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2136) 선정의 1 : 책 선정의 방법
많은 분들이 공통적으로 어려워하는 그림책 육아의 지점 중 하나를 꼽으라면 단연, ‘책 선정의 방법’을 들겠습니다
《박은영-시작하는 그림책》(청출판,2013) 19쪽
책 선정의 방법
→ 책 고르는 방법
→ 책을 고르는 법
→ 책 고르기
…
보기글을 가만히 살피면, “하나를 꼽으라면”이라는 대목이 있고 “선정의 방법”이라는 대목이 있습니다. 한국말 ‘꼽다’와 한자말 ‘선정’은 서로 같은 뜻이라 할 만합니다. 그러나, 이런 글흐름을 옳게 깨닫는 분이 뜻밖에 퍽 적습니다. 한국말 ‘고르다·가리다·뽑다·추리다·꼽다’를 알맞게 쓸 수 있는 분은 얼마나 될까요. 이와 같은 한국말을 즐겁게 쓰는 분은 얼마나 될까요. 이냥저냥 한자말 ‘선정’에 매달리다가 토씨 ‘-의’까지 얄궂게 붙이지는 않는가요. 4347.4.29.불.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많은 분들이 모두 어려워하는 ‘그림책으로 아이키우기’ 가운데 하나를 꼽으라면 첫째로, ‘책 고르기’를 들겠습니다
‘공통적(共通的)으로’는 ‘똑같이’나 ‘모두’나 ‘다 같이’로 다듬고, “그림책 육아(育兒)의 지점(地點) 중(中)”은 “그림책 육아 가운데 하나”나 “그림책으로 아이키우기 가운데 하나”로 다듬습니다. ‘단연(斷然)’은 ‘무엇보다’나 ‘바로’나 ‘첫째로’로 손봅니다. 한자말 ‘선정(選定)’은 “여럿 가운데서 어떤 것을 뽑아 정함”을 뜻한다고 해요. 한국말로는 ‘뽑다’나 ‘고르다’인 셈입니다.
(최종규 . 2014 - 우리 말 살려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