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누하동 헌책방 대오서점

 


  나는 헌책방 한 곳을 찾으려고 서너 시간은 가볍게 걸어다니면서 살았다. 어느 날에는 예닐곱 시간을 터덜터덜 걸어다니기도 했다. 언제나 온갖 골목과 동네를 두 다리에 기대어 걸어다니면서 가게를 살피면서 지냈다. 거닐지 않은 골목이 없다 할 만큼 온갖 골목을 다녔으니, 헌책방을 찾으러 골목마실을 하면서 골목동네를 사진으로 찍었으면 얼마나 어마어마한 자료가 모였을까 싶기도 하다. 그렇지만, 내가 ‘헌책방’이라는 데를 찾아다니면서 오직 ‘헌책방’만 사진으로 찍던 무렵에, 김기찬 님이 한창 바지런히 골목 사진을 찍으셨다. 김기찬 님이 골목 사진을 살가이 잘 찍으신다고 여겨, 나까지 굳이 골목을 사진으로 찍을 일은 없으리라 여겼다. 그도 그럴 까닭이, 나는 내 사진감인 ‘헌책방’을 사진으로 찍느라 들이는 필름값으로도 살림이 쪼들려 허덕였다.


  헌책방 한 곳을 찾으려고 온갖 골목을 걷다 보면, 그야말로 아주 아름답고 멋스러운 모습을 자주 본다. 그렇지만, 가방에서 사진기를 꺼내지 않았다. 누군가 ‘골목’을 사진으로 찍으려는 이가 이 골목을 걸어가면서 얼마나 아름다운가 하고 입이 쩍 벌어지면서 사진을 찍으리라 생각했다. 나는 헌책방에서 필름 아까운 줄 잊고 수없이 단추를 찰칵찰칵 눌러야 하니, 제아무리 멋스럽고 아름다운 골목을 만나더라도 필름 한 장 쓰지 않았다.


  이렇게 날이면 날마다 몇 시간씩 골목을 쏘다니면서 ‘아직 사람들한테 제대로 알려지지 않은 헌책방’을 찾아 다리품을 팔던 어느 날, 서울 종로구 누하동 한쪽에서 〈대오서점〉을 만났다.


  헌책방 〈대오서점〉은 내가 만나기 앞서도 오랫동안 헌책방으로 있었다. 이곳을 처음 알아보고 나서 둘레에 여쭈니, 독립문 〈골목책방〉 아저씨도 알고, 홍제동 〈대양서점〉 아저씨도 알았다. 그러나, 그뿐이다. 〈대오서점〉은 서울 시내 소매 헌책방에 책을 대주는 도매 헌책방 노릇을 했다는데, 책을 캐내는 할아버지가 돌아가신 뒤 할머니 혼자 집살림을 도맡느라 책을 캐낼 수 없어, 소매 헌책방 발길이 뚝 끊어지고, 책을 새로 장만하는 길이 없다 보니, 소매 손님조차 거의 찾지 않는다고 했다. 그렇지만, 〈대오서점〉 할머니는 이녁 곁님과 함께 오랫동안 가꾸던 헌책방을 없앨 수 없고, 책시렁도 치울 수 없다고 했다. 새로 갖추어 꽂는 책은 없어도, 이 모습 그대로 건사한다고 했다.


  조그마한 기와집에 깃든 헌책방 〈대오서점〉은 한창 때에는 이웃 ‘옷수선’ 집도 책방이었다고 했다. 책이 그득그득 넘쳐서 어디에도 다 책이라, 그 옛날, 이를테면 1990년대 첫무렵이나 1980년대에만 왔어도 ‘엄청난 사진’을 찍을 수 있었으리라 하고 말씀하셨다. 척 보기에도 그렇겠다고 느꼈다. 그런데, 나는 예전 엄청난 모습이 아니어도 좋다. 할아버지가 가시고 난 자리에서도 이렇게 정갈하게 기와집을 보듬고 큰할머님(내가 대오서점을 처음 찾아간 2002년에 아흔여섯이던 큰할머님)을 돌보던 ‘작은’할머님은 빙글빙글 웃음 띤 얼굴로 책손을 맞이해 주었다. ‘큰’할머님은 조그마한 기와집에서 볕이 가장 잘 드는 방에 앉아서 창문을 살짝 열고, ‘아주 오랜만에 찾아온 책손’이 이녁 며느리와 주고받는 이야기를 귀기울여 들으셨다. 이때, 한 가지 깨달았다. ‘작은’할머님이 헌책방 간판을 내리지 않고, 그저 햇볕에 바래기만 하는 책을 치우지 않은 까닭을.


  나는 이곳 〈대오서점〉 이야기를 2003년에 어느 누리신문에 기사로 올렸다. 어느 누리신문에 기사로 올리고 난 뒤, 이곳으로 사진을 찍으러 찾아오는 사람이 무척 많이 생겼다고 한다. 내가 쓴 글 때문에 일본에서까지 이곳을 취재하러 왔다. 얼마 앞서는 〈대오서점〉을 ‘서울 서촌’에서 몹시 손꼽히는 명소로 다루어 준다고 한다.


  그래, 참 고마운 노릇이다. 그런데 말이다, 이런저런 뭔가를 이곳 〈대오서점〉에 하는 일이 다 좋은데, 2004년이었던가, 서울시에서 무슨무슨 공사를 한다면서, ‘책방을 하는 이곳’ 마당과 문간 모두를 파헤친 채 두어 달 즈음 엉터리로 팽개친 적이 있다. 나는 그때 일을 잊지 못한다. 할매 두 분이 계신 집인데, 집 안팎을 드나들기 어렵도록 땅바닥을 파헤치고는 어지러이 흙투성이를 만들고, 책시렁에 곱게 꽂힌 책들에 흙을 묻힌 그때 모습을 잊을 수 없다.


  〈대오서점〉 할매가 마당에서 김치를 담그고 나물을 다듬으며 고추를 말리던 모습을 아련하게 되새긴다. 이곳에 책손이 없을 적에는 두 할매 속옷을 거리낌없이 척척 마당에 너셨지만, 이제는 속옷 빨래를 마당에 못 너시겠지. 4347.2.9.해.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헌책방 언저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