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슴속에서 글쓰기
2014년 올해로 마흔 살이 되면서 내 글삶을 돌아보니, ‘글을 쓰며 살자’고 다짐한 뒤 스무 해가 넘었다. 이제부터는 글을 쓰며 누린 삶이 글을 안 쓰며 누린 삶보다 길다. 지난날을 가만히 되새기면, 글을 안 쓰며 살던 때에도 ‘글쓰기’를 놓고 여러모로 생각해 보곤 했구나 싶다. 가장 먼저 떠오르는 그림은, 고등학교 1학년 때이다. 내가 고등학생이 되고 얼마 안 있어, 우리 학교 국어교사 한 분이 교사 자리를 그만두었다. 이러면서 아침모임에 모든 학생을 운동장에 불러놓고 ‘퇴임 연설’을 하는데, 이녁은 앞으로 소설쓰기만 하겠다면서 국어교사를 그만둔다고 했다.
그무렵 나는 피식 웃었다. ‘인천’에서 무슨 소설을 쓴다고. 날고 긴다고 하는 놈들 모조리 인천을 떠나 서울로 가서 끄트머리 하나라도 붙잡으려 용을 쓰는데, 꾸준한 벌이를 마다 하고 소설쓰기만 한대서 먹고살 수 있겠느냐 하면서 피식 웃었다. 국어교사 노릇이 무어 힘들다고, 밥벌이를 끊고 글쓰기만 하겠다고 저러할까 하고 생각했다. 1991년이었다.
그런데, 이때 뒤로 ‘학교를 그만두고 소설쓰기만 하겠다는 국어교사’ 이름을 머릿속에 새겼다. 부디 다시 학교로 돌아오지 말고 소설쓰기로만 잘 살아갈 수 있기를 빌었다. 이녁 이름이 붙은 소설책이 널리 사랑받을 수 있는 날을 맞이하기를 빌었다.
이녁은 다시 교사 자리로 돌아가지 않았다. 소설책을 여러 권 냈고, 평전도 몇 권 썼다. 이제는 여러모로 알아주는 작가로 되어 전임교수까지는 아닌 듯하지만, 대학교에서 문학을 가르치기도 한단다.
2008년 가을, 이녁을 다시 만난다. 이때에는 교사와 학생 사이가 아닌, ‘동네이웃’으로서 인천 배다리에서 만난다. 막걸리잔을 앞에 놓고 열일곱 해 앞서 어느 고등학교 운동장에서 느낀 이야기를 들려준다. 이때에 명함을 받으면서 한편으로는 가슴을 쓸어내렸고 한편으로는 서운했다. 전임교수이든 시간강사이든 교단에 서서 누군가를 가르친다고 하면 글을 쓸 겨를이 사라지지 않나? 고등학교 국어교사로 돌아가지는 않았다지만, 예전처럼 ‘밥벌이’ 자리로 돌아간 셈 아닌가?
나도 가끔 밥벌이 때문에 글쓰기를 못 할 때가 있다. 네 식구 먹고살 돈을 벌려고 다른 일을 할 때가 있다. 그렇다고 아무 일이나 할 수는 없어, 앞으로 내가 쓸 글에 밑틀이 될 만한 일거리만 조금 맡곤 한다. 그러나, 아무리 내 글쓰기에 밑틀이 될 만한 일거리라 하더라도, 이 일 때문에 몹시 힘들다. 일이 힘들지 않고, 내가 쓰고픈 글을 쓸 겨를을 가까스로 조금 내야 하니까 너무 힘들다.
글을 쓰려면 글을 써야지, 돈을 벌 수 없다. 아이를 돌보려면 아이를 돌봐야지, 돈을 벌 수 없다. 자전거를 타고 싶은데 정작 자전거 타고 바깥에 나갈 틈이 없어 집안에 ‘자전거 운동기구’를 놓는 분이 있기도 하다. 그래 봤자 ‘자전거 타기’는 되지 않는다.
가슴속에서 우러나오는 대로 살아야 한다. 글을 쓰고 싶으면 글을 쓸 노릇이다. 그래야 글이 글다울 수 있고, 한결같이 내 온 사랑 담아 글을 쓸 수 있다. 이름이 좀 알려져서 대학교수 되거나 이곳저곳에 강의하러 다니면서 돈을 잘 벌면 무엇 하나? 이렇게 하자고 글을 썼나? 돈을 벌려고 글을 썼나? 글을 써서 돈을 벌 수도 있지만, 글을 쓰는 까닭은 글을 쓰고 싶기 때문이다. 삶을 빛내고 삶을 사랑하며 삶을 노래하는 글을 쓰고 싶기 때문에 글을 쓴다. 4347.1.28.불.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삶과 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