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이 뜨는 꽃담 시공주니어 문고 2단계 72
유타루 지음, 김효은 그림 / 시공주니어 / 201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린이책 읽는 삶 57


 

마음으로 새기는 별빛

― 별이 뜨는 꽃담

 유타루 글

 김효은 그림

 시공주니어 펴냄, 2012.7.20.



  개구리는 살갗으로 숨을 쉽니다. 개구리가 몸을 적시려고 뛰어드는 둠벙이나 못에 농약 기운이 흐르면, 개구리는 그만 살갗이 타면서 숨이 막혀서 죽습니다. 사람은 코로 숨을 쉰다고 하지만, 사람도 살갗으로 함께 숨을 쉽니다. 몸에 꽉 끼는 옷을 입을 적에 답답한 까닭을 제대로 읽을 수 있어야 합니다. 살갗이 숨을 쉬지 못하면, 사람도 개구리처럼 죽을 수 있습니다.


  사람은 코로 바람을 마시지요. 살갗으로 바람을 느끼지요. 그리고, 살갗으로 햇볕을 머금습니다. 풀과 나무만 잎사귀로 햇볕을 머금지 않습니다. 사람도 살갗으로 햇볕을 머금습니다. 햇볕을 제대로 머금지 못하면, 사람들은 몸빛이나 낯빛이 파리합니다. 몸과 낯이 파리하면 ‘죽은 얼굴’이라고 해요. 왜냐하면, 우리는 누구나 밥과 물과 바람뿐 아니라 햇볕을 함께 먹으면서 몸을 튼튼하게 건사하기 때문입니다.


  여름날 창문을 꼭 닫아걸고 에어컨을 켠다고 해서 시원하지 않습니다. 시원하지 않을 뿐더러, 몸에도 나쁩니다. 여름날에는 여름볕을 온몸으로 먹으면서 까무잡잡하게 살갗이 타야 몸이 튼튼합니다. 예부터 아이들은 여름 내내 까무잡잡하게 살빛이 바뀌도록 씩씩하게 놀아야 한다 말했고, 어른들은 여름 내내 까무잡잡하게 살빛이 거듭나도록 야무지게 일해야 한다 말했습니다.



.. 승용차가 바짝 다가서며 비키라고 빵빵대. 할아버지는 아랑곳하지 않고 그냥 묵묵히 걸어. 할아버지 얼굴에서 땀이 줄줄 흘러, 차들이 빵빵대며 휙휙 수레를 앞질러 가. 매연과 먼지가 할아버지를 옭아매듯 달려들어. 카악, 할아버지가 가래침을 모았다가 퉤엣, 뱉어 … “실례합니다.” 정장 차림의 여자가 마당에 들어와. 할아버지가 경계하듯 여자를 삐딱하니 올려다봐. “구청에서 나왔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주민들 항의가 들어와서요.” 여자는 너저분한 마당을 찡그린 얼굴로 훑어보며 말을 이어 가. “동네 사람들이 밤에 너무 시끄럽대요. 고양이들 때문에요. 그리고 집이 너무 지저분해서 귀신 도깨비가 나올 것 같다고들 해요.” 할아버지는 여자 말을 듣는 둥 마는 둥 해 ..  (19, 29쪽)



  바람이나 햇볕을 먹지 않고도 목숨을 건사할 수 있습니다. 풀과 나무도 햇볕이나 바람이 모자란 데에서조차 뿌리를 내립니다. 시멘트나 아스팔트 틈바구니에서도 줄기를 올리는 풀이나 나무예요. 빛 한 줄기 스미지 않더라도 꽃을 피울 줄 아는 풀과 나무입니다. 사람도 이와 같아요. 빛이 없는 데에서도 용케 살아남습니다.


  다만, 빛 한 줄기 없는 데에서 사람들은 사람다운 목숨을 건사하지 못합니다. 목숨줄은 붙었어도 즐겁지 못해요. 목숨줄은 이으나 사랑스럽지 못합니다.


  먼 옛날에는 누구나 시골사람이었고, 누구나 시골빛이었으며, 누구나 시골살이였습니다. 궁궐에 스스로 갇힌 임금님이나 몇몇 신하나 노예를 빼면, 참말 먼 옛날에는 모든 사람이 시골에서 흙을 만지고 바람과 볕과 빗물을 먹으면서 살았어요. 동양뿐 아니라 서양에서도 시골사람은 모두 까무잡잡한 낯빛이요 살빛이었습니다. 서양사람을 두고 ‘흰둥이’라 말하지만, 서양사람이라고 모두 흰 살결이 아닙니다. 시골사람은 어느 겨레나 나라에서도 흙빛 살결입니다.


  그리고, 도시사람은 어느 겨레나 나라에서도 허연 살결입니다. 해를 등지는 동양사람도 허연 살빛이에요. 해를 먹지 않으면, 또 비와 바람을 먹지 않으면, 동양에서도 서양에서도 몸이 아픕니다. 해를 먹어야 안 아프고, 비와 바람을 온몸으로 맞이해야 안 아픕니다.



.. 할아버지가 더럽고 때 묻은 손에 비누칠을 하면서, 땀난 얼굴을 씻으면서, 대문 쪽으로 자꾸 눈길을 돌려. 수건으로 얼굴을 닦으며 처마 밑 벽에 걸린 작은 거울을 들여다봐 … “혹시, 딴 곳으로 이사할 생각 없으세요?” 여자의 말에 할아버지가 두 눈을 부릅떠. 몸을 부르르 떨며 양철통을 집어. “동네에 놀이터 시설을 하나 더 만들려고 해요. 그래서 구청에서 놀이터로 쓸 땅을 알아보고 있거든요. 혹시 할아버지가 집을 파신다면…….” ..  (36, 54쪽)



  몸이 자꾸 아프면 마음까지 자꾸 아픕니다. 몸이 늘 튼튼하면 마음까지 으레 튼튼합니다. 몸이 자꾸 무너지면 마음까지 자꾸 무너집니다. 몸에 늘 기운이 넘치면 으레 마음에도 기운이 넘칩니다.


  우리가 몸을 가꾸려고 먹을 밥을 생각해 봅니다. 해와 비와 바람과 흙을 골고루 누린 곡식이나 열매를 밥으로 삼아 먹을 때에 싱그럽습니다. 해도 비도 바람도 흙도 골고루 누리지 못한 곡식이나 열매를 밥으로 삼아 먹으면 싱그럽지 못해요. 친환경이나 유기농이라는 이름이 붙더라도 비닐집에서 키운 곡식이나 열매는 얼마나 맛있거나 몸을 살찌울까 알 길이 없습니다. 제철에 나지 않고 비닐집에서 억지로 키운 곡식이나 열매를 놓고도 유기농이나 친환경이라는 이름을 붙여도 될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학교는 어떤 곳일까요. 학교는 아이들을 어떻게 가르칠까요. 학교는 아이들한테 무엇을 가르칠까요. 학교에서 아이들을 가르친다는 어른은 머릿속에 어떤 지식을 담았을까요. 해와 비와 바람을 등지는 학교는 아닌가요. 흙내음이나 흙빛이 없이 교과서 지식만 있는 학교는 아닌가요. 그리고, 비닐집에서 억지로 키우듯이, 학교라는 온실에서 아이들 마음속에 꿈이나 사랑은 없이 지식만 집어넣지 않나요.



.. “우주선을 타고 여행하면서, 죽은 별들에게 꽃씨를 뿌려 줄 거예요. 꽃이 피면 까만 별들이 살아날지 몰라요. 아니, 꼭 살아날 거예요. 살아나면 밤마다 하늘에서 반짝거리겠죠?” “별들이 반짝반짝할 때, 꽃향기가 밤하늘에 가득하겠는걸.” 할아버지 말에 아이가 가슴을 부풀리며 텅 빈 하늘을 올려다봐 … “할아버지는, 할아버지는 아직도 아직도 미워하고 원망해.” “누구를?” “할아버지 자기 자신. 할아버지는 자기를 미워하고 원망해.” ..  (74, 91쪽)



  유타루 님이 쓴 동화 《별이 뜨는 꽃담》(시공주니어,2012)을 읽습니다. 요즈음 보기 드물도록 예쁘게 빚은 동화문학이라고 느낍니다. 줄거리도 글흐름도 여러모로 정갈합니다. 아이 말투를 조금 더 잘 살릴 수 있으면 한결 나았을 테지만, 이만큼 동화를 쓸 수 있으니 놀랍습니다. 요즈음 쏟아지는 생활동화를 보면, 너무 ‘학교’와 ‘스트레스’에 기울어집니다. 입시지옥에서 괴로운 아이들 모습을 우스꽝스럽게 그린다든지, 어른들을 모두 바보스레 비꼬는 동화문학만 너무 많습니다. 생태나 자연을 말하는 동화도 ‘숲이 아이와 어른 모두한테 어떤 빛인가’ 하는 대목까지 깊이 파고들지 못하곤 합니다.


  동화도 소설도 주의주장이 아닙니다. 동화도 소설도 논설문이나 칼럼이 아닙니다. 동화나 소설은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날마다 새롭게 맞아들이는 하루를 환하게 웃듯이 누리는 이야기를 글로 풀어낼 적에 동화나 소설이 됩니다.


  《별이 뜨는 꽃담》은 도시에서 흔히 볼 만한 ‘손수레 할아버지’가 주인공입니다. 여기에 ‘초등학교 1학년 어린이’가 나란히 주인공입니다. 두 사람은 나이를 가로지르는 믿음을 주고받습니다. 두 사람은 겉모습으로 서로를 바라보지 않습니다. 두 사람은 오직 마음빛으로 만나고, 마음빛으로 이야기를 주고받습니다.


  아이는 할아버지한테 ‘학교에서 배운 교과서 지식’을 읊지 않습니다. 아이는 아이 마음에 가장 곱게 스며드는 ‘별’과 ‘꽃’을 할아버지한테 이야기합니다. 할아버지는 어릴 적부터 어떤 마음이었는지 문득 돌아봅니다. 할아버지도 어린 동무 아이처럼 이녁이 어릴 적에 ‘별’과 ‘꽃’을 늘 품고 살았다고 깨닫습니다. 그저 돈만 바라보면서 동무와 이웃이 없이 지내는 삶이 아니라, 언제나 별과 꽃으로 삶을 밝히고 싶은 사랑이 있은 줄 알아차립니다.



.. “할아버지네 집 담도 이렇게 꽃이 피는 담이면 좋겠어요. 꽃들이 활짝 핀 담이 할아버지네 집을 빙 둘러싸는 거예요. 정말 멋지겠죠? 그리고 …….” … 할아버지가 가 보라고 손짓을 해. 아이가 새끼 고양이를 내려놓고, 고개를 꾸벅 숙여 할아버지에게 인사해. 할아버지가 돌아서서 가는 아이를 바라봐. 저만치 가던 아이가 돌아서더니 큰 소리로 말해 ..  (95, 107쪽)



  아이는 제 어버이를 따라 다른 동네로 떠납니다. 할아버지는 모처럼 사귄 동무가 사라집니다. 다시 혼자가 됩니다. 그러나, 다시 ‘혼자’가 아니라, 이제부터 새롭게 마음을 열어 웃음꽃을 피우고 웃음나라를 가꿀 생각을 품습니다. 다시 태어날 꿈을 꿉니다. 다시 사랑할 길을 생각합니다. 할아버지 대문에 채우던 자물쇠 셋을 모두 버립니다. 그리고, 돈도 버리겠지요. 이러면서, 할아버지 집에 옛날처럼 다시금 꽃과 나무와 풀이 그윽하게 숨쉬는 ‘보금자리 숲’을 이루려 할 테고, 동네 한복판에 새로 깃드는 ‘보금자리 숲’은 이웃집에 고운 씨앗으로 퍼질 만하리라 느낍니다. 할아버지 겉모습이 아닌, ‘한 사람 가슴에 깃든 밝은 빛’을 할아버지네 이웃들도 차츰 알아보리라 느낍니다. 4347.7.17.나무.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어린이문학 비평)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