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내에게 미안하다 실천문학 시집선(실천시선) 121
서정홍 지음 / 실천문학사 / 2008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시를 말하는 시 72



곁님

― 아내에게 미안하다

 서정홍 글

 실천문학사 펴냄, 1999.1.7.



  한집에서 함께 살아가는 사람이 있습니다. 아이는 혼자 태어날 수 없기에 어머니와 아버지가 함께 있습니다. 아이가 무럭무럭 자라 제 아이를 낳고 싶으면, 이때에도 혼자 낳을 수 없으니 사랑을 나눌 짝을 찾아서 함께 살아갑니다.


  사랑하는 사람이란 서로를 아끼는 사이입니다. 사랑하는 사람이라면 서로를 돌보고 믿으며 생각하는 사이입니다. 마음이 끌리는 사람이기에 사랑하지 않습니다. 마음을 나누면서 생각을 북돋아 하루하루 즐거운 이야기를 길어올릴 수 있는 사이가 될 때에 비로소 사랑이라고 느낍니다.



.. 값비싼 안주가 / 값비싼 그리움을 낳는 일도 없고 / 값싼 안주가 / 값싼 그리움을 낳는 일도 없다 ..  (우리들의 사랑 1)



  바람이 불어 더위를 식힙니다. 바람이 불면 나뭇가지와 나뭇잎이 춤을 춥니다. 풀잎도 나무 곁에서 함께 춤을 춥니다. 개구리는 풀밭에서 풀내음을 맡으면서 쉽니다. 풀벌레가 지나가면 낼름 혀를 내밀어 배를 채웁니다. 풀벌레는 풀숲에 깃들어 풀잎이나 풀알을 먹습니다.


  시골에서는 가만히 귀를 기울이면 온갖 풀노래를 듣습니다. 바람이 들려주는 노래를 듣고, 풀과 나무가 들려주는 노래를 듣습니다. 풀과 나무에 깃드는 벌레와 작은 짐승이 베푸는 노래를 함께 듣습니다. 이 모든 노래는 따사로운 숨소리마냥 천천히 스며듭니다.


  도시에서는 어떤 소리에 귀를 기울일 만할까요. 이웃집에서 밥을 짓는 소리에 귀를 기울일 만할까요. 시골을 떠나 도시에만 있는 아이들이 놀거나 웃는 소리에 귀를 기울일 만할까요. 자전거가 바람을 가르며 달리는 소리에 귀를 기울일 만할까요.



.. 일본 문화라고 그리도 싫어하던 내가 오랜만에 후배들과 어울려 노래방에 갔는데요 요즘은 아이들 데리고 온 식구들이 함께 즐겁게 손뼉치고 어울려 놀 만큼 우리 삶에 스며들었는데요 그러나 골목마다 노래방 생기기 전엔 가까운 솔밭에 둘러앉아 함께 손뼉치고 노래 부르면 술 없어도 흠뻑 취할 수 있었는데요 ..  (세월은)



  모기가 애앵 날면서 아이들 볼에 앉고 이마에 앉다가 팔뚝이나 어깻죽지에 앉습니다. 아이더러 가만히 있으라 한 뒤 찰싹 쳐서 잡습니다. 또는 내 팔을 내밀어 모기가 내 팔로 옮겨 앉도록 한 뒤 찰싹 때려서 잡습니다. 모기를 잡는 어버이 곁에서 아이들도 모기잡이를 배웁니다. 모기를 잡아 주는 어버이와 함께 크는 아이들은 나중에 스스로 모기를 잡아 저희 아이들을 새로 돌봅니다.


  잠이 든 아이들은 새근새근 조용합니다. 이리 뒤척 저리 뒹굴 자면서 끝없이 움직입니다. 아무래도 아이들은 그냥 자지 않고 꿈나라를 누비기 때문이라고 느낍니다. 꿈나라에서 펄쩍 뛰고 훨훨 날기 때문에 이리 뒤척이고 저리 뒹굴지 싶습니다. 그러니 아이와 함께 자는 어버이는 틈틈이 잠을 깹니다. 틈틈이 이불깃을 여밉니다. 틈틈이 이불을 다시 덮어 줍니다.


  밤새 아이들 이불을 다시 덮어 주느라 아침에도 눈이 벌겋기 일쑤인데, 이런 나날을 보내면서 그리 힘들지 않습니다. 낮에도 곧잘 하품을 하지만, 또 집일을 어느덧 마무리지은 뒤에는 낮잠도 살짝 들곤 하지만, 아이와 함께 살기에 누리는 즐거움 가운데 하나라고 느낍니다.



.. 내 몸무게는 / 먹는 만큼 늘었다가 / 일한 만큼 줄어든다 ..  (몸무게)



  어린 아이들은 아직 스스로 빨래를 하지 못합니다. 어린 아이들은 그야말로 신나게 뛰놀기에 날마다 옷을 땀으로 적십니다. 여름이건 겨울이건 아이들 옷은 늘 땀투성이입니다. 옛날에는 오늘날처럼 옷을 자주 빨아서 입히지 않았겠지만, 틈틈이 빨래를 했을 테고, 아이들은 틈틈이 물놀이를 했겠지요. 물놀이를 하면서 저절로 살짝 옷을 빨기도 했겠지요.


  날마다 몇 차례씩 아이들 옷을 복복 비벼서 빨래하며 생각합니다. 아이들 옷을 빨래할 수 있는 삶이란 무엇인가 하고 생각합니다. 아무나 할 수 없는 빨래요 집일이겠지요. 아이를 사랑으로 낳아서 돌보는 어버이만 누릴 수 있는 집일이자 빨래이겠지요.


  몸이 아프거나 여린 어른도 빨래를 못 합니다. 몸이 아프거나 여린 어른이라면 스스로 밥을 지어서 먹기에도 만만하지 않습니다. 몸이 더 튼튼하거나 몸에 더 기운이 있는 사람이 밥을 짓고 빨래를 하며 비질을 합니다. 마땅한 노릇입니다.



.. 한 마리 천 원 하던 고등어가 / 한 마리 오백 원으로 값이 떨어지면 / 집집마다 고등어 굽는 냄새 ..  (내가 사는 곳)



  남녀평등이나 여남평등 때문에 사내가 집일을 거들 까닭이 없습니다. 아이들이라면 집일을 거든다고 할 만합니다. 왜냐하면 조그마한 힘을 보태면서 즐겁게 놀고 기쁘게 웃는 아이들이니, 아이들은 집일을 거들어요. 어른이라면? 어른이라면 집일을 함께 합니다. 나누어서 하는 일이 아니라, 함께 하는 일입니다. 나누어 맡을 일이 아니라, 함께 맡으면서 함께 즐기는 일입니다.


  평등하고는 아주 다릅니다. 평등이나 민주라는 틀이 아닌, 삶이요 사랑이라는 흐름이고 숨결입니다.


  생각해 볼 노릇입니다. 사랑하는 사람한테 혼자 고되게 일하라고 떠넘길 수 있는가요? 사랑하는 이녁한테 혼자 고달프게 일하라고 내맡길 수 있는가요?


  평등을 기계처럼 맞출 수 없습니다. 내가 밥을 했으니 네가 설거지를 하라, 뭐 이렇게 말할 수도 없습니다. 이런 일은 평등도 아니고 일나눔도 아닙니다. 서로 아낄 수 있는 마음이 되어 함께 살림을 꾸릴 수 있을 때에 비로소 사랑이고, 사랑으로 삶을 가꾸는 사람은 ‘평등이라는 이름이 없어도 언제나 즐거이 평등’인 나날입니다.



.. 사람을 만나 // 내가 사람이 되었습니다 // 사람을 만나 // 당신도 사람이 되었습니다 ..  (사 람)



  서정홍 님이 일군 시집 《아내에게 미안하다》(실천문학사,1999)를 읽습니다. 1999년에 선보인 시집에 붙인 이름이 ‘아내에게 미안하다’인데, 이 시집이 태어난 지 열 몇 해가 지난 요즈음은 어떤 마음일까 궁금합니다. 요즈음은 서정홍 님이 곁님한테 어떤 마음일까요? 요즈음도 미안할는지, 요즈음은 고마울는지, 요즈음은 사랑스러울는지, 요즈음은 함께 웃고 울며 노래하고 춤추는 나날일는지 궁금합니다.



.. 나는 / 사람을 기다리는 시간이 좋다 // 사람을 기다리다보면 / 설레는 마음 / 시간 가는 줄 모른다 ..  (기다리는 시간)



  사랑으로 만난 두 사람이 사랑으로 아이를 낳습니다. 아이들 목숨은 오롯이 사랑입니다. 아이를 낳은 두 어버이도 사랑으로 태어났습니다. 아이를 낳은 어버이를 낳은 어버이도 언제나 사랑으로 아이를 낳아 돌보았습니다.


  갓난쟁이가 어머니 젖을 물 적에는 영양소를 먹지 않습니다. 사랑을 먹습니다. 어머니는 아기한테 젖을 내밀면서 사랑을 베풉니다. 온몸에 깃든 사랑을 물려줍니다.


  아이들을 씻기고 입히고 먹이고 놀리는 모든 삶은 언제나 사랑입니다. 아이들 이마를 쓸어넘기고 머리카락을 빗는 손놀림은 늘 사랑입니다. 사랑이 아니고서는 아이와 어버이가 만나지 못합니다. 사랑이기에, 아이는 늘 어버이 목소리를 듣고, 사랑인 터라, 어버이는 늘 아이 목소리를 듣습니다.



.. 서울 사는 동무가 / 새해 선물로 보내준 밤색 목도리 / 질이나 값으로 따지지 못할 귀한 목도리 / 내가 할까 아내 줄까 / 아들 녀석 줄까 망설이다 / 아들 녀석에게 선물로 주었어요 / 고 녀석, 잠잘 때까지 / 목에 두르고 있었어요 ..  (밤색 목도리)



  곁에 있는 곁님입니다. 곁에서 지켜보고 보살피는 따사로운 님이기에 곁님입니다. 곁에서 사랑을 속삭이고 꿈을 노래하며 마음을 살찌우는 님이기에 곁님입니다.


  두 어버이는 서로 곁님입니다. 아이와 어버이도 서로 곁님입니다. 한집에서 한솥밥을 먹는 사람들도 모두 곁님입니다.


  곁님은 곁사랑이고, 곁꿈이며 곁노래입니다. 곁님은 곁살이요 곁말이며 곁웃음입니다. 밥 한 그릇을 함께 먹고, 물 한 잔을 함께 마십니다. 나뭇가지를 스치는 싱그러운 바람을 함께 누리고, 풀잎을 간질이는 풀벌레 노래를 함께 듣습니다.



.. 도시에 나가 / 얼릉얼릉 돈 많이 벌기 위해 / 떠난 자식들은 소식이 없고 / 할머니 무덤가에 할미꽃 피었다 지고 / 똥 묻은 강아지 한 마리 쉬었다 가고 ..  (솔이 할머니)



  도시에서 공장 일꾼으로 지내다가 시골에서 흙지기로 거듭난 서정홍 님은 오늘 하루 어떤 별을 등에 지고 살았을까 헤아려 봅니다. 오늘 하루 어떤 흙내음을 맡고, 오늘 하루 어떤 풀빛을 바라보며, 오늘 하루 어떤 나뭇가지를 살살 쓰다듬다가 한집 곁님하고 밥상맡에 둘러앉았을까 헤아려 봅니다.


  삶이 노래인 사람이 시를 씁니다. 삶을 노래하고 싶은 사람이 시를 읽습니다. 삶이 웃음인 사람이 시를 씁니다. 삶을 즐기면서 웃고 싶기에 시를 읽습니다. 삶이 사랑인 사람이 시를 씁니다. 삶을 꿈꾸면서 사랑을 키우고 싶으니 시를 읽습니다.


  우리 집 어린 아이들이 무럭무럭 자라서 앞으로 2020년대로 접어들면, 서정홍 님 시집 《아내에게 미안하다》를 읽을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우리 집 아이들이 씩씩하게 커서 서정홍 님 시집을 읽을 나이가 되면, 그즈음 서정홍 님과 이녁 곁님은 할아버지 할머니로 시골살이를 곱게 여미겠네요. 4347.9.17.물.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시골에서 시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