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도 괜찮아 푸른도서관 40
안오일 지음 / 푸른책들 / 201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를 사랑하는 시 41



아이들은 사랑으로 태어나서 자란다

― 그래도 괜찮아

 안오일 글

 푸른책들 펴냄, 2010.11.25.



  밤새 아이들 이불깃을 여밉니다. 여름에도 겨울에도 으레 이불을 뻥뻥 차면서 뒹구르르 구르는 아이들이기 때문입니다. 갓난쟁이였을 적에는 기저귀를 가느라 밤잠을 못 이루고, 조금 큰 뒤에는 밤오줌갈이를 하느라 밤잠을 못 이루며, 제법 큰 요즈음은 이불깃 여미느라 밤잠을 못 이룹니다. 작은아이가 열 살은 넘어서야 비로소 밤잠을 느긋하게 누릴 만할까 하고 헤아립니다.


  우리 집에 찾아온 아이들은 모두 사랑입니다. 사랑을 받아 태어났고, 사랑을 받으면서 살며, 사랑을 오롯이 돌려주면서 하루를 누립니다. 마음껏 뛰놀고 어지르면서 즐겁습니다. 신나게 달리거나 구르면서 기쁩니다. 배불리 먹고 목청껏 노래하면서 신납니다.


  할 수 없는 놀이는 없습니다. 할 수 없는 일은 없습니다. 무엇이든 곱게 생각하면서 차근차근 이룹니다. 자전거놀이를 하든 소꿉놀이를 하든 인형놀이를 하든 평상놀이를 하든 흙놀이를 하든 꽃놀이를 하든, 무엇이든 다 할 수 있습니다. 하늘을 바라보고 들을 살핍니다. 나무 열매를 함께 따고 들풀을 함께 뜯습니다. 서로 아끼면서 돕는 삶을 날마다 짓습니다.



.. 미술 숙제가 아버지 발 그려오기다 // 술 마시고 곯아떨어진 / 아버지의 발을 그렸다 // 처음으로 아버지의 발을 자세히 봤다 ..  (아버지의 발)



  아이들은 사랑으로 태어나서 자랍니다. 어른이 된 사람도 누구나 사랑으로 태어나서 자랍니다. 어른이 되었기에 더 안 자라도 되지 않습니다. 어른이 되었으니 회사에 나가 돈만 벌어야 하지 않습니다.


  아이들은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을 거쳐서 학교에 다녀야 하지 않습니다. 아이들은 학교에 가려고 태어나지 않습니다. 아이들은 사랑을 받으려고 태어납니다. 아이들은 사랑을 받으면서 삶을 배우려고 태어납니다.


  아이를 낳은 어버이가 할 일은 ‘아이한테 사랑으로 삶을 가르치기’입니다. 어버이 누구나 할 일이란 ‘아이를 사랑으로 바라보며 삶을 물려주기’입니다.



.. 빈 화분에 / 꽃씨를 심고 물을 주었다 // 아기 손톱 같은 싹이 나왔다 // 예쁘게 웃어 주었다 ..  (꽃씨와 나)



  대학교에 보내려고 아이를 낳지는 않겠지요? 돈만 버는 기계로 키우려고 아이를 낳지는 않겠지요? 손자나 손녀를 보려고 아이를 낳지는 않겠지요?


  아이를 낳는 어버이는 먼저 생각을 해야 합니다. 아이를 낳기 앞서, 아이를 왜 낳으려 하는지 생각을 해야 합니다. 아이를 낳은 뒤 이 아이와 어떻게 살아갈 마음인지 생각을 해야 합니다. 아이를 낳고 나서 이 아이와 함께 ‘어버이 스스로 어떻게 삶을 지어 가꾸겠노라’ 하고 생각을 해야 합니다.


  학교가 아이를 가르치지 않습니다. 학교에 아이를 도맡길 수 없습니다. 아이는 어버이한테서 사랑을 물려받고 사랑을 배워야 합니다. 아이는 어버이 곁에서 ‘삶을 이루는 모든 것’을 이어받을 수 있어야 합니다. 어버이는 아이 곁에서 ‘삶을 이루는 모든 것’을 차근차근 보여주면서 알려줄 수 있어야 합니다.



.. 약속 시간이 많이 남아 / 오랜만에 걸었다 / 차로만 다녀서일까 / 늘 지나던 길이었는데도 / 없다가 생긴 것처럼 낯선 것들이 많았다 ..  (걸어야겠다)



  오늘날 한국 사회를 살펴보면, 도시에서든 시골에서든 그저 ‘입시 지옥 구렁텅이’입니다. 어느 어버이라 하든 아이를 사랑으로 낳았을 텐데, 정작 아이들한테 삶을 가르치지 않고 ‘입시 지식’만 쑤셔넣으려 합니다. 아이들이 사랑을 배우도록 북돋우지 않고 ‘시험 공부’만 시키려 합니다.


  아이들은 ‘수험생’이 되려고 태어났나요? 아이들은 해맑은 나날을 오직 ‘시멘트 교실’에 갇혀 해도 바람도 비와 눈도 맞지 못하면서 교과서와 참고서와 문제집만 들여다보도록 태어났나요? 아이들은 왜 대학교에 가야 하고, 아이들은 왜 교과서 지식에 갇혀야 하나요? 우리 어버이들은 왜 아이들을 끔찍한 시험지옥과 입시지옥에 몰아넣을까요?



.. 체육 시간 / 달리기를 하다 넘어졌다 // 깨진 무릎을 감싸는데 / 손 하나가 다가왔다 / 싸우고 이틀 동안 말 안 하던 친구다 ..  (손)



  안오일 님이 쓴 ‘청소년시’를 그러모은 《그래도 괜찮아》(푸른책들,2010)를 읽습니다. 이 시집에 모인 시들은 거의 모두 ‘입시지옥에서 앓는 아이들을 달래는 이야기’를 다룹니다. ‘오롯이 선 한 사람’이 아니라 ‘번호표를 받고 시험지옥에서 허덕이는 소모품’이 되어야 하는 아이들을 다룹니다.


  책이름에서도 엿볼 수 있지만, 이 시집은 푸름이를 ‘달래’거나 ‘다독이’려는 뜻으로 태어납니다. 아무래도 한국 사회가 온통 입시지옥이니 이러한 시집이 태어날밖에 없구나 싶습니다.


  그러면, 어른들은 무슨 일을 해야 할까 궁금합니다. 입시지옥을 어찌할 길이 없으니, 입시지옥이 끝날 때까지 더 기운을 내서 버티라고 해야 할까요? 입시지옥에서 아이들을 건져내야 하지 않나요? 입시지옥을 따순 햇볕으로 녹여 없애야 하지 않나요? 학교가 입시지옥이 아닌 ‘사랑스러운 배움터’가 되도록 슬기를 모아야 하지 않나요?



.. 언젠가는 노란 꽃을 피울 것 같다 ..  (순영이)



  동시도 청소년시도 어른시도 모두 ‘학교 밖’으로 나올 수 있기를 빕니다. 어떤 시이든 ‘제도권 울타리’가 아닌 삶을 바라볼 수 있기를 바랍니다.


  아이들은 참말 아픕니다. 그러나, 아이들을 아프게 하는 사람은 바로 ‘우리 여느 어버이 모두’입니다. 대통령이 아이들을 아프게 하지 않습니다. 국회의원이나 시장이나 군수나 판사나 의사나 변호사가 검사나 뭐 이런저런 기자나 지식인이나 학자나 교수나 교사나 이런저런 어른들이 아이들을 아프게 하지 않습니다. 아이를 낳아 돌보는 여느 어버이가 아이들을 아프게 합니다. 왜 그럴까요? 여느 어버이 스스로 이 입시지옥에 아이들을 내몰기만 하기 때문입니다. 여느 어버이 스스로 아이들한테 교과서와 참고서와 문제집만 잔뜩 안기기 때문입니다. 여느 어버이 스스로 아이들을 입시지옥에 몰아세운 뒤 ‘삶과 사랑은 아예 안 보여주고 안 가르치기’ 때문입니다.


  시집 《그래도 괜찮아》가 아픈 푸름이를 달래려는 넋은 예쁘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푸름이가 아파서 달래려고만 해서는 시도 문학도 글도 삶도 이야기도 될 수 없습니다. 푸름이가 아픈 뿌리가 무엇인지 읽어서 밝힐 수 있어야 합니다. 이 아픈 뿌리를 뽑아서 새로운 씨앗을 심을 수 있어야 합니다.


  아무쪼록 다음 시집에서는 ‘현상 건드리기’에서 거듭날 수 있기를 빕니다. 겉만 건드린대서 아픈 생채기를 다스릴 수 있지 않습니다. 어디가 어떻게 아픈지 모르면서 ‘어머니 손은 약손’이라 말한들, 아픈 곳을 다스리지 못합니다. 아이들을 아프게 하는 뿌리를 알아채고, 아이들을 사랑스럽게 보듬는 삶을 마주하면서, 아이와 어른이 함께 배우고 자라는 기쁜 사랑을 노래할 수 있을 때에 비로소 청소년시가 튼튼하게 설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4347.11.3.달.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청소년문학 비평)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