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말을 죽이는 외마디 한자말
(1336) 통하다通 70
생의 소중한 기억들이 바느질을 통해 오롯이 손끝에 집중됐다
《김소연-수작사계, 자급자족의 즐거움》(모요사 펴냄,2014) 94쪽
바느질을 통해
→ 바느질을 거쳐
→ 바느질을 하는 동안에
→ 바느질을 하는 사이에
→ 바느질을 하면서
…
어떤 이야기가 손끝으로 모이는 길에 바느질을 ‘거칩’니다. 그러니까, 바느질을 ‘거쳐’ 어떤 이야기가 손끝으로 모입니다. 한편, 바느질을 ‘하는 동안’ 이야기가 손끝으로 모여요. 바느질을 ‘하는 사이’에 이야기가 손끝으로 모입니다. 4347.10.29.물.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삶에서 살뜰한 이야기들이 바느질을 하면서 오롯이 손끝에 모였다
“생(生)의 소중(所重)한 기억(記憶)”이란 무엇일까 궁금합니다. 먼저, ‘소중’이라는 한자말은 “매우 귀중하다”를 뜻합니다. ‘귀중(貴重)’은 “귀하고 중요하다”를 뜻하고, ‘중요(重要)’는 “귀중하고 요긴함”을 뜻합니다. 다른 한자말을 더 찾아보아도 돌림풀이일 뿐, ‘소중’이 무엇인지 알 길이 없어요. 그러나, 이 보기글을 가만히 헤아린다면, 살아가면서 애틋하거나 즐겁거나 기쁘거나 반갑거나 아름다운 이야기를 되새긴다고 하는 뜻이지 싶어요. 그러면, 이러한 뜻대로 “삶에서 살뜰한 이야기”나 “삶에서 아름다운 이야기”나 “내 삶에서 살뜰한 이야기”나 “아름다운 이야기”로 손볼 수 있어요. ‘집중(集中)됐다’는 ‘모였다’로 손질합니다.
..
우리 말을 죽이는 외마디 한자말
(1337) 통하다通 71
편식 같은 건 우리 집에서 통하지 않았다
《사노 요코/윤성원 옮김-나의 엄마 시즈코상》(이레,2010) 88쪽
우리 집에서 통하지 않았다
→ 우리 집에서 받아들이지 않았다
→ 우리 집에서 할 수 없었다
→ 우리 집에 없었다
…
밥을 먹을 적에 이것만 먹거나 저것만 골라서 먹는 일을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해요. 골라먹기나 가려먹기를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하니, 이런 밥버릇은 ‘곱게 보아넘기지’ 않은 셈입니다. 따끔하게 나무랐다든지, 모질게 꾸짖었다고 할 만합니다. 이를 단출하게 가리킨다면, “우리 집에는 골라먹기 따위는 없었다”쯤 될 테지요. 4347.10.29.물.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골라먹기 따위는 우리 집에 없었다
‘편식(偏食)’은 ‘골라먹기’나 ‘가려먹기’로 손질하면서 새 낱말을 빚을 수 있습니다. “같은 건”은 “따위는”이나 “같은 일은”으로 손봅니다.
(최종규 . 2014 - 우리 말 살려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