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빠를 딱 하루만
김미혜 지음 / 창비 / 200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를 사랑하는 시 33



딱 하루만 눈을 뜨면

― 아빠를 딱 하루만

 김미혜 글

 창비 펴냄, 2008.10.31.



  마을 고샅을 걷다가 논자락마다 벼포기에 꽃대가 오르고 벼꽃이 핀 모습을 봅니다. 오늘 날짜를 헤아립니다. 팔월 십칠일입니다. 해마다 비슷한 날에 벼꽃을 만납니다. 어쩌면 해마다 거의 같은 날 벼꽃을 만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벼꽃은 시골에서만 만날 수 있습니다. 벼를 심어서 가꾸다가 거두는 논은 시골에만 있으니까요. 도시에서는 벼꽃을 만나지 못해요. 아침에 피었다가 저녁에 저무는 벼꽃을 도시에서 구경할 수 없습니다. 아무래도 도시에서는 땅값이 비싸서 너른 땅에 논을 두지 못합니다. 논을 두어 나락을 거둘 돈이면, 도시에서는 커다란 빌딩을 지어 자리값을 받거나 가게를 열어 물건을 팔거나 공장을 지어 돈을 벌려 합니다.


  벼꽃이 피어야 벼알이 맺습니다. 벼알이 맺어야 찬찬히 무르익으면서 나락이 됩니다. 우리가 밥으로 먹는 쌀이 되려면, 볍씨를 심은 뒤 어린 싹이 터야 하고, 볏잎이 돋아야 하며, 볏잎이 햇볕과 비와 바람과 흙을 골고루 먹으면서 자라야 합니다.



.. 귀는 끝까지 열려 있대요. / 아빠한테 하는 말 / 다 듣고 가신대요 ..  (마지막 말)



  벼꽃을 바라보며 생각합니다. 지난날에는 벼가 꽤 컸습니다. 오늘날에는 벼가 아주 작습니다. 지난날에는 볏줄기가 무척 길었습니다. 길고 곧게 자랐어요. 예전에는 시골에서 나락을 베면서 볏줄기인 볏짚을 알뜰히 썼어요. 볏짚을 꼬아 새끼를 만들고, 새끼로 줄을 삼아 곳곳에 썼습니다.


  오늘날에는 볏짚을 쓰는 일이 없습니다. 소먹이로 삼는 사료로 쓰기는 하지만, 달리 쓰는 일이 없습니다. 볏짚을 논으로 돌려주는 일도 드뭅니다. 볏뿌리나 논으로 돌아간다고 할 수 있어요. 그러니, 농협과 농업연구소는 자꾸 ‘씨바꿈(종자개량)’을 합니다. 비바람에 잘 안 쓰러지고 벌레를 적게 먹는다는 ‘키 작은 벼’가 되도록 합니다. 오늘날 벼는 가을걷이를 마친 뒤 얻는 나락에서 씨나락을 골라서 이듬해에 심지 못합니다. 오늘날에는 해마다 농협에서 볍씨를 새로 사다가 심도록 유전자를 건드렸어요.



.. 옷장에서 아빠 추리닝 바지가 / 하나 나왔습니다. // 몸이 쏙 빠져나간 / 매미 허물처럼 // 늘어진 발목 / 튀어나온 무릎 ..  (추리닝 바지)



  사람들이 날마다 먹는 밥은 유전자를 건드린 나락입니다. 밥을 안 먹고 빵을 먹는다 하더라도, 온누리에서 자라는 밀은 거의 다 유전자를 건드린 밀알입니다. 보리알도 거의 다 유전자를 건드리지요. 이듬해에 새로운 씨앗으로 다시 태어나지 못하도록 유전자를 건드려요.


  오늘날 지구별에서 문명사회마다 의무교육입니다. 초등학교뿐 아니라 중등학교와 고등학교를 의무로 다니도록 합니다. 초등학교에 앞서 어린이집과 유치원도 거의 의무라 할 만합니다. 그러면 문명사회에서 의무교육 학교에서는 무엇을 가르칠까요? 시골에서 스스로 나락을 돌보고 볍씨를 갈무리해서 ‘농협에 기대지 않고 스스로 시골에서 살아가도’록 길을 여는 길을 가르칠까요? 손수 모시풀과 삼풀에서 실을 얻어 물레를 잣고 베틀을 밟으며 바느질을 해서 옷을 짓는 길을 가르칠까요? 숲을 돌보면서 나무를 사랑하도록 하면서, 우람하게 잘 자란 나무 몇 그루를 베어 집을 짓는 기둥으로 삼은 뒤, 톱질과 대패질과 자귀질 들을 하면서 제 보금자리는 손수 가꾸도록 하는 길을 가르칠까요?


  가만히 보면, 오늘날 문명사회 의무교육 학교에서는 사랑이나 꿈조차 가르치지 않습니다. 오직 대학입시 시험공부만 가르칩니다. 이웃을 아끼거나 동무를 사랑하는 길도 가르치지 않습니다. 두레나 품앗이를 가르치지도 않습니다.



.. 내일은 가족 신문 만드는 날 / 어떤 사진 가져갈까 / 사진첩 들춰 봅니다 ..  (비 오는 밤)



  김미혜 님이 쓴 동시를 그러모은 《아빠를 딱 하루만》(창비,2008)을 읽습니다. 아버지가 일찍 죽고 만 아픔을 품고 살아가는 아이 이야기를 동시로 그립니다. 아버지가 집에 없는 서운함과 생채기와 쓸쓸함을 그립니다.


  그런데, 오늘날 이 나라에서 아버지는 ‘집에 얼마나 머물’까 궁금해요. 오늘날 이 나라 아버지는 돈벌이를 하느라 새벽부터 밤까지 집에 없기 일쑤이지 싶습니다. 오늘날 이 나라 아버지는 아이들 얼굴 볼 겨를조차 없이 지내지 싶습니다. 남녀평등이라는 이름조차 부끄럽도록, 아버지가 집에서 아이들과 마주하거나 아이들을 가르치거나 사랑하는 모습은 거의 없지 싶습니다.



.. 종이가 / 나무였다는 걸 / 어떻게 알았을까 ..  (종이 먹는 염소)



  아버지는 어떤 사람일까요. 아버지는 어떤 어버이일까요. 어머니는 어떤 사람일까요. 어머니는 어떤 어버이일까요. 왜 오늘날 어버이는 하나같이 아이들을 학교와 학원에만 넣으려 할까요. 왜 오늘날 어버이는 아이들이 아직 어릴 적에 곁에서 가만히 지켜보거나 기쁘게 어울리면서 함께 살아가지 못할까요.


  아이들한테 도시락을 싸서 건네지도 못하는 어버이입니다. 아이들하고 하루에 한 끼니 밥을 함께 먹기도 힘든 어버이입니다. 아이들하고 하루에 한 시간이나마 얼굴을 마주하기도 힘든 어버이입니다. 그러면, 어버이는 무얼 하는 사람일까요. 하루에 한 시간도 얼굴을 마주하지 않는데다가, 밥 한 그릇조차 하루에 한 차례 먹기 힘들다면, 어버이와 아이는 ‘함께 사랑을 나누면서 살아가는 한집 사람’이 맞다고 할 만할까요.



.. 눈 위에 발자국 / 지워 버렸다. // 고양이 잡아갈까 봐 / 집으로 가는 / 꽃송이 꽃송이 / 싹 지워 버렸다 ..  (고양이 발자국)



  아버지도 어머니도 아이들도, 이 땅에서 함께 살아가는 동안 서로 눈을 마주볼 수 있기를 바랍니다. 다문 하루라도 눈을 뜨고 마음을 열며 생각을 틔워서 서로 어깨동무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놀이공원에 간다거나 나들이를 간다거나 백화점에 가라는 뜻이 아닙니다. 이 땅에서 한집 사람으로서 함께 살아가는 기쁨을 노래하고 사랑으로 웃음꽃을 피울 수 있기를 바랍니다.


  한번 생각해 보셔요. 동시집 《아빠를 딱 하루만》에서, 아버지가 참말 딱 하루 되살아나서 함께 지낼 수 있다면, ‘아버지를 일찍 떠나 보내야 했던 아이’는 아버지하고 무엇을 할까요?


  아마, 아침에 기지개를 켜고 함께 일어나서 동 트는 하늘을 바라보겠지요. 잠옷을 갈아입고 낯과 손을 씻은 뒤, 함께 아침을 차리겠지요. 즐겁게 아침을 먹은 뒤 함께 설거지를 하겠지요. 서로 손을 잡고 마을 한 바퀴를 돌면서 풀꽃이랑 구름이랑 멧새랑 잠자리하고 인사하다가, 자전거도 함께 달리고, 하하 호호 깔깔 노래하면서 숨바꼭질이나 술래잡기나 고무줄놀이나 땅금놀이 들을 하다가는, 땀을 훔치고 샛밥을 먹은 뒤, 낮잠 한숨 자고 나서, 뉘엿뉘엿 기우는 해를 바라보면서 하늘빛만큼 우리 마음도 곱겠지 하고 생각하겠지요. 즐겁게 저녁을 지어 먹고 도란도란 이야기를 나누겠지요. 그러고는 몸을 씻고 잠옷으로 갈아입은 뒤 길게 기지개를 켜고는 잠자리에 들 테지요. 나즈막한 소리로 서로 자장노래를 부르면서 꿈나라로 가면서 하루를 마감할 테지요.


  아름다운 하루는 가장 수수한 빛에서 태어납니다. 사랑스러운 하루는 가장 수수한 빛에서 가장 따사로운 품으로 흐릅니다. 가장 따사로운 품에서 가장 맑은 꿈으로 흐르는 하루는, 어느새 가장 맑은 노래가 됩니다. 그러고는, 소리도 빛도 무늬도 빛깔도 없는 너른 누리에 깃들겠지요. 딱 하루라도 눈을 뜨면 삶이 새롭게 태어날 수 있습니다. 4347.8.17.해.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어린이문학 비평)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