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넋 41. ‘다른 말’과 ‘틀린 말’

― 한국말을 바로보고 바로세우는 길



  사람마다 삶이 다릅니다. 그래서 사람마다 말이 다릅니다. 경상도와 전라도는 말이 달라요. 삶터가 다르고 사람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충청도와 경기도도 말이 다르지요. 삶터와 삶자락이 모두 다를 뿐 아니라 사람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전라남도와 경상남도에서 잘 자라는 나무가 경기도나 서울에서는 잘 자라기 어렵습니다. 날씨와 철과 바람과 햇볕과 물이 모두 다르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흙이 다르고, 숲과 들과 바다가 다르지요. 똑같은 잣나무나 참나무라 하더라도 강원도와 충청도에서 자라는 나무는 달라요. 크기도 모양새도 빛깔도 냄새도 다릅니다.


  아 다르고 어 다르다는 말이 있습니다. 아와 어는 같을 수 없습니다. 서로 다릅니다. 표준말로는 “했고요”라 할 테지만, “했구요”라든지 “했구만”이라든지 “했지라”라든지 “했지비”라고 할 수 있습니다. 고장마다 다르고 사람마다 다릅니다. 아 다르고 어 다르다 할 적에는, 바로 이처럼 삶자락과 고장마다 다른 삶결에 따라 말이 다르다고 하는 뜻입니다.


  이와 달리, ‘틀린 말’이 있습니다. 한국말에는 현재진행형이나 과거분사가 없습니다. 그런데 영어 같은 외국말을 한국사람이 배우려고 하면서, 그만 서양 말법에 따라 현재진행형과 과거분사 꼴로 ‘번역’을 해야 했고, 이런 번역 말투가 어느새 한국사람한테 널리 퍼졌습니다. 이를테면 “가고 있습니다”라든지 “먹고 있습니다”라든지 “했었거든요”라든지 “먹었었어” 같은 말투는 모두 틀립니다. 잘못 쓰는 말투예요. 이런 말투는 “갑니다”와 “먹습니다”와 “했거든요”와 “먹었어”로 바로잡아야 합니다. 오늘날 사회는 지구가 마치 한집인듯이 여기곤 하지만, 지구가 한집이어도 한국말과 영어는 같은 말이 아닌 다른 말입니다. 영어 말법을 한국 말법에 집어넣을 수 없는 노릇입니다. 생각해 보셔요. 미국사람은 ‘싱글싱글·싱글벙글·빙글빙글·싱긋싱긋·싱긋빙긋·빙긋빙긋·방긋방긋·방글방글·벙글벙글·벙긋벙긋’ 같은 한국말을 영어로 적을 수 없습니다. 서로 다른 겨레가 서로 다른 삶에 따라 서로 다른 말을 쓰기 때문에, 우리는 우리대로 한국말을 한국 말법에 맞게 쓰고, 영어 쓰는 나라에서는 그 나라 삶에 따라 그 나라 말법을 즐겁게 씁니다.


  일본사람은 일본말로 “준비 땅!”을 쓰는데, 아직 꽤 많은 한국사람은 이런 일본말을 버젓이 씁니다. 일본말인 줄 모를 뿐 아니라, 오랫동안 몸에 익었다면서 이런 말투를 털지 않습니다. 글이나 말 첫머리에는 “하여”나 “해서”나 “하지만”을 넣을 수 없습니다. 이런 말투는 “이리하여”나 “이리해서”나 “그러하지만(그렇지만,그러나)”으로 바로잡아야 합니다. “하여·해서·하지만”은 모두 ‘틀린 말’입니다. 잘못 쓰는 말투를 잘못 퍼뜨리는 노릇입니다. 그런데, 이런 말투를 쓰는 적잖은 이들은 잘잘못을 느끼거나 헤아리지 않기 일쑤예요. ‘틀린 말’을 쓰면서, ‘다른 말’인듯이 잘못 여기거나 둘러댑니다.


  “가벼운 미소”나 “넓은 광장”은 모두 잘못 쓰는 말입니다. ‘틀린 말’입니다. “가벼운 웃음”이나 “넓은 터(광장)”로 바로잡아야 합니다. 잘못 쓰는 ‘틀린 말’은 틀린 말일 뿐 ‘다른 말’이 될 수 없습니다. 생각해 보셔요. 된장찌개에 된장을 안 넣고 간장이나 소금을 넣어도 간이 맞아요. 그러나 된장찌개가 아닌 간장찌개나 소금찌개입니다. 된장을 안 넣고도 된장찌개라는 이름을 붙일 수는 없습니다. 콩나물국에 소금이 아닌 설탕을 넣으면 어찌 될까요. ‘다른 콩나물국’을 끓이는 셈일까요, ‘틀린(잘못 끓인) 콩나물국’을 끓이는 셈일까요.


  ‘축제’는 일본말입니다만 어느덧 한국 사회에 이 일본말은 깊이 뿌리를 내립니다. 영어를 썩 안 좋아하는 이들은 ‘축제’나 ‘축전’ 같은 한자말을 쓰고, 말을 깊이 살피지 않는 사람은 ‘페스티벌’이나 ‘쇼’나 ‘비엔날레’ 같은 영어를 써요. 한국말로 ‘잔치’나 ‘큰잔치’나 ‘작은잔치’나 ‘마당’이나 ‘한마당’을 쓰는 사람이나 모임이나 지자체를 보기란 아주 어렵습니다. 한국말을 옳거나 알맞거나 아름답거나 즐겁게 쓰지 않는 일을 놓고 ‘다른 말’이라고 여겨도 될는지 아리송합니다. 아이들과 ‘생일잔치’를 하지 않고 ‘생일파티’를 하는 모습도 ‘다른 말’을 쓰는 모습이라고 해도 될까 궁금합니다.


  다른 삶터는 저마다 아름답습니다. 서울과 부산은 저마다 달라 아름답습니다. 경기와 강원과 전라와 경상과 충청은 서로 다른 터전이요 마을이고 이야기이기에 저마다 아름답습니다. ‘다른 말’이란 무엇이겠습니까. 우리가 저마다 다른 곳에서 다른 보금자리를 다른 몸가짐과 눈길로 사랑스레 가꾸는 삶일 때에 아름다운 ‘다른 말’이 태어납니다. 하늘을 올려다보면서 “구름이다” 하고 말할 사람이 있고, “구름이 있네” 하고 말할 사람이 있으며, “구름이 토끼처럼 생겼네” 하고 말할 사람이 있을 테고, “구름은 하늘에서 사는구나” 하고 말할 사람이 있어요.


  ‘다른 말’이란 저마다 다르게 사랑하면서 가꾸는 삶에서 찬찬히 태어나는 아름다운 말입니다. ‘다른 말’은 서로서로 아끼고 사랑합니다. ‘다른 말’은 이웃과 동무가 쓰는 말을 가만히 살피거나 귀여겨들으면서 새롭게 맞아들입니다. ‘다른 말’은 말법이나 말틀이나 말삶을 무너뜨리거나 일그러뜨리지 않습니다.


  일제강점기에 쳐들어온 말은 모두 ‘틀린 말’입니다. 영어를 배우는 일은 뜻있습니다만, 영어 말투나 말법을 한국말에 억지로 끼워맞추려는 모습은 올바르지 않습니다. ‘my’를 ‘내’가 아닌 ‘나의’로 번역해서 가르치거나 쓰는 일은 모두 ‘틀린 말’입니다. ‘your’는 ‘네’로 번역해야 옳고 맞지, ‘너의’로 번역하면 ‘틀린 말’입니다. 바다는 ‘바닷가’요 내는 ‘냇가’이며 강은 ‘강가’입니다. 이를 ‘해변’이나 ‘천변’이나 ‘강변’처럼 한자를 빌어서 써야 할 까닭은 없습니다.


  틀리게 쓴 말은 알맞게 바로잡으면 됩니다. 이제껏 틀리게 썼으면 앞으로 바로잡으면 됩니다. 내가 쓰는 말투 열 가지 가운데 열 가지가 모두 ‘틀린 말’일 수 있습니다. 그러면 한 가지씩 차근차근 바로잡으면 됩니다. 한국말을 한 가지씩 새롭게 배우면서 즐겁게 쓰면 돼요.


  내 삶을 바로보면서 내 말을 바로세웁니다. 내 넋을 바로보면서 내 삶길을 바로잡습니다. ‘틀린 말’을 잘못 받아들여서 쓴 일은 부끄럽지 않고, 대수롭지 않으며, 꾸중 들을 일이 아닙니다. 이제껏 한국말을 제대로 배우지 못했을 뿐입니다. 우리 모두 슬기롭게 삶과 넋과 말을 바로보면서 즐겁고 아름다우면서 사랑스럽게 한국말을 가꿀 수 있기를 바랍니다. 4347.10.5.해.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