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낮비 3
후루야 미노루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10년 6월
평점 :
절판

만화책 즐겨읽기 344
삶을 되돌리려면
― 낮비 3
후루야 미노루 글·그림
강동욱 옮김
대원씨아이 펴냄, 2010.7.15.
삶을 되돌리는 길은 있을까요, 없을까요. 삶을 되돌리는 길이 없다고 느끼기에, 우리는 날마다 쳇바퀴처럼 똑같은 굴레에 스스로 갇히면서 굴러가지는 않을까요. 삶을 되돌리는 길이 있다고 느낄 뿐 아니라, 스스로 이 길을 씩씩하게 걸어간다면, 날마다 갇히던 쳇바퀴를 부술 수 있겠지요.
그러면, 쳇바퀴는 누가 만들까요. 새로운 삶으로 나아가는 길은 누가 만들까요. 남이 만들어 줄까요. 내가 스스로 만들까요.
너무 마땅하게도, 새롭게 나아가는 삶길은 우리 스스로 만듭니다. 그리고, 쳇바퀴에 갇히는 굴레도 우리 스스로 만듭니다.
- “알겠냐, 오카다! 아무리 근육이 있다 해도 인간은 마음이 모든 것을 지배하는 동물이야! 그리고 마음을 움직이는 것은 말이며 문자야!” (19쪽)
- “너는 도둑이야! 사기꾼이라구! 남자로서 정말 최악의 쓰레기야!” “멍청이. 그건 내 재능이야. 재능과 노력이지. 너 그거 의외로 쉽지 않다?” (27쪽)

삶을 되돌리려면, 삶을 되돌려야겠다고 생각해야 합니다. 생각하고 생각하며 거듭 생각하면서 마음속에 이 이야기를 담아야 합니다. 마음속에 ‘삶을 되돌려야겠어’ 하는 다짐을 튼튼히 다진 뒤, 이 다짐을 이룰 수 있도록 새롭게 하루를 맞이해야 합니다.
이렇게 다짐을 했는데 삶을 되돌리지 못했다면? 그러면 생각해 보아야 해요. 참말 새롭게 나아갈 삶을 마음속에 품었는지, 아니면 못미덥다 여겨 티끌이나 먼지를 끌어들였는지 제대로 살펴야 해요. 스스로 ‘아무래도 나는 안 돼’ 하고 여기는 마음이 살짝이라도 있었다면, 참말 ‘아무래도 나는 안 돼’와 같은 길로 가요. 스스로 ‘나는 언제나 새롭게 일구는 삶이야’ 하고 여기는 마음일 때에 비로소 언제나 새롭게 일구는 삶으로 나아갑니다.
- ‘남을 속이는 바보. 속는 바보. 속는 바보를 진심으로 좋아하게 된 바보. 어라? 그럼, 내가 제일 바보인가?’ (34∼35쪽)
- ‘매일같이 사람의 목을 졸라 죽이고 싶다는 소원을 가진 사람은 어떻게 해야 할까? 우연히 정말 우연히 그렇게 돼 버린 녀석은 말이다.’ (47쪽)

후루야 미노루 님 만화책 《낮비》(대원씨아이,2010) 셋째 권을 읽으면서 생각합니다. 이 만화책에 나오는 사람들은 저마다 ‘생각’을 합니다. 스스로 가두는 생각을 하기도 하고, 스스로 여는 생각을 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스스로 품는 생각대로 나아갑니다.
스스로 가두는 생각으로 나아가면서 웃든 울든 대수롭지 않습니다. 스스로 ‘다른 생각’을 품지 않기에 참말 다른 길로 나아가지 못합니다. 스스로 ‘나한테는 이 길밖에 없잖아!’ 하고 더 다그치니, 참말 이 길 하나로만 나아가려 해요.
왜 바꾸지 않을까요. 입으로는 ‘이 길이 참 싫다구!’ 하고 외치면서, 정작 마음과 몸은 왜 새 길로 나아가려고 하지 않을까요.
- “아직 얘기를 많이 해 보지는 않았지만 이 사람은 열심히 ‘현재’를 살아가고 있구나 하는 느낌이 들어서, 부러워요. 어제 점심때도 그랬지만, 지금도 함께 있는 게 정말 즐거워요.” (93쪽)
- “나처럼 못난 놈은 1초라도 빨리 죽어 나무의 비료가 되는 게 나아. 내가 공기를 들이마시고 쓰레기를 배출하는 것보다, 나무 몇 그루가 튼튼히 자라는 게 백 배 나아.” (152쪽)
쳇바퀴에 길드는 동안 쳇바퀴가 좋아졌을까요. 굴레에 갇혀 지내던 어느 날부터 굴레가 익숙해졌을까요. 어두운 곳에 지내다가 어느새 어두움에 눈도 마음도 몸도 익숙해지듯이, 쳇바퀴와 굴레도 얼마든지 익숙하게 지내다가 ‘좋아할 만한 터전’으로 삼고 말까요.
그렇다면, 사람은 누구나 ‘새로운 삶’을 좋아할 수 있고, 새로운 삶에 눈과 마음과 몸을 익숙하게 맞출 수 있습니다. 못미덥고 싫고 달갑지 않으며 고단하다는 삶에도 얼마든지 익숙하게 눈과 마음과 몸을 맞추어서 살아간다면, 새로운 삶에도 얼마든지 익숙하게 모든 힘과 넋을 기울여서 다시 태어날 수 있어요.
마음을 돌릴 때에 비로소 바꿉니다. 마음을 돌릴 때에 비로소 자유와 평화로 나아갑니다. 마음을 돌릴 때에 비로소 사랑과 꿈으로 갈 수 있습니다. 마음을 돌릴 때에 비로소 삶을 새롭게 열고, 빛을 온몸으로 품습니다.
다만, 아쉽게도 만화책 《낮비》에서는 이 대목까지 건드리거나 짚거나 다루지는 못합니다. 쳇바퀴와 굴레에 갇힌 사람들 이야기만 자꾸 되풀이해서 보여주고 맙니다. 4347.6.13.쇠.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시골에서 만화책 읽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