 내 ‘주량’이 없습니다. 무슨 뜻인가 하면, 나는 ‘내가 겪고 싶은 모습’이 있기 때문에 내 주량을 못박지 않습니다. 나는 늘 내가 마시고 싶은 대로 마십니다. 그래서, 어느 날에는 소주를 두 상자 마셨습니다. 이 경험은 아주 끔직해서 다시는 이 경험을 안 합니다. 어느 날에는 입에 술을 한 방울도 안 댑니다. 어느 날에는 맥주를 500들이 잔으로 마흔넉 잔을 마십니다. 이 경험도 지랄맞도록 끔찍해서 다시는 이 경험을 안 하기로 했습니다.
사람들은 술을 마실 적에 미리 ‘술그릇(주량)’을 못박습니다. 그래서, 스스로 못박은 술그릇에서 넘어가면 ‘스스로 넋을 잃고 해롱거리는 모습’을 참말 스스로 짓습니다(창조합니다). 웃기지요. 왜 스스로 술그릇을 못박나요? 누구나 소주 열 상자를 마실 수 있고, 누구나 맥주 백 상자를 마실 수 있습니다. 못 마시지 않습니다. 그리고, 이렇게 마셔도 몸이 멀쩡할 수 있어요. 왜냐하면, 이러한 술그릇을 스스로 마음에 그리면 그대로 됩니다. 술을 못 마시는 사람은 ‘슐 못 마시겠어’ 하는 마음을 스스로 못박았기 때문에 술을 못 마십니다. 4348.1.21.물.ㅎㄲㅅㄱ
(최종규 .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