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 숨을 쉬지 못할 적에



  권정생이라는 할배가 숨을 거둔 때가 2007년 봄이다. 나는 2003년 여름부터 2007년 이월까지 이오덕 님 글과 책을 갈무리하는 일을 맡았고, 이동안 경상도 안동에 몇 차례 찾아가서 이야기를 듣고 사진을 찍기도 했다. 이때 권정생 할배한테서 들은 말 가운데 늘 가슴에 남는 대목은 “나 대신 아파 해 달라”이다. 권정생 할배는 옆구리에 구멍을 내어 끼운 노란 고무호스를 보여주었다. 오줌을 이렇게 빼내야 한다면서, 이 고무호스를 아침저녁으로 갈아끼우는데 참으로 아프다고 했다. 이런 일을 마흔 해나 하며 살자니 아주 힘들다고 했다.


  그런데 이 말을 찬찬히 받아들이는 사람은 그때에나 이제에나 거의 없지 싶다. 권정생 할배가 손님들한테 자주 들려준 말, “나 대신 아파 해 달라”를 몸과 마음으로 받아들이는 사람은 얼마나 될는지 궁금하다.


  나는 코로 숨을 잘 못 쉰다. 때때로 코가 잘 뚫려서 숨을 그럭저럭 잘 쉬기도 하지만, 입을 꾹 닫고 지내자면 숨쉬기가 갑갑하기 일쑤이다. 어느덧 마흔 해를 이렇게 산다. 여름이 끝나고 가을로 접어들면 그야말로 숨을 쉬는 일이 고단하다. 도무지 숨을 쉴 수 없어 코를 훌쩍이거나 풀지만, 아무리 풀고 풀어도 콧물은 끝없이 나온다. 콧물이 나올 뿐 아니라 코가 꽉 막힌다. 나중에는 골이 아프고 온몸을 비틀어 용을 쓰지만 이도 저도 하지 못한다. 밤새 코를 풀고 다시 풀기를 여러 시간 하면 아주 깊은 밤에 겨우 한쪽 코가 살짝 뚫려 가늘게 숨을 쉴 수 있다. 이때에 비로소 잠이 든다.


  한 해 내내 숨쉬기가 힘겨운 나날이다 보니, 냄새와 맛을 잘 느끼지 못하고, 웬만한 일에는 무디거나 무덤덤하게 지내자고 여기곤 한다. 숨을 한 차례 쉬는 일보다 대수로운 일이란 없다고 느끼기 때문이다.


  늘 막히고 갑갑하던 코가 처음으로 뚫린 때는 군대에서이다. 스물한 살 나이에 비로소 도시를 떠나 시골에서, 시골이라기보다 두멧자락에서 스물여섯 달을 보내야 했는데, 군대에서는 숨을 쉬는 걱정이 없었다. 다만, 군대에서도 한겨울이나 한여름은 괜찮았으나 봄과 가을은 죽을 노릇이었다. 그래도, 도시가 아닌 시골에서는 코가 확 트인다고 깨달았다. 예부터 몸이 나쁜 이들이 시골로 가서 맑은 바람과 밝은 햇볕을 머금으면서 싱그러운 물과 꽃내음과 나무노래를 들으면서 몸을 되살리려 했다는 이야기를 아주 잘 느꼈다.


  숨을 제대로 쉬지 못하는 몸이니, 군대라는 데에도 안 가야 했다. 신체검사를 맡은 군의관은 나더러 어떻게 군대에 가려 하느냐며 거꾸로 나한테 따졌다. 그래서 신체검사를 받던 때 군의관더러, 그렇게 잘 알면 그렇게 검사 결과가 나온 대로 하십쇼 하고 말했는데 면제가 아닌 현역을 주었다. 군대를 안 갔다면 내 오늘이 어떤 모습이었을는지 모르겠는데, 군의관이 부정을 저질러 준 탓에 나는 ‘두멧시골’이라는 터전을 새롭게 바라보면서 깨달을 수 있었다.


  아무튼, 군대를 마치고 도시로 돌아오니 다시 괴로운 나날이 이어진다. 도무지 숨을 쉴 수 없었다. 참말 다들 어떻게 이런 도시에서 같은 바람을 마시면서 살는지 아리송했다. 그렇다고 섣불리 도시를 떠나지도 못했다. 시골에 아는 사람이 없고, 밑돈도 없었으니까.


  숨을 쉬기 몹시 어려운 몸이기에 ‘몸이 아픈 사람’을 볼 때면 새삼스러운 생각이 들곤 한다. 몸이 아플 적에는 작게 다쳤건 크게 다쳤건 똑같이 아프다. 더 아프거나 덜 아픈 일이란 없다. 그런데 나는 마음속으로 늘 이렇게 생각한다. ‘자네는 숨을 쉴 수 있잖아? 숨을 못 쉬니?’


  숨은 쉬더라도 숨통이 안 붙은만 못하다 싶은 삶도 있으리라 느낀다. 그런데, 숨을 제대로 쉬기 어려워 골골대야 할 적에는 그야말로 아무것도 못 한다. 잠을 자지도 밥을 먹지도, 그리고 숨을 쉬지도 못한다. 앉지도 서지도 눕지도 못한다. 참으로 어정쩡하게 코를 부여잡고 산다.


  코가 없으면 입으로 숨쉬면 된다고 여기는 사람이 있다면, 다문 십 분만 입으로 숨을 쉬어 보라고, 아니 일 분만 입으로 숨을 쉬라고 말해 주고 싶다. 입으로도 숨을 쉴 수야 있겠지. 그런데 입으로 숨을 쉬면 곧 목이 막힌다. 목이 말라서 재채기가 끝없이 나온다. 재채기가 나오다가 나중에는 피가 나오고, 입으로 더는 숨을 쉴 수 없다.


  우리 몸은 왜 밥을 먹어야 할까. 우리 몸은 왜 숨을 쉬어야 할까. 우리 몸은 왜 물을 받아들여야 할까. 어릴 적부터, 아주 어릴 적부터 숨쉬기가 몹시 힘들어 날마다 괴로운 나날을 보내야 하다 보니, 참말 나는 어릴 적부터 ‘밥·숨·물’이 왜 있어야 하는가를 생각해야 했다. 밥도 숨도 물도 없는 몸으로는 살 수 없는가. 넋이 깃드는 몸은 오롯이 홀가분할 수 없는가. 스물다섯 살 무렵이던가, 권정생 할배가 쓴 《하느님의 눈물》이라는 동화책에서 토끼가 풀잎이 아닌 이슬과 바람만 먹으면서 살고 싶다고 하느님한테 눈물로 이야기하는 대목을 읽었는데, 참말 나는 토끼와 같은 마음이었다. 아무것도 먹지 않고, 게다가 이슬과 바람조차도 없이 살고 싶다는 마음이었다.


  어릴 적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꼭 한 가지를 느낀다. 숨을 제대로 쉬기 벅차서 몸은 가없이 힘들고 괴롭지만, 내 넋은 몸과 달리 참으로 고요하다. 아프기 때문에 배운다고는 생각하지 않으나, 왜냐하면 안 아파도 얼마든지 배우기 때문인데, 숨을 제대로 못 쉬는 아픈 몸으로 넋과 마음을 늘 새삼스레 되돌아볼 수 있다. 4347.10.4.흙.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람타 공부)


댓글(2)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garilob 2015-04-04 12:03   좋아요 0 | URL
저도 코가 막혀 거의 잠을 못자요

garilob 2015-04-04 12:03   좋아요 0 | URL
글에 공감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