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마을 보살피기
마을이 있기 앞서 조그마한 집이 있습니다. 조그마한 집에는 조그마한 사람이 하나 있고 둘이 있습니다. 하나에서 둘이 된 집안은 셋 넷 다섯으로 차츰 늘어납니다. 한솥밥 먹는 사람이 늘어나지요. 조그마한 집은 보금자리입니다. 이러한 보금자리에 한솥지기가 늘고 또 늘면서 제금을 나는 새로운 집이 태어납니다. 새로운 집이 태어나고 또 태어나면서 어느새 마을을 이룹니다. 모든 마을은 처음에는 조그마한 집 하나에서 비롯합니다.
조그마한 집 하나 있을 적에는 따로 길이 없습니다. 집 둘레가 온통 숲입니다. 냇물이 흐르고 나무가 우거지며 온갖 풀이랑 꽃이 짙푸릅니다. 집과 집이 모여 마을을 이루면, 숲 사이로 알맞게 길을 냅니다. 밭을 조금씩 일구어 들을 넓힙니다. 둠벙을 파기도 하고, 마을이 커지면 울력을 해서 못을 파기도 합니다.
예부터 사람들은 책이 아닌 입에서 입으로 말을 가르치고 이야기를 대물림했습니다. 모시와 삼에서 실을 얻으면서 노래를 불렀고, 물레를 잣고 베틀을 밟으며 노래를 불렀으며, 바느질을 하면서 노래를 불렀어요. 아기한테 젖을 물리면서 노래를 불렀고, 두레와 품앗이를 할 적에도 노래를 불렀습니다. 그러니까, 먼먼 옛날부터 집집마다 이야기와 노래가 있었고, 마을마다 이야기와 노래가 넘쳤어요.
오늘날 도시에는 아주 많은 집이 아주 다닥다닥 촘촘히 모입니다. 골목동네뿐 아니라 아파트에도 집이 아주 많습니다. 그런데, 집은 아주 많으나, 집집마다 따로 이야기나 노래가 흐르지는 않습니다. 텔레비전이 흐를 뿐이고, 학교에서 교과서를 배울 뿐입니다. 오늘날에는 아파트 단지나 골목동네에서 따로 ‘공동체 문화’를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이러는 동안 작은 보금자리가 흔들립니다. 작은 보금자리에서 노래가 흐르지 않으니 사랑이 싹트기 어렵습니다.
학교를 다니거나 인문책을 읽는다고 해서 두레살이나 보금자리를 살리지 않습니다. 마음속에 사랑이라는 씨앗을 심으려는 생각을 지을 때에 비로소 두레살이와 보금자리를 살릴 수 있습니다.
작은 보금자리는 작은 땅뙈기를 일구면서 태어납니다. 넓디넓은 땅이 있어야 배불리 먹지 않습니다. 서로 알맞게 지을 수 있는 땅이 있으면 되고, 나머지 땅은 드넓은 숲이나 들로 곱게 두면 됩니다. 갯벌을 메워야 하지 않습니다. 숲을 밀거나 멧자락을 깎아야 하지 않습니다. 모두 그대로 둬요. 모두 그대로 살려요. 이럴 때에 작은 집과 마을과 고을과 나라가 모두 새롭게 살아납니다. 4347.9.26.쇠.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골목길 언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