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찍는 눈빛 109. 사진을 왜 찍는지 돌아보기



  사진을 찍은 지 사흘쯤 되든, 사진을 찍은 지 서른 해쯤 되든, 사진을 즐겁고 아름다우며 사랑스럽게 찍고 싶은 사람이라면, 늘 한 가지를 생각해야 합니다. 무엇을 생각해야 하느냐 하면, ‘나는 사진을 왜 찍지?’입니다.


  다른 사람 말을 하기보다 내 이야기를 하자면, 나는 ‘선물하고 싶어 사진을 찍습’니다. 내가 누군가를 사진으로 찍는다면, 내가 만난 그 사람한테 ‘그 사람이 오늘 이곳에서 이와 같은 모습으로 삶을 누렸다’는 이야기를 선물하고 싶어서 사진을 찍고, 종이로 뽑은 뒤, 책 사이에 살짝 꽂아서 가만히 내밉니다.


  나는 헌책방이라는 곳을 오랫동안 드나들면서 뒤늦게 헌책방을 사진으로 찍었습니다. 헌책방이라는 곳을 처음 사진으로 찍을 적부터 품은 생각은 언제나 하나입니다. ‘내가 이곳에서 찍은 사진은 언제나 이곳(이 헌책방)에 선물할 수 있을 만한 사진이 되도록 하자’고 생각합니다. 헌책방에 찾아온 손님을 찍은 사진이 있으면 두 장을 뽑습니다. 그래서 나중에 그 헌책방으로 다시 찾아가면 헌책방지기한테 사진 두 장을 건네면서, 하나는 헌책방지기한테 ‘헌책방을 찾아온 사람 자취’를 푼푼히 돌아보는 이야기꾸러미가 되도록 하고, 다른 하나는 ‘헌책방을 찾아온 손님’이 ‘책을 조용히 누리는 모습’이 이렇게 곱고 사랑스럽구나 하고 느끼실 수 있기를 바랐습니다.


  나는 헌책방이라는 곳을 사진으로 찍으면서 ‘큰 헌책방’이나 ‘작은 헌책방’을 따로 가리지 않았으나, ‘서울 청계천 헌책방거리’는 거의 사진으로 안 찍었습니다. 왜냐하면 청계천은 너무 많은 사람이 지나칠 뿐 아니라, 초상권을 어떻게 할는지 몹시 힘든 곳이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숱한 관광객이 눌러대는 사진기 단추 소리 때문에 웬만한 헌책방지기는 늘 머리카락이 곤두섭니다. 애써 예쁜 사진 한 장 찍었어도 ‘사진에 찍힌 책손’을 다시 만나서 사진을 건네기란 너무 어렵거나 아예 꿈도 못 꿀 만하구나 싶었습니다. 2001년부터 ‘부산 보수동 헌책방골목’을 사진으로 찍을 적에도 이런 느낌은 똑같습니다. 헌책방지기를 찍으면 이듬해에 찾아가서 드리기라도 할 수 있으나, 한 번 스치듯 찾아오고는 다시 찾아오지 않는 책손한테는 어떻게 사진을 건넬 길이 없고, 어느 한 곳을 단골로 드나들지 않는 책손이라면, 이분을 만나서 사진을 선물할 길이 없기도 합니다.


  ‘서울 청계천’이나 ‘부산 보수동’은, 사진 찍기에 좋은 곳입니다. 틀림없습니다. 사진 찍기에 좋은 곳입니다. 그러나, 사진으로 이웃을 사귀고 사진으로 이야기를 주고받으며 사진으로 책사랑을 키우기에는 그리 마땅하지는 못하다고 느낍니다. 이웃을 사귀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빨리빨리 지나가야 하는 마당에 이웃을 사귈까요? 이야기를 어떻게 나누어야 하나요? 왁자지껄 시끄럽고 어수선한 곳에서 아이들이 이리 뛰고 저리 달리는데 어떤 이야기를 어떻게 나누는가요? 책사랑이란 무엇일까요? 책탑이나 책꽂이를 그럴듯하게 사진으로 찍어서 멋스럽게 전시하면 되나요? 책 알맹이를 헤아리지 않고 책 껍데기만 번드레레하게 내세우면 되나요?


  나는 내가 단골로 다닌 모든 헌책방을 사진으로 찍었고, 내가 단골로 다닌 모든 헌책방에 ‘내가 그 헌책방을 찍은 사진’을 모두 종이로 뽑아서 드렸습니다. 낱장으로 드리기도 했고, 사진첩으로 엮어서 드리기도 했습니다. 헌책방에서 책을 살피시다가 문득 내 사진에 찍힌 여러 책손은, 헌책방지기가 징검다리를 놓아서 사진을 건네주셨고, 헌책방지기가 ‘내 사진에 찍힌 책손’한테 사진을 건넬 적에 으레 이야기꽃이 즐겁게 피어났습니다.


  헌책방이라고 하는 조그마한 책터에서 책을 아끼고 사랑하면서 즐기는 이야기가 샘솟기를 바라며 사진을 찍었습니다. 헌책방이라고 하는 아기자기한 책터에서 책을 돌보고 손질하면서 가꾸는 숨결이 흐르기를 바라며 사진을 찍었습니다. 헌책방이라고 하는 사랑스러운 책터에서 책을 노래하고 꿈꾸면서 어깨동무하는 웃음이 터지기를 바라며 사진을 찍었습니다. 꼭 ‘내가 찍은’ 사진이 아니더라도, 책손이 찍은 헌책방지기 얼굴이나 헌책방 풍경을 헌책방 책꽂이 한쪽에 핀으로 꽂은 모습을 볼 때면, ‘사진을 찍는 보람이나 기쁨이나 뜻’은 바로 이러한 데에 있구나 하고 늘 새삼스레 느꼈습니다. 이러면서 한 가지를 더 생각했어요. ‘내가 찍은 사진을 헌책방지기가 이녁 살림집에 커다랗게 붙일 만하다고 느껴서, 참말 커다랗게 뽑은 사진을 붙일 수 있’게 이끄는 사진을 찍자고 생각했습니다.


  나는 사진찍기를 글쓰기와 똑같이 봅니다. 글을 쓰는 까닭은 ‘내 지식을 자랑하려는 뜻’이 아닙니다. 글을 쓰는 까닭은 ‘내가 온삶에 걸쳐 깨닫고 북돋우며 일군 슬기를 널리 나누려는 뜻’입니다. 사진을 찍는 까닭은 ‘내 작품을 자랑하려는 뜻’이 아닙니다. 사진을 찍는 까닭은 ‘사진이라는 틀을 빌어 서로서로 얼마나 사랑스럽게 어우러지면서 기쁘게 삶을 짓는가를 함께 보고 함께 웃으려는 뜻’입니다. 4347.12.16.불.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사진책 읽는 즐거움)


..


이 사진은 서울 홍제동 '대양서점' 사진이고, 이곳 헌책방지기는 이 사진을 커다랗게 뽑은 액자를 이녁 일터인 헌책방에 걸어 주셨습니다. 예술의 전당이나 국립중앙도서관 같은 데에는 이 사진이 안 걸렸지만, 내가 사랑하는 헌책방에 걸렸기에 언제나 즐겁고 고맙습니다. 2003년 11월에 찍은 사진입니다. 그러고 보니 열 해 넘게 그 헌책방을 예쁘게 수놓아 주었군요......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녀키키 2014-12-16 11: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사진찍기와 글쓰기를 똑같이 본다... 쉬운 말인 듯 하지만 울림이 크네요. 제 사진찍기나 글쓰기를 돌아보게 합니다.

숲노래 2014-12-16 12:26   좋아요 0 | URL
사진과 글뿐 아니라,
밥짓기와 노래하기와 놀이하기
모두 같아요.
웃기와 울기와
하루하루 살아가는 나날과
서로 손을 잡고 어깨동무를 하는 일도,
빨래를 하고 설거지를 하며
살림을 꾸리는 모든 일도
다 똑같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