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여우 1
오치아이 사요리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14년 5월
평점 :
절판





만화책 즐겨읽기 426



여기에 있는 너와 나

― 은여우 1

 오치아이 사요리 글·그림

 강동욱 옮김

 대원씨아이 펴냄, 2014.5.23.



  햇살이 비춥니다. 이 겨울에 포근한 햇살이 비춥니다. 햇볕이 내리쬡니다. 여름날 들판을 후끈후끈 달구면서 곡식과 열매한테 새로운 숨결을 불어넣는 햇볕이 내리쬡니다.


  나는 아이들과 함께 마루에서 겨울해를 바라봅니다. 아이들은 나와 함께 마당에서 여름해를 누립니다. 나는 아이들과 마을 어귀 빨래터를 치우면서 겨울해를 맞아들입니다. 아이들은 나와 함께 자전거를 타고 들길을 달리면서 여름해에 까맣게 그을립니다.


  한겨울에 춥다고 방문을 꼭꼭 닫아걸면 해가 뜨는지 지는지 알 수 없습니다. 여름에 덥다며 창문을 꾹꾹 닫아건 뒤 에어컨을 돌린다면 해가 하늘에 걸렸는지 땅에 떨어졌는지 알 길이 없습니다.


  우리는 해를 먹으면서 삽니다. 한국사람이 즐기는 밥이란, 햇볕을 여름 내내 듬뿍 받아들인 벼풀이 맺은 풀열매입니다. 요즈음은 햇볕 한 줌 못 쬔 닭이나 돼지나 소를 고기로 먹는 사람이 많지만, 예부터 우리가 먹는 모든 고기는 햇볕을 쬐면서 살던 짐승을 잡아서 얻었습니다.





- ‘사람에게는 보이지 않지만, 내 눈에 보이는 건 내가 이 신사의 정당한 후계자이기 때문이다. 처음 보인 것은 엄마의 장례식 날이었다.’ (14쪽)

- “사람들을 조금이라도 행복하게 해 주는 게 나쁜 일이야? 잘난 척만 하고! 신의 사자라지만 결국 긴타로도 그냥 여우잖아!” (20쪽)

- “아빠는 마음속으로 믿고 있단다. 그러니까 긴타로 님은 계시는 거야. 그리고 신을 대신해 너와 모두를 지켜 주고 계시지. 하지만 없다고 믿으면 정말로 없어져 버려. 신의 사자라 해도 신과 마찬가지니까.” (31쪽)



  겨울에도 마당에서 맨발로 놀고 싶은 아이들을 물끄러미 바라봅니다. 아이들은 맨발로 뛰어놀면서 “아, 덥다!” “더워, 더워!” 하고 외칩니다. 더운 나머지 옷을 한 꺼풀 벗고, 또 덥기 때문에 옷을 두 꺼풀 벗습니다. 볼은 빨갛고 땀이 흐릅니다. 여름에도 겨울에도 해를 보면서 자랍니다. 언제나 해님을 동무로 삼습니다.


  그렇습니다. 지구별 모든 아이들은 언제나 해를 마주합니다. 지구별 모든 아이들은 해님을 먹고 해님을 바라보며 해님을 노래하면서 자랍니다. 지구별 모든 아이들은 햇살로 자라고 햇볕으로 크며 햇발처럼 환하게 웃음짓습니다.


  이 아이들이 커서 어른이 되고, 어른이 된 아이들은 사랑을 나누고 꿈을 짓는 두레로 나아갑니다. 해를 먹고 해를 마시며 해를 즐기는 아이들은 이웃과 어깨동무를 하면서 놀이를 새롭게 짓습니다. 해처럼 따스하게 동무를 사귑니다. 해처럼 골고루 흙을 가꿉니다. 해처럼 아름답게 이야기를 주고받습니다.





- “평소부터 저러고 다니니까 그렇게 거만할 수밖에. 우리가 장난을 좀 치긴 했지만 그렇게까지 나무랄 일은 아니잖아?” “그러지 말고, 친하게 지내자.” “아이고 나는 됐네요. 그러고 싶으면 너는 그러든가. 쟤가 정중히 사과한다면 또 몰라도.” (97쪽)

- “어머니께 전해요. 나 오늘 집에 안 간다고.” “예?” “하하, 저 얼굴 봤냐?” “꼭 한 번 해 보고 싶었어.” (113쪽)



  오치아이 사요리 님이 그린 만화책 《은여우》(대원씨아이,2014) 첫째 권을 읽습니다. 일본에 있는 절집(신사)을 둘러싼 이야기가 흐릅니다. 어릴 적부터 ‘여우님’을 볼 수 있는 아이는 다른 여느 아이들이 느끼지 못하는 기운을 느끼고, 다른 여느 아이들이 헤아리지 않는 길을 헤아립니다.




- “신사는 정말 신기해. 여기 있기만 해도 많은 사람들과 이어지거든. 오늘도 신기한 세 사람이 여기 있잖아. 나는 이 공간을 없애고 싶지 않아.” (120쪽)

- “지금 우리는 같은 나이에 같은 학교에서 같은 시간을 보내고 있지. 그건 우리가 알고 있는 시간이지만, 하지만 수백 수천 년 동안 남아 있는 몇몇 유물들은 지금까지 쭉 우리가 모르는 시간을 계속 봐 오고 있어. 그리고 앞으로도 그렇겠지. 신기하지 않아?” (132∼133쪽)



  ‘은여우’는 오래된 절집을 지키는 ‘님’입니다. 일본 절집에는 절집을 지키는 님이 여럿 있고, 은여우는 여러 님 가운데 하나라고 합니다. 만화책을 읽으며 가만히 생각합니다. 한국에도 오래된 절집이 있습니다. 커다란 절도 있지만 마을에 조그마한 서낭집이 있습니다. 서낭집은 마을을 지키는 님이 깃드는 곳입니다. ‘우상’이나 ‘잡신’이 깃드는 데가 아니라 ‘마을 지킴이’가 고이 쉬는 곳이 서낭집입니다.


  일본 만화 《은여우》에 나오는 여우님이 깃드는 곳은 절집입니다. 일본 절집은 처음부터 커다랗게 짓지 않았다 하고, 마을마다 조그맣게 지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마을에서 지내며 마을을 돌보는 님은 예부터 마을사람 누구나 알아볼 수 있었다고 합니다.


  곰곰이 돌아보면, 한겨레도 예부터 님을 다 알아보았습니다. 이를테면, 도깨비라고 하는 님을 예부터 누구나 보았어요. 도깨비를 보고 도깨비불을 봅니다. 무엇보다 ‘님’이라는 말을 써서 사람과는 다른 테두리에서 다른 곳에 있는 이웃을 헤아렸습니다.





- “옛날에는 경계 같은 게 없어서 넓은 세상 어디에나 신이 있었지. 뭐, 하지만 지금은 도리이 안이 집이야.” “어쩐지, 신이 계시는 곳이 적어졌구나.” (142쪽)

- “이런, 마코토. 신이 계시는 곳은 작아지지 않았어.” “뭐? 어디.” “모두의 여기(가슴) …… 하지만 정말이야. 신은 신사가 아니어도 어디에나 계신단다. 신사는 사람들도 이해하기 쉽고, 도리이라는 표시가 있으니까 신이 여기 계시는구나 하는 거지.” (148∼149쪽)

- “옛날 우리가 태어나기 훨씬 전에는 신과 인간 모두 즐겁게 공존했지. 하지만 언제부턴가 신을 모시는 자들만 볼 수 있게 됐고, 결국에는 거의 대부분의 사람에게 보이지 않게 되었어.” (185쪽)



  내 앞에 나무가 한 그루 있어도 이 나무를 못 볼 수 있습니다. 내 앞에 자동차가 있어도 이 자동차를 못 볼 수 있습니다. 내 앞에 책이 있어도 이 책을 못 볼 수 있습니다. 내 앞에 수많은 사람이 스치고 지나가도 아무도 못 알아볼 수 있습니다.


  나는 무엇을 볼까요. 우리는 무엇을 볼까요. 내가 마음을 기울이면서 알아차리는 님이란 무엇일까요. 우리를 둘러싼 도깨비와 도깨비불을 까맣게 잊거나 못 알아보면서, 우리는 우리 이웃과 동무가 누구인지까지 모두 잊거나 못 알아보면서 오늘 하루를 보내지 않나 궁금합니다. 우리를 둘러싼 숱한 님을 알아보면서 이웃으로 지내던 지난날에는 우리 이웃과 동무를 ‘집에 있는 밥숟가락’까지 모두 헤아리면서 알뜰살뜰 서로 아끼면서 지냈으리라 느낍니다.


  인터넷이 있어 온갖 지식과 정보는 아주 빠르게 흐릅니다. 신문과 방송과 책이 넘쳐 갖은 지식과 정보는 엄청나게 넘칩니다. 그러나, 오늘날 이 땅에는 꿈과 사랑이 자라지 못합니다. 오늘날 이 땅에서는 꿈과 사랑을 가르치거나 배우는 학교를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우리는 무엇을 볼까요? 여기에 있는 너와 나는 누구일까요? 4347.12.4.나무.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시골에서 만화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