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용
이한구 지음 / 눈빛 / 201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진잡지 <포토닷> 2014년 11월호에 함께 싣는 글이다


..


내 삶으로 삭힌 사진책 86



온마음 다해 사랑하는 사진

― 군용

 이한구 사진

 눈빛 펴냄, 2012.10.16.



  들꽃을 사진으로 찍으려면 들꽃이 핀 곳으로 가야 합니다. 들꽃이 피는 곳으로 가지 않으면 들꽃을 사진으로 못 찍습니다. 왜냐하면, 들꽃이기 때문입니다. 동백꽃을 사진으로 찍으려면 동백나무가 자라는 곳으로 가야 합니다. 동백나무가 자라는 곳에 가서 동백꽃이 피는 이른봄을 맞이해야 비로소 동백꽃을 사진으로 찍을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동백꽃이기 때문입니다.


  사진만 헤아린다면, 옷이나 가방이 새긴 들꽃 그림을 사진으로 담으면서 ‘들꽃’ 이야기를 들려줄 수 있습니다. 찻잔이나 책에 새긴 들꽃 사진을 다시 사진으로 담으면서 ‘들꽃’하고 잇닿는 이야기를 길어올릴 수 있습니다. 그런데, 누군가 들꽃을 그림으로 그린다든지 찻잔에 들꽃 사진을 새기려면, 맨 먼저 들꽃한테 찾아가서 사진을 찍거나 그림을 그린 사람이 있었을 테지요.


  내 아이를 낳지 않아도 이웃에 아이가 있으면, 아이들이 뛰노는 모습을 사진으로 담을 수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아이들이 학교와 학원과 스마트폰과 인터넷에 사로잡혀 골목에서 놀지 못하지만, 아시아 여러 나라를 찾아다니면서 골목놀이 어린이를 사진으로 담을 수 있습니다. 한편, 골목동네를 밀어내고 들어선 아파트를 사진으로 찍고 아파트 놀이터를 사진으로 찍으면서, 이러한 것을 빗대어 ‘골목놀이 어린이’ 이야기를 곰곰이 짚을 수 있습니다.



.. 군입대 통지서가 나왔다. 잠잘 때도 카메라를 머리맡에 두고 자던 스무 살 무렵이었다. 예상했던 일이기에 놀라진 않았으나, 몇 년 동안 사진을 찍을 수 없겠구나 하는 생각에 절망감이 들었다. 늘 해 오던 대로 카메라를 들고 종로와 청계천 일대를 어슬렁거렸는데 유독 휴가 나온 군인들이 눈에 띄었다 ..






  이한구 님은 《군용》(눈빛,2012)이라는 사진책을 선보였습니다. 이한구 님이 겪은 군대 이야기를 담은 사진책입니다. 이 사진책에 깃든 군대 모습을 돌아보면, 함부로 찍을 수 없는 모습이라든지, 군대에서 바깥에 비밀로 감추는 모습을 엿볼 만합니다. 이한구 님은 책끝에 몇 마디를 붙이면서 “촬영한 필름들이 하나둘 늘어 갔다. 피엑스에서는 흑백 필름의 현상이 불가능했다. 비닐봉지로 싸서 땅속에 묻었다. 비가 오면 필름에 빗물이 스밀까 봐 잠이 오지 않았다. 휴가 때마다 혼자만의 수송작전을 펼쳐서 집까지 공수했다.” 하고 밝힙니다. 군대에서 현상이나 인화를 하기 힘들기도 했을 테지만, 현상과 인화를 했더라도 이 사진을 섣불리 다른 사람한테 보여줄 수 없었으리라 느낍니다. 군대 바깥에서는 ‘아무것 아니네’ 하고 여길 수 있지만, 군대에서는 ‘군사기밀 위반’이라고 할 모습이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군사기밀을 들먹이는 군대에서도 사진을 찍는 사람이 있습니다. 계급이 있는 간부가 되면 그리 어렵지 않게 사진을 찍습니다. 비무장지대에서건 철책에서건 참호에서건 지오피 초소에서건 수색이나 매복을 하는 때이건 깊은 두멧자락에 천막을 치고 여러 날 묵으며 훈련을 할 때이건, 간부들은 거리끼지 않고 사진을 찍습니다. 사열을 사진으로 찍기도 하고, 대대장이나 연대장이나 사단장 상장을 줄 적에도 사진을 찍으며, 단체행사나 진급신고를 할 적에도 사진을 찍어요.


  여느 사병은 사진기를 몰래 숨겨서 사진을 찍습니다. 하사관이나 중대장이 틈틈이 관물검사를 하지만, 사병끼리 숨긴 사진기는 거의 들통이 나지 않습니다. 이 사람 저 사람 함께 숨깁니다. 서로서로 아주 깊은 곳에 사진기와 필름을 감춥니다.


  내가 군대에 있을 적을 돌이키면, 필름 한 통조차 군대에 못 가지고 들어왔습니다. 내가 있던 군대는 강원도 양구군 동면 원당리라는 곳에 있었는데, 지도로 보면 남녘 땅이 아닌 북녘 땅이었습니다. 지오피에서 내려와 주둔지에 있더라도 외출이나 외박을 ‘리 단위 작은 마을’ 언저리에서 맴돌았고, 이곳에서 몇 곱에 이르는 바가지를 쓰곤 했습니다.





.. 가자, 최전방으로. 어차피 가야 하는 군대라면 후방에서 뭉개지 말고 최전방을 겪기로 마음을 굳혔다. 역으로 생각하면 입대는 내 삶에서 최전방을 경험할 수 있는 유일한 기회이기도 했다. 군대. 외부에서 주어진 의미 외에, 나만의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 같았다. 보병이면서도 사진을 찍을 수 있을 것이라는 ..



  사진이란 무엇일까요. 군대에서 찍는 사진이란 무엇일까요. 한국이라는 나라에서 돈과 이름과 힘이 없으면 모두 끌려가는 군대라는 곳에서 사진이란 무엇일까요.


  사회에서 민주다 평등이다 평화다 하고 외치더라도, 군대에서는 민주도 평등도 평화도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군대라는 곳은, 전쟁훈련과 살인훈련을 시켜서 적군을 무너뜨리려는 뜻으로 세웠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런저런 줄을 대어 널널한 곳으로 빠지는 사람이 많고, 아무런 줄이 없는 사람은 가장 막다르거나 고된 멧골짜기 추운 곳으로 가기 일쑤입니다. 내가 군대에 있던 1995∼97년만 하더라도 도시 인구가 아주 많았고, 시골에서 농사짓는 사람은 매우 적었는데, 내가 있던 군대에는 시골에서 농사를 짓다 들어온 사람과 여느 공장 일꾼으로 있다가 들어온 사람이 아주 많아 ⅔를 차지했어요.


  사내는 군대에 가야 사람이 된다는 얘기가 떠돌았습니다. 그런데, 내가 군대에 들어가서 겪기로는, 군대에 가면 거친 말을 배우고 주먹질에 길들며 계급과 신분에 따라 고분고분 따라야 하는 제도권 질서에 얽매입니다. 서로 사람답게 아끼는 사랑이나 함께 어깨동무를 하면서 슬기로운 삶을 가꾸는 길을 배우지 못합니다. 게다가 젊은 사내를 꽁꽁 틀어막은 뒤 곧잘 성인비디오를 틀어 주는 군대이니, 학교나 사회에서 제대로 성교육이나 사랑교육을 받지 못한 젊은 사내는 가시내를 가시내가 아닌 성 노리개로 바라보는 눈길에 젖어듭니다.


  사회에 환하게 드러나지 않은 군대 모습이라고 할 텐데, 영화를 찍는 이는 군대에서 겪은 이야기를 무대나 장치로 되살려서 보여줄 수 있습니다. 글이나 그림은 군대에서 겪은 대로 머릿속으로 되살려서 풀어낼 수 있습니다. 그러면, 사진은 어떻게 군대 이야기를 보여줄 수 있을까요. 바로 오늘 이곳에서 이루는 이야기인 사진은, 사진기도 필름도 못 들여오도록 하는 군대에서 어떤 이야기를 담아서 보여줄 수 있을까요.


  나는 군대에서 1회용사진기를 썼습니다. 소대나 분대에서 돈을 모아 1회용사진기를 한 대 장만하기로 말을 맞춥니다. 그러고는 꼼꼼하게 계획을 세웁니다. 누군가 휴가를 나가거나 외출을 나갔다가 돌아올 적에 1회용사진기를 챙겨서 가져와야 하는데, 휴가자나 외출자가 부대로 돌아올 때에 경계근무를 서는 사람이 누구인지 찬찬히 따집니다. 경계근무 서는 이가 가까운 사이라면, 이녁한테 줄 선물을 미리 챙겨 사진기를 봐 달라 말합니다. 경계근무 서는 이가 깐깐하다면, 1회용사진기를 비닐봉지로 싸서 땅에 파묻고 부대로 돌아갑니다. 그러고는 밤에 경계근무를 서러 나올 적에 ‘아까 파묻은 자리’로 몰래 조용히 가서 캡니다.





.. 1989년, 원하던 대로 최전방 15사단 승리부대에 배치됐다. 찍고 싶은 것을 찾는 데는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처음엔 크고 극적인 것들을 찍게 되리라 여겼는데, 시간이 갈수록 마음에 들어오는 것은 작고 애잔한 것들이었다 ..



  분대와 소대마다 몰래 들여와서 찍은 사진은 다시 몰래 바깥으로 가지고 나가는데, 면소재지에 있는 문방구에 맡겨서 필름을 찾고 사진을 뽑습니다. 원본필름은 문방구에서 바로 불살라 없앱니다. 우리는 사진 몇 장만 챙깁니다. 비무장지대 안쪽 지오피와 선점에서 내내 있었기 때문에, 사진기나 필름이 사열이나 검열이나 검사에서 걸리면 바로 영창으로 잡혀갔어요. 그런데, 몰래 사진기를 들여와서 몰래 찍고 몰래 찾은 사진은 하나같이 ‘금강산을 뒤로 하고 손가락 브이를 그린 모습이거나, 눈을 쓸다가 찍은 모습, 비가 내려 길이 깎였기에 곡괭이와 삽을 들고 길을 다시 닦으려고 일하던 모습, 얼굴을 재로 새까맣게 발라서 야간행군을 하다가 찍은 모습, 내무반에서 깔깔거리며 놀던 모습’입니다. 이른바 군사기밀에 걸릴 만한 모습은 처음부터 찍을 일이 없습니다. 젊은 사내들이 사회와 아주 동떨어진 데에 갇혀서 쓸쓸하게 지내며 끼리끼리 웃고 노는 모습만 있습니다. 군대에서는 계급과 신분에 따라 거친 말과 주먹과 발길이 오가지만, ‘군대 기념’으로 찍는 사진에는 웃고 놀며 까부는 모습만 가득합니다. 고작 스물을 살짝 넘긴 앳된 사내들이 개구지게 뒹구는 모습입니다.






.. 결국 카메라를 손에 쥘 수 있었던 것은 상병이 되고 나서였다. 그러나 자유로운 촬영은 불가능했다. “이한구 상병의 방독면은 카메라인가? 카메라가 너를 살려 주나?” 방독면 케이스에 카메라를 넣고 화학전 대비 야간훈련을 나갔다가, 부대장으로부터 가스실에 맨 얼굴로 들어가는 처벌을 받기도 했다 ..



  사진은 언제 어디에서나 찍습니다. 사진은 온마음을 다해 삶을 사랑하면서 찍습니다. 이한구 님이 겪은 군대 이야기가 깃든 《군용》에도, 사진가 아닌 여느 군인이던 젊은 사내가 군대에서 끼리끼리 어울려 웃고 울며 찍은 ‘기록’에도 애틋한 삶이 흐릅니다.


  곰곰이 생각해 봅니다. 군대에서 온갖 폭력과 살인 사건이 끊이지 않는데, 군인한테 사진기를 손에 쥐어 주고 스스로 군대살이를 사진으로 담으라 하면 어떤 이야기를 차곡차곡 담을 수 있을까요. 군대는 전쟁훈련을 시키는 곳이라 평화와 동떨어지지만, 군인이 되어야 하는 젊은 사내한테 사진기를 손에 쥐어 주면, 평화나 사랑이라는 싹이 살짝 필 수 있을까 하고 생각해 봅니다. 4347.10.9.나무.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사진책 읽는 즐거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