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우유와 소보로빵 마음이 자라는 나무 8
카롤린 필립스 지음, 전은경 옮김, 허구 그림 / 푸른숲주니어 / 200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푸른책과 함께 살기 116



너도 내 동무이니?

― 커피우유와 소보로빵

 카롤린 필립스 글

 허구 그림

 전은경 옮김

 푸른숲주니어 펴냄, 2006.2.3.



  요즈음 시골에서는 까치 우짖는 소리를 듣기 만만하지 않습니다. 요즈음은 시골에서 까치를 무던히도 싫어합니다. 아니, 오늘날 시골에서는 까치를 끔찍하게 미워합니다.


  어느 은행은 무척 오랫동안 까치를 이녁 은행 상징그림으로 썼지만, 어느 때부터인가 슬그머니 까치 그림을 치웠습니다. 1980년대에 국민학교를 다니며, 이때에 학교에서 배우기를, 까치는 언제나 반가운 손님을 부른다 했어요. 요즈음은 어떠할까요? 요즈음도 학교에서 이렇게 가르칠까 궁금합니다.



.. 바로 그때, 누군가의 목소리가 들려왔다! 샘은 깜짝 놀라 자기도 모르게 몸이 굳어 버렸다. “저기, 깜둥이다!” … 샘은 갑자기 머릿속이 뒤죽박죽이 된 듯했다. 이렇게 즐거움에 휩싸여 있는 사람들을 보고 있노라니, 이 도시의 한쪽 거리에서 불과 두 시간 전에 돌과 화염병이 날아다녔다는 사실이 믿기지 않았다 ..  (19, 37쪽)



  까치나 멧새나 텃새가 곡식을 쪼아먹는다고 합니다. 시골에 있는 새들이 밭뙈기에 심은 콩알을 마구 파먹는다고 합니다. 옛날에는 사람과 새와 벌레가 콩을 한 알씩 나누어 먹었다 해서 ‘콩 석 알’을 노래했다는데, 이런 노래는 새마을운동 언저리부터 아주 사그라들었습니다. 새마을운동은 시골마다 ‘석면(슬레트) 지붕’을 씌우도록 들볶았을 뿐 아니라, 온 들과 숲에 농약을 뿌리라고 다그쳤으며, 흙밭으로 된 고샅과 마당을 시멘트를 들이부어 메꾸라고 닦달했습니다.


  가만히 보면, 새마을운동 때부터 시골에서 아이들이 사라집니다. 새마을운동 때부터 시골은 텅 빈 외톨이가 됩니다. 그리고, 시골에서 아이들이 사라지면서, 시골 어른들이 새를 미워하거나 싫어합니다. 시골에서 새와 놀거나 노래할 아이들이 사라지면서, 시골 어른들은 새하고 콩 한 알 나누던 마음을 몽땅 잃거나 잊고 맙니다.



.. 대체 어디로 돌아간다는 말인가? 고향으로? 집으로? 그것이 어디 있는데? 태어나서 자라던 마을과 부모님, 그리고 가족은 더 이상 그곳에 존재하지 않았다. 그렇다면 에리트레아는? 에리트레아는 이제 전쟁이 끝나고 한창 제건을 하고 있었다. 하지만 샘 엄마는 새롭게 세워지는 에리트레아에 이렇다 할 소속감을 느끼지 못했다. 솔직히 에리트레아보다는 독일에서 사는 게 더 익숙했다 … 사진 속의 아이들은 샘처럼 갈색 피부를 갖고 있었다. 하지만 둘 사이의 공통점은 그게 전부였다. 샘은 자신이 그 아이들과 같이 생활하는 모습을 도무지 머릿속에 그려 볼 수가 없었다 ..  (64, 69쪽)



  옛날에는 새와 벌레하고 콩을 한 알씩 나누어 먹을 뿐 아니라, 겨울에는 빈 그릇에 곡식을 덜어서 바깥에 내놓기도 했습니다. 눈 덮인 들과 숲에서 텃새가 굶거나 추위에 떨까 근심하면서, 시골사람은 누구나 으레 이녁 밥그릇에서 곡식을 덜어 기꺼이 ‘이웃’하고 나누었어요. 이웃이란, 바로 토끼요 새이며 작은 숲짐승입니다.


  사람만 이웃이 아닙니다. 사람만 서로 동무가 되지 않습니다. 예부터 어느 나라 어느 겨레에서든, 사람들은 누구나 짐승하고도 이웃과 동무로 지냈어요. 새하고 서로 아기자기하게 노래하며 어울렸어요.


  시골에서 벌과 나비와 벌레가 꽃가루받이를 해 줍니다. 벌과 나비와 벌레는 새가 잡아먹습니다. 벌레가 너무 많으면 애써 꽃가루받이를 해 주었어도 모두 갉아먹겠지만, 새가 벌레를 알맞게 잡아먹습니다. 그리고, 새는 기쁘게 노래하지요. 마을마다 온갖 새가 찾아들면서, 들판마다 갖은 새가 날아다니면서, 사람들한테 맑고 그윽하며 구수하고 싱그러운 노래를 들려줍니다.


  고단하게 일하던 사람들은 새노래를 듣고 새로운 마음이 됩니다. 마당에서 고샅에서 들에서 숲에서 냇가에서 놀던 아이들은 새노래를 들으며 새로운 꿈을 키웁니다. 새가 들려주는 노래는 참말로 새노래입니다. 새가 불러서 새노래인 한편, 새로운 사랑과 삶을 속삭이기에 새노래입니다.



.. 샘에게 피부 색깔만큼은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그리고 앞으로도 전혀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지 않은 문제였다. 독일사람들 중에는 피부색을 진한 갈색으로 바꾸기 위해, 한여름에 햇볕에 나가 그을리려고 안달하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 … “다시는 이런 짓 하지 마. 알았어? 네 피부는 죽을 때까지 갈색이야. 그리고 난 내 아들의 피부가 희어지는 것 싫어! 지금 이대로가 좋아. 정말로 중요한 건 여기, 그리고 이쪽에 뭐가 들어 있는가 하는 것이야!” 엄마는 이렇게 말하며, 샘의 머리와 가슴을 쿡쿡 찔렀다 ..  (83, 86쪽)



  카롤린 필립스 님이 빚은 푸른문학 《커피우유와 소보로빵》(푸른숲주니어,2006)을 읽습니다. ‘커피우유’는 독일에서 흰둥이가 검둥이를 놀리면서 붙인 이름이라고 합니다. ‘소보로빵’은 독일 이주노동자가 낳은 검둥이 아이가 흰둥이 독일 아이를 바라보며 똑같이 놀리려고 붙인 이름이라고 합니다. 흰둥이는 검둥이를 놀리고, 검둥이는 흰둥이를 놀립니다. 그러면, 이들 사이에서 누렁둥이는 어떤 말로 서로서로 마주하거나 바라볼까요. 우리는 우리 둘레에 누가 어떻게 있다고 여기는가요. 흰둥이, 검둥이, 누렁둥이, 이렇게 살빛으로 바라보는가요? 아니면, 너도 나도 우리도 모두 똑같은 ‘사람’으로 여기면서 바라보는가요?



.. “그냥 가만히 서서 구경만 한 사람들도 돌을 던지는 것에 반쯤은 찬성한 거야. 머릿속으로는 같이 돌을 던진 거나 마찬가지란다. 다만 나서서 던질 용기가 없었을 뿐이지.” … 엄마 아빠의 피부색이 하얗다면 난 어땠을까. 사람들이 거리에서 날 쳐다보는 일도 없을 거고, 또 내가 독일어를 잘 하는 것이 이상하게 생각되지도 않을 테지. 그런데 내가 독일어 말도 대체 어느 나라 말을 잘 해야 한다는 거지? ..  (93, 172∼173쪽)



  한국에도 이주노동자가 대단히 많습니다. 한국에 시집온 아가씨가 아주 많습니다. 오늘날 시골에서 한국 아가씨가 낳은 아이는 차츰 줄어듭니다. 도시에서도 외국 아가씨가 낳은 아이가 차츰 늘지요. 그런데, 한국에서도 외국 아가씨가 낳은 아이는 참 얄궂게 따돌림이나 푸대접을 받습니다.


  우리는 어떤 눈길로 서로서로 바라보는가요. 눈을 감고 헤아려 보셔요. 눈을 감으면 이녁 살빛이 보이는가요? 손으로 살결을 쓰다듬으면 살빛을 알 수 있는가요? 목소리로 들으면 살빛 다른 겨레인 줄 알아챌 수 있나요?


  몸뚱이라는 껍데기가 아닌, 몸뚱이에 깃든 넋을 바라볼 수 있기를 바라요. 내 동무가 누구인지 똑똑히 마주할 수 있기를 바라요.


  까치도 까마귀도 참새도 제비도 모두 우리 이웃이면서 동무입니다. 멧토끼도 멧돼지도 노루도 고라니도 모두 우리 이웃이면서 동무입니다. 잠자리도 개똥벌레도 사슴벌레도 하루살이도 모두 우리 이웃이면서 동무입니다.


  따지고 보면 ‘이주노동자’라는 이름은 거추장스럽습니다. 노동자이면 그냥 노동자입니다. 그리고, ‘노동자’라는 이름도 거추장스럽습니다. 그저, 우리 ‘이웃’이요 ‘동무’입니다. 함께 일하는 ‘일동무’이고 ‘일이웃’입니다. 함께 일하고 함께 놀이를 즐기는 ‘놀이동무’이며 ‘놀이이웃’입니다.


  어깨를 겯고 노래해요. 서로 아끼고 사랑하는 노래를 불러요. 밥 한 그릇씩 장만해서 도르리도 하고 조촐히 잔치도 열어요. 삶을 아끼고 사랑해요. 오늘 하루를 아끼면서 사랑해요. 다 같이 웃는 삶을 생각해요. 다 같이 노래하면서 꿈을 키우는 하루로 살아요. 4347.9.24.물.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푸른책과 함께 살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