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650) 작금의 1 : 작금의 현실


그 비전은 자동차 의존도가 점점 높아가면서 우리의 삶터 자체를 황폐화시키는 작금의 현실을 타개하기 위해서도 매우 시급한 과제가 아닐 수 없다

《박용남-작은 실험들이 도시를 바꾼다》(시울,2006) 45쪽


 작금의 현실을 타개하기 위해서도

→ 오늘날 모습을 풀어내려고 할 때에도

→ 이 같은 모습을 뚫고 나가려 할 때에도

→ 이러한 모습을 떨쳐내려 할 때에도

 …


  한자말 ‘작금(昨今)’은 “(1) 어제와 오늘을 아울러 이르는 말 (2) = 요즈음”을 뜻한다고 합니다. 그러니까, 한국말로는 ‘어제오늘’이거나 ‘요즈음’인 셈입니다. 한국말로 쓰면 어려울 일이 없을 뿐 아니라, 굳이 한자말을 빌어서 나타낼 일이 없다고 하겠습니다.


  보기글에서는 ‘이러한’이나 ‘이런’이나 ‘이 같은’을 넣어도 잘 어울려요. 요새는 ‘작금’ 같은 한자말을 쓰는 사람을 찾아보기 어려웁지만, 글을 쓰거나 책을 많이 읽는 분들이 이 말을 버리지 못합니다. 아니, 글을 쓰거나 책을 많이 읽는 분들은 이러한 한자말에 익숙합니다. 이 때문에 어린이나 푸름이가 이 같은 말투에 길들거나 배울까 걱정스럽습니다. 아니, 으레 이런 말투대로 말을 하거나 글을 써야 하는 줄 생각할까 두렵습니다.


 작금에도 겨우겨우

→ 요즈음에도 겨우겨우

→ 요사이도 겨우겨우

→ 아직도 겨우겨우

 …


  말다운 말을 익히고 글다운 글을 쓸 때에 아름답습니다. 어른들부터 스스로 맑고 아름다운 넋으로 말을 하고 삶을 지어야 아이들이 아름다운 말과 넋과 삶을 물려받습니다. 4339.6.29.나무/4342.4.14.불/4347.7.17.나무.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그 생각은 자동차를 자꾸 더욱 많이 타면서 우리 삶터를 아주 무너뜨리는 이러한 모습을 뚫고 나가려 할 때에도 매우 서두를 일이 아닐 수 없다


“그 비전(vision)은”은 “그 생각은”으로 다듬고, “자동차 의존도(依存度)가 점점(漸漸) 높아지면서”는 “자동차를 자꾸만 더욱 많이 타면서”로 다듬습니다. “우리의 삶터 자체(自體)를 황폐화(荒廢化)시키는”은 “우리 삶터를 아주 무너뜨리는”이나 “우리 삶터를 송두리째 무너뜨리는”으로 손봅니다. “타개(打開)하기 위(爲)해서도”는 “헤쳐 나가려 할 때에도”나 “풀어내려 할 적에도”나 “고치려 할 때에도”로 손질하고, “시급(時急)한 과제(課題)가”는 “서두를 일이”로 손질합니다.


..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1736) 작금의 2 : 작금의 사회적 관행


더 넓은 평수의 아파트를 끊임없이 찾아가는 작금의 사회적 관행도 당분간 멈추지 않을 것이다

《전상인-아파트에 미치다》(이숲,2009) 63쪽


 작금의 사회적 관행도

→ 오늘날 사회 흐름도

→ 요즈음 사회 모습도

→ 이즈음 사회 물결도

 …



  한자말 ‘작금’은 낡은 말입니다. 낡은 말이라 하여 모두 내칠 까닭은 없습니다. 다만, 예나 이제나 낡지 않으면서 살갑고 두루 쓸 만한 말이 있습니다. 예나 이제나 앞으로나 낡지 않을 말이면서 고운 말이 있습니다.


 우리 발걸음도 한동안 멈추지 않을 듯하다

 우리 흐름도 얼마 동안 멈추지 않을 듯하다

 우리 사회 물결도 퍽 오래도록 멈추지 않을 듯하다


  보기글을 살펴봅니다. 사람들은 아파트라는 곳이 우리한테 알맞을 만한 삶터인지 아닌지를 생각하기보다는, 더 넓은 평수를 찾아 돈굴리기가 되거나 뽐내기가 되는 길을 고른다고 이야기합니다. 이러한 사람들 모습은 앞으로도 이어지리라 본다고 이야기합니다.


  이 자리에서 말하는 “사회적 관행”이란, 예전부터 오늘까지 죽 이어지는 모습입니다. 그래서, 이 대목에서는 ‘작금의’를 아예 덜어도 됩니다. 뜻을 헤아리면서 ‘작금의’는 없어도 넉넉합니다. “사회적 관행”이 어떠한 모습이고 흐름인가를 힘주어 말하고자 꾸밈말처럼 넣으려 했다면, ‘오늘날’이나 ‘어제오늘’ 같은 꾸밈말을 넣습니다. 굳이 이런 꾸밈말이 아니어도 글쓴이 생각을 나눌 수 있겠구나 싶으면 단출하게 추스릅니다. 보기글 뒤쪽에 “당분간 멈추지 않을 것이다” 하고 적었기 때문에, “사회적 관행”은 ‘어제부터 있던’ 일이고 ‘오늘도 있는’ 일이며 ‘앞으로도 있을’ 일임을 넌지시 일러 주는 셈입니다.


  이런 글흐름을 꿰뚫을 수 있다면, 글쓴이 스스로 한결 낫게 글을 다듬을 수 있습니다. 책을 엮는 이들 또한 글매무새를 한껏 북돋울 수 있습니다. 글을 읽는 우리들은 생각을 한결 슬기롭게 추스르는 길을 찾을 수 있습니다.


  마음을 쏟고 눈길을 모두고 생각을 열면, 아름답고 싱그러운 빛줄기가 차근차근 스며들고 배어들며 녹아듭니다. 4342.4.14.불/4347.7.17.나무.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더 넓은 아파트를 끊임없이 찾아가는 요즈음 사회 흐름도 한동안 멈추지 않으리라 본다


“더 넓은 평수의 아파트”는 “더 넓은 아파트”나 “평수가 더 넓은 아파트”로 고쳐 줍니다. “사회적 관행(慣行)”은 “사회 흐름”이나 “사회 물결”로 다듬고, ‘당분간(當分間)’은 ‘한동안’이나 ‘얼마 동안’으로 다듬으며, “않을 것이다”는 “않으리라”나 “않을 듯하다”나 “않으리라 본다”로 다듬어 봅니다.


..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2135) 작금의 3 : 작금의 청소년소설


작금의 청소년소설 가운데 많은 작품이 아주 극단적인 청소년상을 보여주고 있는 건 바로 어른의 시선만으로 청소년을 바라보기 때문이다

《박상률-청소년문학의 자리》(나라말,2011) 33쪽


 작금의 청소년소설

→ 요즈음 청소년소설

→ 오늘날 청소년소설

→ 요즘 나오는 청소년소설

→ 요즘 떠도는 청소년소설

 …



  문학비평을 생각해 봅니다. 문학비평은 누가 읽도록 쓰는 글일까 생각해 봅니다.아이들은 문학비평을 읽을까요. 청소년문학을 비평한다면, 청소년이 이러한 비평을 읽을까요. ‘비평(批評)’이란 무엇일까요. 한국말사전에서 뜻풀이를 살피니, “사물의 옳고 그름, 아름다움과 추함 따위를 분석하여 가치를 논함”이라 나옵니다. 그러니까 “분석하여 가치를 논함”이 ‘비평’입니다. ‘분석(分析)’은 ‘살펴보기’를 가리킵니다. ‘가치(價値)’는 한국말로 ‘값어치’입니다. ‘논(論)하다’는 ‘말하다’를 뜻합니다. 한자말로 된 뜻풀이를 다시 헤아리자면, ‘비평’은 “여러 가지를 살펴보고 값어치를 말하기”입니다.


  청소년문학을 비평하는, 그러니까 청소년문학을 ‘말하는’ 글에서 나온 ‘작금 + 의’를 헤아려 봅니다. 청소년문학을 말할 적에 이런 낱말을 꼭 써야 하는지 헤아려 봅니다. 이 나라 청소년이라면 ‘작금’ 같은 한자말을 알아야 할까요? 이 나라 청소년이라면 ‘작금’이라는 한자말에 ‘-의’를 붙이는 말투를 읽거나 들어서 배워야 할까요? 그예 궁금합니다. 4347.7.17.나무.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요즈음 청소년소설 가운데 많은 작품이 아주 막다른 청소년 모습을 보여주는 까닭은 바로 어른 눈길만으로 청소년을 바라보기 때문이다


‘극단적(極端的)’은 “(1) 더 나아갈 데가 없는 (2) 한쪽으로 크게 치우치는”을 뜻한다고 합니다. 보기글에서는 ‘막다른’이나 ‘한쪽으로 치우쳐서’로 다듬습니다. ‘청소년상(-像)’은 ‘청소년 모습’이나 ‘청소년 얼굴’로 손보고, “보여주고 있는 건”은 “보여주는 까닭”으로 손봅니다. “어른의 시선(視線)”은 “어른 눈길”이나 “어른 눈높이”나 “어른 눈썰미”나 “어른 눈매”로 손질해 줍니다.


(최종규 . 2014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