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러, 그 삶과 음악 우리가 사랑하는 음악가 시리즈 6
스티븐 존슨 지음, 임선근 옮김 / 포노(PHONO) / 201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따뜻한 삶읽기, 인문책 77



바람이 들려주는 교향곡

― 말러, 그 삶과 음악

 스티븐 존슨 글

 임선근 옮김

 포노 펴냄, 2011.1.15.



  아이들을 자전거에 태우고 마실을 갑니다. 여름이 한껏 무르익은 칠월 막바지 들길을 자전거로 지나갑니다. 바람이 불면서 볏포기가 눕습니다. 바람이 멈추면서 볏포기가 섭니다. 바람이 다시 불어 볏포기는 다시 눕고, 바람이 이리저리 불면서 솨르르 솨솨 스스 소리를 냅니다.


  자전거를 세웁니다. 들 한복판에서 바람노래를 듣습니다. 푸르게 일렁이는 물결이 펼쳐집니다. 눈으로는 푸른 물결을 바라보고, 귀로는 벼물결 소리를 듣습니다. 여름날 들에서 누리는 이 빛과 소리는 교향곡과 같구나 싶습니다. 들빛은 들노래로 되고, 들노래는 들빛이 됩니다. 서로 어우러지는 풀내음입니다.



.. 말러는 특유의 격정으로 답했다. “아니요. 교향곡은 세계와 같아야 합니다. 모든 것을 포용해야 합니다.” … 왜 말러를 설명하면서 ‘자기 몰입적’이라는 표현을 쓰지 않고 ‘매혹적’이라고 했을까? 그의 음악이 너무나도 강렬하게 아름답고 생생하게 극적이며 뛰어나게 창의적이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우리가 말러 음악에서 말러를 인식하는 동시에 우리 자신을 돌아보기 때문이기도 하다 ..  (15, 16쪽)



  볏포기가 그윽하게 노래를 베풀지만, 안타깝게도 풀벌레 노랫소리는 못 듣습니다. 아니, 군데군데 더러 풀벌레가 가늘게 노래를 합니다. 바로 어제그제 농협에서 항공방제를 했습니다. 이틀에 걸쳐 마을 들판 구석구석에 농약을 뿌렸습니다.


  지난해와 그러께에는 친환경농약을 뿌린다고 했으나, 이제는 ‘그냥 농약’을 뿌립니다. 무척 무서운 농약을 헬리콥터를 띄워 샅샅이 아주 많이 뿌립니다. 이러다 보니 풀벌레와 개구리가 거의 모조리 죽습니다. 논에 우렁이를 푼 곳이 있지만, 우렁이도 농약을 먹고 죽습니다. 나비와 벌이 자취를 감춥니다. 잠자리도 많이 줄었습니다. 날벌레와 애벌레를 먹고 살아가는 새도 여러모로 줄어듭니다.


  바람이 들려주는 노래는 있으나, 이밖에 다른 노래가 거의 없습니다. 무척 스산한 여름입니다. 시원하거나 싱그럽지 못한 여름입니다. 새와 개구리와 풀벌레가 노래하지 못하는 시골 들판이라면, 이곳에서 어떤 열매가 자랄까 잘 모르겠습니다. 바람이 나뭇잎을 간질이면서 찰랑거리기는 하나, 마을 언저리에서 나무를 구경하기도 어렵습니다. 마을 할매와 할배는 나무그늘을 싫어하기에 마을에 큰나무가 없습니다.



.. 그는 평생 동안 이렇듯이 자연에 열중했다. 오스트리아 알프스의 경치와 소리에 둘러싸여 작곡을 할 때 그는 가장 행복해 했다 … 아직까지 전해지는 이 작품들은 비록 가볍지만 앞으로 위대한 작품들이 탄생할 것임을 알리는 예고편이다. 이 곡들에서 이미 말러는 당대 표현 관습의 한계에 저항하고 있었다 … 슬픔은 말러가 진짜 자신의 목소리를 찾게 해 주었다 ..  (25, 35, 38쪽)



  자전거를 달려 골짜기로 갑니다. 그나마 멧골에 농약을 뿌리지는 않았으니, 숲으로 깃들 적에는 풀벌레 노래를 듣습니다. 여기에도 저기에도 풀벌레입니다. 귀뚜라미가 멧길에서 폴짝폴짝 뜁니다. 그리고 이곳과 저곳에서 멧새가 지저귑니다. 마을과 들에서 듣지 못한 다른 노래를 듣습니다.


  아이들과 골짝물에 온몸을 담급니다. 물이 흐르고, 바람이 불며, 나뭇잎이 서걱이는 동안, 풀벌레와 멧새가 웁니다. 바야흐로 큰 노래가 됩니다. 싱그럽게 살아서 숨쉬는 너른 교향곡이 이루어집니다.


  땀으로 옴팡 젖은 몸을 골짝물로 씻고 나서 집으로 돌아옵니다. 스티븐 존슨 님이 쓴 《말러, 그 삶과 음악》(포노,2011)을 읽습니다. 지휘를 하고 교향곡을 쓴 말러라는 사람을 이야기하는 책입니다. 말러라는 사람은 노래를 지으면서 “심판은 없다. 죄인도 의인도 없다. 대단한 것도 하찮은 것도 없다. 징벌도 보상도 없다. 벅찬 사랑의 느낌이 우리로 하여금 앎과 삶의 기쁨에 젖게 한다(75쪽).” 하고 글을 썼다고 합니다. 그리고, “아직 그 누구도 이토록 오묘한 자연의 이면을 간파하지 못했어(95쪽).” 하고 말하기도 했답니다.


  《말러, 그 삶과 음악》을 읽으면, 말러라는 사람이 노래를 지으려고 혼자 들어간 조그마한 오두막 사진이 있습니다. 참말 자그마한 오두막인데, 오두막은 숲 한복판에 있습니다. 오두막 바로 앞에는 아주 커다란 나무가 우뚝 솟았습니다. 말러라는 사람은 이곳에서 노래를 짓다가 곧잘 바닥에 크게 드러누웠다는데, 크게 드러누워야 땅이 들려주는 기운을 잘 느낄 수 있었다고 말했다지요.



.. 이 해를 거의 빈 오페라 일에 매달려 보내면서 말러는 ‘세상의 소란’에 너무나 깊이 말려들어 있었다. 사랑과 음악과 조용한 땅에서의 평화에 자신을 내맡기고 싶어 하는 내용은 여름휴가가 그에게 얼마나 소중한 것이었는지를 말해 준다 … 제9번 교향곡에 죽음의 그림자가 떠돌긴 하지만 이것이 꼭 말러가 죽음에 대한 생각에 사로잡혀 있었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결말의 마지막 몇 마디에서 말러는 ‘우리는 아이들을 태양이 빛나는 언덕에서 다시 만나게 되리. 날씨 좋은 저 놓은 언덕 위에서’라는 가사를 담은 〈죽은 아이를 그리는 노래〉 제4곡의 마지막 서정적인 프레이즈를 바이올린 선율에 실어 인용한다 ..  (122, 194∼195쪽)



  《말러, 그 삶과 음악》에는 시디가 두 장 함께 있습니다. 눈으로는 책에 적힌 이야기를 읽고, 귀로는 책에 깃든 시디를 틀어서 노래를 듣습니다. 말러라는 사람이 어떤 넋으로 노래를 지었는지 곰곰이 헤아려 봅니다. 말러라는 사람이 가락에 담고 싶었다는 ‘숲노래’는 무엇이었을는지 가만히 귀여겨듣습니다.


  어디에서 바람이 불고, 어디에서 풀이 울며, 어디에서 풀벌레와 새가 지저귀는지 찬찬히 생각합니다. 어디에서 물이 흐르고, 어디에서 물결이 일며, 어디에서 구름이 흐르는지 하나하나 짚습니다.


  바람이 교향곡을 들려줍니다. 다만, 바람 혼자서 교향곡을 들려줄 수 없습니다. 바람을 쐴 풀벌레와 개구리와 멧새가 있어야 합니다. 풀을 아끼고 나무를 사랑하는 사람이 있어야 합니다. 해님이 방긋 고개를 내밀고, 구름이 상긋상긋 웃으며, 비와 눈과 무지개가 골고루 어울려야 합니다. 달과 함께 별이 반짝이고, 아기를 달래는 어머니가 있어야 하며, 아이들과 숲놀이를 즐기는 아버지가 있어야 합니다.


  스스로 바람이 되어 노래를 짓습니다. 스스로 바람으로 다시 태어나면서 노래를 듣습니다. 스스로 바람빛이 되어 노래를 부르고, 스스로 바람내음으로 거듭나면서 노래에 젖어듭니다. 4347.7.26.흙.ㅎㄲㅅㄱ


(최종규 . 2014)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꼬마요정 2014-07-27 10: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느날 우연히 말러교향곡 부활을 듣고 말러를 좋아하게 되었어요~ 몇 년전 지휘자 정명훈과 서울시립교향단이 말러2번 연주를 했는데 그 곳에 있던 친구가 그 연주를 들을 수 있어 행복하다.. 라더군요. 부럽게도 ㅎㅎ

숲노래 2014-07-27 10:44   좋아요 0 | URL
저는 이 시디로 듣고 나서
유투브로 알아보니
여러모로 노래를 듣기가 좋은 환경이 되었더군요~
인터넷은 이럴 때에 참 고맙구나 싶어요.


꼬마요정 2014-07-27 10: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폰으로 처음 댓글 다는데 어렵네요ㅜㅠ 풀벌레도 없고 나무도 없다니.. 안타깝습니다.

숲노래 2014-07-27 10:44   좋아요 0 | URL
농약을 엄청나게 뿌려대니 풀벌레는 거의 다 죽고,
논이고 밭이고 마당이고 햇볕이 더 많이 들어오라면서
나무를 죄 베어서 없애니
길에도 마을에도 나무가 아주 드물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