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化)' 씻어내며 우리 말 살리기

 (189) -화化 189 : 습관화


오래 습관화된 통제적 방식으로 행동할 때 의도치 않게 자기 자신과 주위 사람들에게 고통을 줄 수도 있다

《댄 뉴하스/안진희 옮김-부모의 자존감》(양철북,2013) 9쪽


 오래 습관화된

→ 오래 버릇이 된

→ 오래 길든

→ 오래 젖어든

→ 오래 뿌리내린

 …



  ‘습관화’는 한자 ‘習慣 + 化’로 엮은 낱말입니다. 한자말 ‘습관’이기에 뒤에 ‘-화’가 달라붙습니다. 한국말 ‘버릇’이라면 뒤에 ‘-화’가 달라붙지 않습니다.


  한국말사전에서 ‘버릇’이라는 낱말을 살피면 “(1) 오랫동안 자꾸 반복하여 몸에 익어 버린 행동 (2) 윗사람에 대하여 지켜야 할 예의”로 풀이합니다. 그러니까, ‘버릇’과 ‘습관’은 뜻이 같은 낱말입니다. 하나는 한국말이고 다른 하나는 한자말입니다. 하나는 예부터 한국사람이 쓰던 낱말이고, 다른 하나는 바깥에서 들어온 말입니다.


 일정한 시간에 자고 일어나는 생활의 습관화가 필요하다

→ 같은 때에 자고 일어나는 삶을 뿌리내려야 한다

→ 같은 때에 자고 일어나는 버릇을 들여야 한다

 습관화된 행동은 고치기 어렵다

→ 버릇이 된 몸짓은 고치기 어렵다

→ 버릇은 고치기 어렵다

 일기 쓰기를 습관화하다

→ 일기 쓰기를 몸에 붙이다

→ 일기 쓰기를 늘 하다


  버릇으로 삼는 일이란 ‘늘 하는’ 일입니다. 버릇이 되도록 하는 일이란 ‘삶이 되’도록 하는 일입니다. ‘몸에 붙이’고 ‘손에 익’도록 할 때에 버릇이 된다고 합니다.


  어느새 길들 수 있습니다. 어느덧 젖어들기도 합니다. 시나브로 뿌리를 내리고, 차근차근 익숙합니다. 4347.11.9.해.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오래 짓눌려 버릇이 된 몸짓일 때에, 뜻하지 않게 둘레 사람과 나를 괴롭힐 수도 있다


“오래 습관화된 통제적(統制的) 방식(方式)으로 행동(行動)할 때”는 “오래 짓눌려 버릇이 된 몸짓일 때에”나 “오래 짓눌려 버릇이 되어 움직일 때에”로 손질합니다. “의도(意圖)치 않게”는 “뜻하지 않게”로 손보고, “자기(自己) 자신(自身)과”는 “나와”로 손보며, “주위(周圍) 사람들에게 고통(苦痛)을 줄 수도”는 “둘레 사람들을 괴롭힐 수도”로 손봅니다.



습관화(習慣化) : 습관으로 되거나 습관이 되게 함

   - 일정한 시간에 자고 일어나는 생활의 습관화가 필요하다 /

     습관화된 행동은 고치기 어렵다 / 일기 쓰기를 습관화하다

습관(習慣) : 어떤 행위를 오랫동안 되풀이하는 과정에서 저절로 익혀진 행동 방식


(최종규 . 2014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