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올린 값은 얼마인가?
두 아이가 바라 마지 않던 바이올린을 두 대 장만한다. 두 아이 이빨을 고치려고 일산에 있는 어린이치과에 들러서 이틀을 쉬고는 아이들 이모와 어울려 놀다가, 문득 ‘바이올린 악기점’ 푯말이 보여, 아무 생각이 없이 찾아가 보았다. 어딘가 스쳐 지나갈 적에 바이올린을 보기는 보았을 테지만, 막상 눈앞에 가까이 두고 바이올린을 찬찬히 들여다본 적은 없다고 느낀다. 구경이라도 해야겠다고, 악기 값이 얼마쯤 되는지 말을 여쭈어야 한다고 느낀다.
악기점 앞에 선다. 아이들은 바이올린을 알아챈다. “어, 바이올린이다! 바이올린이야! 보라야, 저기 봐, 바이올린이야!” 일곱 살 아이가 네 살 동생을 불러 바이올린 앞에 선다. 누나처럼 바이올린을 알아본 네 살 아이는 누나랑 함께 “바이올린! 바이올린!” 하고 노래를 부른다.
얘들아, 악기 값을 아직 여쭙지도 않았는데 노래부터 부르니? 곁님은 아이들 노래를 아랑곳하지 않으면서 리코더 값을 여쭙는다. 작은 리코더 하나 1만 원, 소금 하나도 1만 원, 이렇게 두 개를 장만하기로 한다. 그러고 나서 바이올린 값을 여쭌다. 어른이 쓸 악기가 아니라 아이들이 쓸 악기라고 말하니, 그러면 새 것으로 하지 말고 헌 것으로 하면 된다고 한다. 아이들이 쓸 작은 바이올린으로 헌 것은 9만 원이면 된다고 하는데, 두 아이한테 두 개를 한다면 1만 원을 에누리해 주겠다고 한다.
아직 마음이 서지 않은 채 악기점 앞에서 생각에 잠긴다. 바이올린 한 대를 장만하자면 30∼40만 원은 가볍게 들여야 하지 않느냐 하고 지레 생각하던 일을 떠올린다. ‘그만 한 값은 아니었구나’ 하고 느끼며 생각을 다잡는다. 바이올린 두 대에 17만 원이면 무척 눅은 값이겠다고 느낀다. 그래, 이 바이올린을 우리 집으로 가지고 갈까 하고 생각하는데, 악기점 아주머니가 예비 줄과 새 활을 덤으로 주시겠다고 한다. 악보책까지 하나 덤으로 받는다. 여러모로 선물을 잔뜩 받는다. 악보받침대까지 둘 장만한다. 곁님과 나는 손이 넷이지만, 이 모두를 들기에는 벅차다. 어떻게 할까 망설이는데, 아이들이 제 바이올린은 저희가 들겠다고 나선다. 아이들은 참말 저희 바이올린을 들고 한 시간 넘게 씩씩하게 걸어다닌다. 지치고 힘든 티를 보이면서도 바이올린을 놓지 않고 다부지게 걷는다.
새삼스레 생각한다. 바이올린 값은 얼마인가? 바이올린 한 대를 아이한테 장만해 주면서 어버이는 돈을 얼마쯤 썼는가? 바이올린이라든지 다른 악기를 장만해서 아이한테 선물하는 돈은 우리 삶을 어떻게 가꾸거나 살찌우는가? 4347.6.7.흙.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아버지 육아일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