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밥그릇 경전 - 2010 제4회 시작문학상 수상작 ㅣ 실천문학 시집선(실천시선) 180
이덕규 지음 / 실천문학사 / 2009년 2월
평점 :
품절
시를 말하는 시 57
손바닥에 새기는 노래
― 밥그릇 경전
이덕규 글
실천문학사 펴냄, 2009.2.16.
시 한 줄이란 무엇일까 하고 생각해 봅니다. 해가 넘어갈 무렵 왁왁거리는 소리가 흘러넘치는 시골집에서 개구리를 떠올리면서 시 한 줄은 어떤 글인가 하고 헤아려 봅니다. 아이들이 깊이 잠든 밤에 홀로 일어나, 어느덧 잦아든 개구리 노래잔치를 가만히 그리면서 시 한 줄은 어떤 글인가 하고 곱씹어 봅니다.
시를 쓰는 사람은 어디에서 살아갈까요. 시를 쓰는 사람은 날마다 어떤 빛을 볼까요. 시를 쓰는 사람은 마음속에 어떤 꿈을 품을까요. 시를 쓰는 사람은 이웃과 어떤 사랑을 속삭일까요.
.. 거센 물살에 떠밀려 치고받히며 만신창이로 구르고 구르다가 / 읍내 개울 옆 순댓국밥집 마당에서 / 다리 부러진 평상 한 귀퉁이를 다소곳이 떠받들고 앉아 있는 닳고 닳은 몽돌까지 .. (머나먼 돌멩이)
시 한 줄은 손바닥에 새기는 노래이리라 생각합니다. 손바닥에 따사롭게 그리는 노래일 때에 시가 되리라 느낍니다. 손바닥에 고즈넉하게 스며드는 노래인 싯말이리라 생각합니다. 때로는 굳은살로 박히고 때로는 아련한 빛으로 젖어드는 노래가 될 시가 되리라 느낍니다.
맑게 웃는 아이를 바라보다가 두 손으로 볼을 살살 어루만집니다. 아이 볼을 어루만진 기운은 오래오래 손바닥에 남습니다. 아이 볼에는 내 손바닥 기운이 두고두고 남습니다. 나는 아이한테서 새로운 숨결을 얻습니다. 아이는 나한테서 새로운 숨결을 받습니다.
시를 쓰는 사람은 둘레에서 온갖 숨결을 얻습니다. 시를 읽는 사람은 시인한테서 갖은 숨결을 받습니다.
.. 볕 좋은 절집 뜨락에 / 가부좌 튼 개밥그릇 하나 / 고요히 반짝입니다 .. (밥그릇 경전)
이덕규 님은 《밥그릇 경전》(실천문학사,2005)이라는 시집을 내놓습니다. 밥그릇을 경전으로 바라보는 눈썰미를 싯말로 풀어놓습니다. 어느 밥그릇이든 경전이 될 수 있다고 느껴 시를 씁니다. 어느 밥그릇이든 삶을 살찌우고 사랑을 북돋우는구나 하고 깨달아 시를 씁니다.
.. 풀을 베다가 낫 끝에 손등을 찍혔다 / 순간, 허옇게 눈뜨는 상처를 / 와락 감싸 쥐고 / 팽개친 낫 앞에 두 무릎 꿇은 채 / 엎드려 여러 번 머리 조아렸다 .. (낫께서 나를 사랑하사)
밥그릇이 경전이듯이, 숟가락이 경전입니다. 빨래비누 한 장이 경전이고, 종이 한 장이 경전입니다. 호미 한 자루가 경전이요, 풀 한 포기가 경전입니다.
온누리 어디를 둘러보아도 경전입니다. 이 땅 어느 곳을 찾아가 보더라도 경전입니다. 우리는 언제 어디에서나 늘 경전을 만납니다. 누구라도 언제 어디에서 날 경전을 마주하면서 새롭게 빛 한 줄기 받습니다.
이리하여, 먼먼 옛날부터 책 한 권 없고 글 한 줄 읽지 못한 시골내기 흙일꾼과 고기잡이는 숲과 들과 바다와 마을에서 경전을 만났어요. 숲이 경전이고 바다가 경전입니다. 들과 냇물이 경전입니다. 절구와 베틀이 경전입니다. 낫과 쟁기가 경전입니다. 박꽃과 찔레꽃이 경전입니다.
.. 개똥 무더기 위에 / 분홍빛 복숭아 꽃잎이 / 팔랑팔랑 날아와 찰싹 / 달라붙었습니다 .. (찰떡궁합)
아침저녁으로 출퇴근을 하면서 고단한 사람이라면, 전철이나 버스가 경전이 됩니다. 택시가 경전이 되고, 고속도로가 경전이 돼요. 손전화도 경전이 됩니다. 텔레비전과 라디오도 얼마든지 경전이 됩니다.
스스로 바라볼 수 있을 때에 느낍니다. 스스로 바라보아 느끼면서 알아차릴 때에 마음에 담습니다. 마음에 담아 살포시 내려놓을 수 있다면, 저절로 노래가 흘러나와요. 저절로 노래가 흘러나올 때 이야기꽃이 피고, 이야기꽃이 피면 뒤따라 웃음꽃이 핍니다.
.. 해마다 봄이 되면 어김없이 들판에는 참 많은 꽃들이 피어나지만 그 이름들을 / 낱낱이 아는 이는 우리 동네엔 아무도 없었다 .. (식물도감을 던지다)
식물도감에도 꽃은 나와요. 그리고, 식물도감 아닌 들과 숲과 골목과 마을에도 꽃은 피어요. 꽃이름은 무엇일까요. 꽃이름은 누가 붙여야 할까요. 학자가 붙이는 꽃이름을 알아야 할까요, 아니면 한의사가 붙이는 풀이름을 알아야 할까요. 시골마을마다 다 다르게 붙이는 이름을 알면 꽃이나 풀을 잘 아는 셈일까요. 꽃이나 풀마다 나 스스로 이름을 붙일 수 있을까요. 내 할머니와 할아버지가 옛날 옛적에 꽃마다 풀마다 나무마다 벌레마다 새마다 짐승마다 다 다르게 이름을 붙여 주었듯이, 오늘 나는 내가 발 딛은 이곳에서 모든 꽃과 풀과 나무한테 새롭게 이름을 붙여 줄 수 있을까요.
손바닥에 이름을 새깁니다. 손바닥에 사랑을 새깁니다. 손바닥에 빛을 새기고, 손바닥에 노래를 새깁니다. 4347.6.7.흙.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시집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