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을 읽은 어느 독자가 '바지저고리'라는 낱말은 오늘날에도 '바보스러운 사람'과 '시골사람'을 따돌리면서 쓰는 낱말인데, 이런 낱말로 '한복'을 가리키는 자리에 쓰자고 하면 말이 안 된다고 물었기에, 이 물음에 대답하려고 씁니다. 아이들이 아직도 학교에서 이런 낱말로 서로를 따돌리거나 괴롭힌다면 참 안타깝습니다. 그러면, 어른인 우리들이 아이들한테 한국말을 올바로 가르치고 이야기하면서, 바로잡을 대목은 바로잡도록 힘쓸 노릇이리라 생각합니다. 힘쓸 일을 힘쓰지 않으면, 아직도 한국은 일본 식민지라고 할밖에 없습니다.

 

..

 

[말이랑 놀자 10] 바지저고리

 


  예부터 한국사람이 입은 옷은 ‘바지저고리’와 ‘치마저고리’입니다. 바지와 치마는 아랫도리이고, 저고리는 웃도리예요. 그런데,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일본 제국주의자는 한국사람이 입은 ‘바지저고리’를 업신여겼어요. 슬프고 아픈 발자취는 오늘날 한국말사전 뜻풀이에까지 고스란히 남습니다. 게다가 일제강점기에는 ‘도시 문화’가 아닌 ‘시골 문화’였기에, 일본 제국주의자가 한겨레 시골사람을 얕잡거나 깔보는 느낌까지 고스란히 둔 채 해방이 되었고, 이런 말빛을 털어내지 못합니다. 해방 뒤로는 바지저고리를 챙겨 입는 사람이 줄어듭니다. 일본 제국주의가 물러갔지만, 서양옷을 입어야 보란듯이 여깁니다. 여기에 새마을운동이 밀려들며 모두 시골을 떠나 도시로 가서 공장 노동자가 되어야 하는 흐름이 됩니다. 가시내가 입는 치마저고리도, 사내가 입는 바지저고리도 제자리를 못 찾습니다. 하루 빨리 벗어던져야 할 차림새로 여깁니다. “솜을 두어 지은 바지”인 ‘핫바지’를 놓고도 이런 느낌이 같아요. 한국사람은 일본에서 바보스럽거나 어리석은 말이나 짓을 일삼으면 나무라지만, 막상 일제강점기 찌꺼기를 털지 않습니다. 일본 제국주의가 남긴 슬프고 아픈 멍울을 다스리지 못합니다. 오늘날에도 ‘바지저고리·핫바지’를 지난날 일본 제국주의자 눈썰미대로 바라보아야 할까요? 앞으로도 한국사람 옷차림을 한국사람 스스로 업신여기거나 깔볼 뿐 아니라, 시골사람을 깎아내리는 투로 그대로 써야 할까요? 4347.3.30.해.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