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 우리말 지킴이 최종규와 어린이가 함께 읽는 철수와영희 우리말 시리즈 1
최종규 지음, 강우근 그림 / 철수와영희 / 2014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전라도닷컴> 2014년 4월에 실린 책소개를 보면,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을 읽고 써 준 느낌글이 있다. 이 느낌글을 쓰신 분은 광주 노대동에서 '책문화공간 봄'을 꾸리신다고 한다. 아름다운 곳을 열어 가꾸시기에,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을 아름다운 눈길로 읽어 주신 뒤에, 느낌글도 아름답게 써 주셨구나 싶다.


그런데,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에서 '나물, 남새, 푸성귀' 이야기를 본문과 부록에서 다르게 적었고, 이 대목을 눈밝은 독자가 알려주어서1쇄로 찍은 책 가운데 책방에 배본한 책을 모두 회수하고, 창고에 있던 책도 모두 그러모아서, '본문에 잘못 적은 대목'을 바로잡아서 새로 찍었다. 그리고, 본문을 바로잡은 책은 어느덧 모두 팔렸고, 즐겁게 2쇄를 찍는다. 2쇄를 찍을 수 있도록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을 장만해서 읽어 준 모든 분들한테 고맙다는 인사를 다시금 올린다. 앞으로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2권도 펴낼 수 있기를 꿈꾼다. 이 책을 10쇄쯤 찍으면 아마 2권도 펴낼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본문에서 딱 한 쪽을 바로잡느라 책을 모두 회수하는 일이란 출판사에 크게 피해를 입힌 일이다. 작가로서 몹시 미안하다. 무엇보다, 본문에서 딱 한 쪽이라 하더라도, 한 쪽에 적힌 한 줄을 제대로 살피지 못해, 본문을 바로잡지 못한 책을 일찍 사들여서 읽은 분들한테 더없이 미안하다.


눈밝은 독자가 있어 고맙다. 그리고, 마음밝은 독자가 있어 사랑스럽다. 나도 앞으로, 생각밝은 작가가 되어 하루하루 새 글을 일구어 새로운 책을 아름답게 펴내자고 다짐한다. <전라도닷컴> 2014년 4월호에 실렸던 정봉남 님 느낌글을 한 글자씩 차근차근 옮겨 본다. 나도 느낌글을 쓸 적에 이렇게 마음밝은 아름다운 글로 쓰자고 새롭게 생각한다.


..


흙에서 자라고 꽃처럼 피어나는 우리말 이야기

― 최종규 씨가 펴낸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전라도닷컴 2014년 4월호 / 글쓴이 : 정봉남)



  바야흐로 봄이라 섬진강을 따라가며 꽃마중을 했다. 살랑이는 바람과 찰랑이는 물결과 그 위를 어룽어룽 놀다 가는 햇살이 고왔다. 아련한 노란 빛의 산수유가, 솔숲 아래 갓 피어난 연분홍 진달래가, 흰 꽃으로 뒤덮인 매화 그늘이 적이 그윽하였다. 숨을 들이쉴 때마다 마음 깊숙이 봄빛이 스며드는 것만 같았다.


  하늘빛, 물빛, 꽃빛이 모두 고와서 마음이 절로 노래를 불렀다. “햇볕은 고와요. 하얀 햇볕은 나뭇잎에 들어가서 풀빛이 되고, 봉오리에 들어가서 꽃빛이 되고, 열매 속에 들어가서 빨강이 되어요.” “노란 빛깔 민들레꽃, 하얀 빛깔 냉이꽃, 보라 빛깔 분꽃, 분홍 빛깔 살구꽃…….” 노랫말을 가만가만 톺아보는 사이에 마음은 시나브로 맑고 환해졌다.



  우리말의 뿌리와 결과 너비를 찬찬히 살펴보게 되는



  신기하게 몸에 스미는 기운에 따라 마음이 거듭난다. 따순 햇볕 누리면서 마음을 따순 기운으로 덥히면 따순 볕과 함께 따순 마음이 된다. 따순 마음이 되면서 따순 말을 꺼낸다. 따순 말을 주고받으며 따순 생각을 길어올린다. 따순 생각이 밑바탕 되어 따순 사랑을 일군다. 이렇게 어느 말이든 저마다 그 삶에서 빚어진 느낌과 생각과 뜻을 간직하고 있다. 그래서 말은 생각을 담아서 주고받는 그릇이고, 살아오면서 스스로 만들어 낸 마음의 집이기도 하다.


  봄날 꺼내든 책은 ‘우리말 지킴이’로 잘 알려진 최종규 씨가 쓰고 강우근 씨가 그림을 그린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이다. “나는 아이들한테 ‘국어사전 말풀이’를 가르치지 않아요. 가만히 마음소리에 귀를 기울인 다음, 마음으로 느끼는 이야기로 말을 들려줍니다. 꽃을 생각하는 동안 내 마음속에 어여쁜 꽃말이 자랍니다. 꽃을 헤아리면서 내 가슴속에 즐거운 꽃그림이 태어납니다. 꽃을 이야기하니 어느새 내 꿈속에 즐거운 이야기 한 자락이 피어납니다.”


  ‘바람 따라 흐르는 말’, ‘불씨로 타오르는 말’, ‘흙에서 일구는 구수한 말’, ‘풀벌레 노래하는 맑은 말’ 같은 주제로 말을 나누고 이백 여 개의 우리말 속에 숨은 이야기를 들려준다. 이를테면 ‘물과 같이 맑은 말’에는 김·냇물·눈먹기·보라·샘·시내·실비·아지랑이, ‘동무들과 아끼는 말’에는 길동무·너나들이·얘기동무·어깨동무, ‘숲에서 가꾸는 푸른 말’에는 멧자락·삶터·온누리·우듬지·푸르다, ‘이웃과 어깨동무하는 말’에는 곁·동냥·한뎃잠·한솥밥, ‘일하며 웃음 짓는 말’에는 두레·심부름·울력·일터·품앗이 같은 말 속에 숨은 이야기들이 흥미진진하다.


  마치 조약돌을 어루만지고 도른도른 흘러가는 시냇물을 만난 기분도 들고, 고물고물 새싹 돋는 봄의 흙 기운같이 말랑하고 푸근한 책이다.


  고흥 동백마을에서 〈사진책도서관 함께살기〉를 꾸리고 있는 최종규 씨는 헌책방 책삶을 북돋우려고 《헌책방에서 보낸 1년》, 《모든 책은 헌책이다》 같은 책을 썼으며, 《사진책과 함께 살기》, 《골목빛, 골목동네에 피어난 꽃》, 《뿌리깊은 글쓰기》, 《생각하는 글쓰기》 등의 책도 펴낸 이다.

  생각을 넓히고 슬기를 빛낼 때 비로소 ‘말’도 배우는 것이라는 그의 생각은, 삶의 본질과 닿아 있다. 말을 통해 우리는 사람들이 겪은 이야기를 듣고, 그 안에 고스란히 담긴 넋을 배우기 때문이다. 좋은 말을 통해 좋은 마음을 일구고 좋은 사람으로 자라나길 바라는 작가의 마음이 말갛게 비쳐진다. 흙에서 자라고 꽃처럼 피어나는 우리말 이야기, 우리말의 뿌리와 결과 너비를 찬찬히 살펴보기에 참 좋다.



  나물과 남새와 푸성귀, 채소와 야채의 차이



  그예 숲의 덤불과 언덕에는 쑥과 냉이가 쑥쑥 돋았다. 잠깐 쪼그려 앉아 캤는데도 쑥이 두 손 가득 넘친다. 봄나들이 잘 하면 눈도 즐겁고 입도 즐겁다. “이렇게 쑥쑥 자라니 쑥이라고 했겠지? 옛날 어른들 말도 잘 만드셨네” 하고 웃다가 쑥이라는 말은 누가 처음으로 썼을까? 하는 엉뚱한 생각을 했다. 수수께끼 같은 말의 뿌리를 누구라서 알 수 있을까. 사람들 스스로 살아가면서 저절로 빚었다고 보는 게 맞을 것이다. 하지만 단군신화에 쑥이 나오는 걸로 보면, 어림잡아도 오천 해 가까이 써 왔구나 헤아리니 와아! 우리가 날마다 쓰는 말의 뿌리, 그 오래되고 깊은 역사가 순간 가슴에 또렷하게 안겨 온다. 대단하다.


  새로운 사실도 알았다. 나물과 남새와 푸성귀, 채소와 야채의 차이다. 들이나 숲에서 스스로 씨앗을 내며 자라는 풀을 사람들이 얻어먹으려 하면 ‘나물’이라 하고, 사람들이 밭에 따로 심어서 거두는 풀을 ‘남새’라 하고, 나물과 남새를 아울러 ‘푸성귀’라고 한다. 우리 겨레는 예로부터 흙을 사랑하고 아끼며 살아왔기에 이처럼 풀을 가리키는 여러 가지 이름이 있는데, ‘채소’는 남새를 가리키는 중국말이고, ‘야채’는 푸성귀를 가리키는 일본말이라는 것이다.


  흔히 그리고 자주 쓰는 말에도 우리말의 생채기들이 보인다. 우리 몸에는 우리 겨레의 유전 정보가 들어 있듯이, 우리말에는 마음 정보가 들어 있다. 이천 년 동안 중국 한자말에 짓밟히고, 백 년 동안 일본 한자말과 미국말에 할퀴어서 상처투성이가 되어 버린 우리말의 처지가 자못 안타깝다. 남의 말을 함부로 끌어들여 뒤섞어 쓰면 겨레의 삶으로 빚어낸 삶과 마음을 온전히 담아낼 수 없다. 우리의 삶에서 스스로 움이 돋고 싹이 나고 가지가 자라난 말을 온전히 배우고, 느낌과 생각과 뜻과 얼을 담아내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우리는 어버이한테서 물려받은 말을 아이에게 물려주고, 그 아이가 어른으로 자라고 나면, 스스로 어버이 되어 새로운 아이를 낳아 다시 말을 물려준다. 따뜻한 말 한 마디로 마음을 어루만지고 따스한 기운이 스며들게 할 수 있다면 우리 아이들이 거친 말의 덤불을 헤치고 나와 흙과 물과 바람의 기운으로 마음이 거듭날 것이라고 믿는다. 수많은 숨결이 섞여 이루어지는 흙, 수많은 목숨을 살리는 흙처럼 우리도 이제 삶에서 배우고 삶에서 움튼 말을 건네주어야겠다.


  오늘 하루 내 입술을 떠난 말은 어디에 어떻게 씨를 내렸을까. 쏟은 말들을 소쿠리에 담듯 건져 보면 오늘 하루는 나에게 어떤 삶이었는지, 마음속으로 어떤 사랑을 품는 하루였는지, 마음밭에 어떤 꿈을 심는 하루였는지 헤아려 볼 수 있지 않을까.


(글쓴이 정봉남 님은 아이 책을 읽는 어른으로, 작고 소소한 것들의 아름다움을 눈밝게 들여다볼 줄 알며 직접 가꾸고 짓는 ‘핸드메이드’의 삶을 사랑합니다. 현재 광주 노대동의 책문화공간 ‘봄’의 대표로 일하고 있습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