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벌에 쏘였다
남호섭 지음, 고찬규 그림 / 창비 / 2012년 11월
평점 :
시를 사랑하는 시 23
동시란 얼마나 쉬운가
― 벌에 쏘였다
남호섭 글
창비 펴냄, 2012.11.30.
동시쓰기란 아주 쉽다고 느낍니다. 왜냐하면, 동시이든 어른시이든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이야기를 씁니다.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이야기가 아니면 어떠한 글도 쓸 수 없습니다. 그런데, 시가 되는 이야기란, 마음속에서 차분하면서 즐겁게 피어나는 꽃과 같아, 마음읽기를 기쁘게 할 때에 솔솔 글로 이루어집니다.
꾸미거나 보태거나 할 까닭이 없습니다. 다듬거나 손질하거나 할 까닭이 없습니다. 꾸민대서 사랑이 되지 않아요. 보탠대서 사랑이 되지 않습니다. 다듬으면 사랑이 빛날까요. 손질하면 사랑이 환할까요. 모과꽃에 붉은 물감을 바르면 한결 곱지 않아요. 감꽃을 커다랗게 늘여야 더욱 곱지 않아요. 모과꽃은 모과꽃 그대로 아름답습니다. 감꽃은 감꽃 그대로 곱지요.
사랑을 꾸밀 수 없듯, 글과 시와 문학 모두 꾸밀 수 없습니다. 가슴속에서 기쁘게 샘솟는 이야기를 깨달아 차근차근 적바림하면 글이 되고 시가 되며 문학이 됩니다.
- 저녁 강가에 우리 선생님 / 가방을 멘 채 / 노을빛에 물들고 있다. // 구름은 잔잔히 흘러가는데 / 오래오래 붉은 나무처럼 서 있다 .. (노을)
글을 쓰자면, 가슴속에서 샘솟는 이야기를 제대로 느끼거나 읽거나 알아챌 수 있어야 합니다. 제대로 느껴야 제대로 적바림합니다. 제대로 읽어야 제대로 씁니다. 제대로 알아채야 제대로 바라봅니다.
숲에 깃들면서 숲바람을 마시지 못한다면, 숲 이야기를 쓰지 못합니다. 바다에 머물면서 바다내음을 들이켜지 못한다면, 바다 이야기를 쓰지 못해요. 아이를 낳아 함께 살아가는 즐거움을 누리지 못한다면, 아이를 사랑하고 돌보는 삶노래를 부르지 못합니다.
동시쓰기란, 어른시쓰기란, 글쓰기란, 언제나 아주 쉽습니다. 누구나 아주 쉽게 할 수 있습니다. 마음을 딴 데 두니 어렵습니다. 마음을 엉뚱한 데에 돌리니 늘 어려울 뿐입니다.
아이가 먹을 밥을 어떻게 차리는지 떠올려요. 이것저것 조미료 잔뜩 쳐서 혀를 건드리면 되나요. 이런 영양소 저런 조리법을 따져야 맛난 밥이 되나요. 마당에서 뜯은 풀 한 줌과 된장 한 숟갈에다가 밥 한 그릇만 있어도 아이는 밥을 맛나게 먹어요. 왜냐하면, 아이들은 ‘배를 채우는 먹을거리’가 아닌, ‘어버이가 나누어 주는 사랑’을 먹기 때문입니다.
동시란, 어른이 아이한테 나누어 주는 사랑입니다. 글빛이나 문학빛이 아닙니다. 글치레나 문학잔치가 아닙니다. 아이들은 ‘동시’라는 틀에 맞추어 사랑을 받아먹습니다. 동시라는 그릇에 어른들이 담은 사랑을 아이들이 하나둘 받아먹어요.
.. 모과 하나 따 들고 / 주호가 내게 왔다 .. (모과)
글치레를 하면 글이 될 수 없습니다. 글‘치레’가 될 뿐입니다. 문장작법을 익히면 ‘문장’‘작법’에 따르는 복제품이 될 뿐입니다. 글쓰기 강의를 들어도 이와 똑같아요. ‘강의’를 들을 뿐, 글쓰기를 하지 못해요. 글쓰기 이론책을 읽어도 이와 같지요. 이론책을 읽었으니 ‘이론’을 알 뿐, 글을 쓸 수는 없어요.
글을 쓰고 싶으면 ‘글이 될 삶’이 ‘어떤 이야기인가’를 깨달아야 합니다. 삶이 없이는 아무 글을 못 써요. 삶이 없다면 어떤 글도 못 써요. 오직 삶을 쓰는 글입니다. 잘난 삶도 못난 삶도 아닌, 나 스스로 누리는 삶을 쓰는 글입니다. 내가 노래하는 삶을 쓰고, 내가 사랑하는 삶을 씁니다. 내가 아끼는 삶을 쓰며, 내가 가꾸는 삶을 씁니다.
어른이 써서 아이한테 내주는 동시란, 어른 스스로 가꾸는 삶이 아이한테도 아름다운 사랑으로 스밀 수 있기를 바라는 꿈입니다. 이쁘장한 사탕과 같은 동시가 아니라, 어른 스스로 아름답게 가꾸는 삶빛이 곱게 드러나는 이야기가 바로 동시입니다.
.. 간밤에 내린 비로 / 숲이 맑다. // 아침 햇살에 / 잎들은 반짝이고 // 나무와 풀과 / 깃든 벌레 / 다들 살아나서 .. (숲)
어버이가 부르는 모든 자장노래가 동시입니다. 어버이가 여느 때에 아이한테 들려주는 말이 모두 노래요 동시이며 동화입니다. 전래동화책을 펼쳐서 읽혀야 동화가 아니에요. 여느 때 여느 자리에서 여느 어버이가 여느 아이한테 들려주는 모든 이야기가 동화입니다.
곧, 동시나 동화란 따로 없습니다. 우리들 어른이 누리는 하루하루가 고스란히 동시이면서 동화입니다. 문학이란 따로 없습니다. 우리들 어른 누구나 하루하루 살아내면서 마주하고 만나는 이야기가 모조리 문학입니다.
그러니, 동시쓰기란 쉽습니다. 아이하고 나누고 싶은 생각을 가만히 헤아려 보셔요. 아이하고 함께 부르고 싶은 꿈을 곰곰이 짚어 보셔요. 아이와 나란히 활짝 웃으면서 두고두고 즐기고 싶은 사랑을 찬찬히 보듬어 보셔요.
.. 뒷집 마당에 / 매화가 활짝 폈다 .. (돌아오실까 돌아가실까)
모든 시와 동시는 우리 가슴속에 있습니다. 우리가 아직 끄집어내지 않았을 뿐입니다. 아니, 우리 스스로 아직 안 느끼거나 못 느꼈을 뿐입니다.
작가나 교수나 평론가 되어야 쓰는 동시가 아닙니다. 모든 어른이 쓰는 글이 동시입니다. 어느 어른이나 쓰는 글이 동시입니다.
동시는 동시이면서 문학이고 이야기이면서 삶입니다. 동시는 동시인 한편 노래요 춤이고 빛입니다. 동시는 동시다운 글이고 밥이자 책입니다.
날마다 먹는 밥처럼, 날마다 즐기는 동시입니다. 마음을 살찌우는 책처럼, 아이와 함께 살아가고픈 길을 밝히는 이야기책 노릇을 하는 동시입니다.
.. 새들도 숲에서는 / 걷는다 .. (새들도)
남호섭 님이 쓴 동시를 모은 《벌에 쏘였다》(창비,2012)를 읽으며 생각합니다. 남호섭 님은 가슴속에서 샘솟는 이야기를 조곤조곤 들려줄 줄 압니다. 그러나, 가슴속에서 샘솟지 않은 이야기를 머리로 지어서 쓰기도 합니다.
굳이 머리로 무언가 뚝딱뚝딱 지어서 써야 할까 모르겠지만, 스스로 이와 같은 삶을 꾸린다면, 이와 같은 동시도 나올 만하다고 느낍니다. 좋고 나쁘고를 떠나, 글쓴이 삶 그대로 동시가 태어나니까요.
새들도 숲에서는 걷습니다. 그렇지요. 그뿐입니다. 그런데, 새들은 숲에서 아주 싱그럽고 예쁘게 납니다. 새들은 숲에서 살며 숲내음을 맡아요. 새들은 숲에서 살며 숲빛을 누려요. 숲에서 어떻게 날아야 하는가를 잘 아는 새입니다. 날개가 커다란 새는 숲에서 좀처럼 날 줄 모르지만, 소쩍새만 해도 숲에서 아주 멋지게 날아요. 작은 새들은 늘 숲에서 바지런히 날아다닙니다.
뒷집 마당에 매화가 활짝 피고, 뒷집 텃밭 둘레에 감꽃이 활짝 핍니다. 모과꽃이 핍니다. 뽕나무꽃이 핍니다. 동백꽃과 후박꽃이 핍니다. 솔꽃이 피고 잣꽃이 핍니다. 치자꽃이 피고 탱자꽃이 핍니다.
그예 바라보셔요. 바라보는 대로 시가 됩니다. 바라보고 느끼는 대로 동시가 됩니다. 바라보고 느끼면서 사랑하는 대로 문학이 됩니다. 바라보고 느끼면서 사랑하는 삶을 누리는 결이 낱낱이 이야기로 거듭납니다.
.. 몇 년 뒤, 만주군 장교 출신 대통령도 죽었다. 십팔 년 동안이나 대통령이었던 사람이 어이없게 자기 부하의 총에 맞았다. 어떤 일본인은 일본 제국의 마지막 군인이 죽었다고 슬퍼하기도 했다 .. (두 청년)
서슬 퍼런 아무개가 권력이라고 하는 한줌조차 안 되는 부스러기를 거머쥔다면서 용을 썼어요. 그러나, 그래 보았자 백 해조차 못 가요. 아니, 쉰 해조차 못 갑니다. 이녁 아이가 권력을 다시 물려받는다 하더라도 얼마 못 갑니다. 열 해나 갈까요. 다섯 해나 갈까요.
그런데, 배롱꽃은 해마다 피어요. 해마다 피며 백 날을 가요. 해마다 백 날씩 배롱꽃이 짙붉습니다. 우리 마을 어귀에 있는 배롱나무를 볼 적마다 얼마나 즐거운지 모릅니다. 지난해에도 그러께에도 즐거웠고, 올해에도 다음해에도 즐거우리라 생각해요. 앞으로 쉰 해나 백 해뿐 아니라, 오백 해 뒤에도 즐거우리라 생각해요.
머리로 짓는 문학은 온갖 비평과 평론을 붙인다 하더라도 길게 간다면 쉰 해쯤 갈는지 모르나, 가슴으로 빚는 이야기는 가만히 두어도 오백 해 천 해는 고이 흐릅니다. 빗물에 무덤이 떠내려간 개구리 이야기는 몇 해쯤 된 이야기일까요.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이야기는 몇 해쯤 된 이야기일까요. 선녀와 나무꾼 이야기는 몇 해쯤 된 이야기일까요. 아마 아무도 모를 테지요. 아무도 모를 만큼 오래되었겠지요.
왜 아무도 모를까 궁금해 하는 어른이 있을까요. 왜 아무도 모를 만큼 오래도록 입에서 입으로 이어지면서 흐르는 이야기일는지 돌아보는 어른이 있을까요.
마음으로 읽으면 모두 알 수 있습니다. 사랑으로 읽으면 모두 알아챌 수 있습니다. 머리로 읽으려 하면 하나도 알 수 없습니다. 머리로 읽으려 하면 온갖 이론책 들추어도 알 수 없습니다.
동시쓰기는 쉽습니다. 마음으로 쓰면 아주 쉽습니다. 동시쓰기는 어렵습니다. 머리로 쓰면 아주 어렵습니다. 동시읽기도 늘 같아요. 머리로 읽으면 언제나 골이 아픈 동시읽기예요. 마음으로 읽으면 언제나 즐겁고, 마음으로 사랑하면 언제나 아름답습니다. 4347.1.28.불.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동시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