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기쓰기와 시골 들일



  시골마을 푸름이와 글쓰기를 이야기하다가 문득 한 가지가 떠올랐다. 나 스스로 생각하기에도 참 재미있었다. 일기를 날마다 못 쓰겠다고 하는 푸름이한테, 또 여느 글을 쓰기도 어렵다고 하는 푸름이한테, 너희는 시골마을에서 태어나 자라는 시골아이인 만큼, 시골사람이 들일 하는 모습을 떠올리면 된다고 알려주었다.


  시골에서 나고 자란 사람은 날마다 논밭에 가서 풀을 베거나 김매기를 하더라도 힘들지 않다. 늘 하는 일이다. 도시에서 나고 자라다가 시골로 온 사람더러 날마다 풀베기를 하라고 시키면 못 한다. 곧 등허리가 끊어질듯 아플 테며, 이러다가는 골병이 든다.


  어릴 적부터 십 리이든 이십 리이든 걸어서 다닌 사람은 다섯 리쯤 걷는 일이란 수월하다. 어릴 적부터 십 리이든 이십 리이든 거의 안 걷고 지낸 사람은 다섯 리뿐 아니러 석 리를 걸어도 벅차다.


  시골일이 아직 낯선 사람은 날마다 섣불리 해서는 안 된다. 차근차근 천천히 알맞게 하면서 몸을 맞추어야 한다. 걷기가 익숙하지 않은 사람은 처음부터 너무 많이 걷거나 오래 걸으면 안 된다. 조금씩 걸음을 늘려야 한다.


  일기를 쓰든 다른 글을 쓰든, 부디 날마다 쓸 생각은 하지 말고, 잘 쓸 생각도 하지 말며, 길게 쓸 생각조차 하지 말라고 이야기해 준다. 마음속에서 샘솟는 이야기가 있다든지, 마음에 갇힌 응어리 같은 이야기가 있다면, 이 이야기를 남김없이 적으면 되지만, 이야기가 샘솟지 않거나 응어리가 없다면 굳이 글을 안 써도 된다고 알려준다.


  나는 글을 어떻게 쓰는가 하고 돌아본다. 내 글쓰기는 아침저녁으로 밥을 차려서 아이들과 나누는 살림하고 같다. 내 글쓰기는 시골사람이 풀을 베거나 뜯어서 거름으로 삼거나 나물로 먹는 삶하고 같다. 내 글쓰기는 아침에 일어나서 해바라기를 하는 삶하고 같다. 내 글쓰기는 밤마다 별바라기를 하면서 춤추고 노래하는 삶하고 같다. 내 글쓰기는 물을 마시고 바람을 마시는 삶하고 같다.


  학교에서 숙제로 시킨다고 해서 할 수 있는 글쓰기가 아니다. 보고서를 내야 하거나 독후감을 써야 한다 하더라도 갑자기 글을 쓸 수 있지 않다. 첫째, 글은 삶과 같이 쓴다. 둘째, 글은 이야기가 흐를 때에 쓴다. 셋째, 글은 마음을 풀거나 맺을 때에 쓴다. 4347.10.1.물.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삶과 글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