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키친 Kitchien 3
조주희 글 그림 / 서울미디어코믹스(서울문화사) / 2010년 6월
평점 :
만화책 즐겨읽기 291
밥을 짓는 꿈
― 키친 3
조주희 글·그림
마녀의책장 펴냄, 2010.6.24.
꿈속에서 밥을 짓습니다. 꿈이 아닌 삶에서도 아침저녁으로 늘 밥을 짓는데, 꿈속에서까지 밥을 짓는 이야기가 흐릅니다. 지난밤 꿈속에서, 나는 대학생도 아니면서 대학교 앞에서 자취를 하는 사람들 집에 놀러가서 엉망진창인 부엌을 치우고 밥다운 밥을 그때그때 지어서 차려 놓고, 마치 우렁각시처럼 그 집을 빠져나옵니다.
지난밤 밥짓는 꿈을 꾸면서, 문득 속으로 내가 무얼 하나 하고 생각합니다. 꿈 아닌 삶에서 우리 집 부엌은 얼마나 말끔하게 치우며 살아가나 하고 돌아봅니다. 설마, 앞으로 열 몇 해쯤 뒤 우리 아이들이 대학생 되어 이렇게 아무렇게나 지내는 자취집으로 찾아가서 밥을 지어 준다는 뜻이려나? 밥을 할 줄도 모르고, 국을 끓일 줄도 모르며, 하다 못해 달걀을 부칠 줄도 모르는 대학생을 바라보면서, 혀를 끌끌 차지는 않아요. 빙그레 웃으며 ‘누구나 이쯤 할 수 있어.’ 하고 얘기합니다. ‘자, 이걸 봐 봐. 이렇게 하면 돼. 어렵지 않아.’ 하고 알려줍니다.
꿈을 꾸면서도 내가 이렇게 부드럽게 말하는 사람이었나 하고 되새깁니다. 그래, 이렇게 보드랍게 말하면 누구나 보드랍게 받아들일 테지, 참말 나는 이렇게 즐거이 노래하며 밥을 지을 적에 스스로 예쁜 삶 짓겠네 하고 느낍니다.
- ‘한 해 묵음 김장 김치와 돼지고기를 넣고 푹푹 끓인 김치찌개. 그동안 얼마나 먹고 싶었는 줄 알아! 동료 유학생들 사이엔 금기시되는 몇 가지 사항들이 있는데, 그 중 하나가 마늘과 김치를 먹지 말 것. 특유의 강한 향이 몸에 남아 현지인들에게 불쾌감을 준다는 것이다. 나도 너네들 시낸와 꼬락내가 얼마나 싫은 줄 알아? 너희도 어디 한번 당해 봐라! 난 먹을 거다! 코리아푸드, 김치찌개!’ (8∼9쪽)
- “하지만 짜고 느끼한 아메리칸 푸드는 도무지. 알잖나, 패스트푸드. 다들 그런 음식만 매일 먹고 살아가고 있으니, 전통음식이 있고 또 그걸 먹을 수 있는 우리들은 행운아인 건가?” (13∼14쪽)
등허리가 뜨끈뜨끈합니다. 잠에서 깹니다. 보일러가 많이 돌아갔나? 바깥은 아직 깜깜하지만, 시곗바늘은 여섯 시 반이 넘습니다. 오늘은 꽤 늦잠을 잤습니다. 마당을 내다봅니다. 어젯밤 뿌옇게 날리던 싸락눈이 모조리 녹았습니다. 그나마 어젯밤은 밤이니 눈 모양으로 조금 쌓일 듯 내렸을 테지만, 아침이 되면서 비로 바뀐 듯합니다. 어젯밤에 잠들며 아침을 두근두근 기다릴 아이들일 텐데, 잠자리에서 일어나 기지개를 켜며 마당을 내다본다면 얼마나 서운해 할까요.
찬바람 휭휭 부는 마당을 바라보면서 ‘밥짓는 꿈’을 다시 떠올립니다. 내 꿈에 나온 모습이지만은 않다고 여깁니다.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 대학생 되는 이 가운데 밥짓기와 빨래하기와 청소하기를 알뜰살뜰 할 줄 아는 푸름이는 거의 없으리라 느껴요. 대학생 아닌 재수생이 되어도 똑같아요. 스스로 밥 차려 먹고 집안 말끔히 치우고 빨래 착착 하면서 입시공부를 새롭게 하는 재수생은 얼마나 될까요. 그리고, 고등학교 마친 뒤 바로 공장이나 회사에 들어가는 푸름이 가운데 집살림 알차게 여미는 아이는 얼마나 될까요.
다들, 고등학교를 마치기까지 집에서 밥짓기를 배우지 않아요. 공장이나 회사에 바로 들어가더라도, 고등학교를 다니는 동안 집과 학교만 뱅뱅 돌아요. 요새는 그나마 도시락조차 안 싸고 학교급식을 먹으니, 아이들이 손수 도시락을 쌀 일조차 없어요. 집에서는 으레 어머니가 차린 밥을 먹을 테지요. 어머니가 빨래한 옷을 입을 테지요. 푸름이들이 학교에 간 뒤 어머니가 치운 방에서 걸레질과 비질 어떻게 해야 정갈한지 하나도 못 보고 모르는 채 자라겠지요.
- “애 셋이나 키운 거. 손주가 다섯이나 있는 거. 다 꿈처럼 느껴진단 말이여. 꿈. 1년에 뭐 며칠이나 봐? 꼬마들 앞세우고 우르르. 한, 하루나 이틀 왔다가 바로 또 싹 사라져. 그러고 가면 내가 혹시 손주들을 꿈에서 본 게 아닌가, 그런단 말여.” (21∼22쪽)
- “군대 간 남자한테서 여자 뺏는 게 인간이 할 짓이냐! 이 나쁜 새끼야! 너도 군대 와서 눈물 질질 짜며 화장실에서 초코파이 씹어 봐야 내 심정 이해할 거다! 이 새끼야!” “나, 면제야.” (37쪽)
예부터 집집마다 손맛을 물려주었어요. 예부터 아이들은 어버이 밥맛을 물려받았어요. 그리고, 어버이 일머리와 일매무새를 물려받습니다. 어버이가 집을 가꾸고 살림을 돌보는 넋을 차근차근 물려받아요. 아이들은 사랑을 받으며 하루하루 자랍니다. 어른들은 사랑을 나누면서 하루하루 즐겁습니다.
대학교에 가야 하는 아이들이 아니고, 취업을 잘 해야 하는 아이들이 아닙니다. 아름답게 자라고, 사랑스레 크며, 즐겁게 살아갈 아이들입니다.
밥집에서 사다 먹으면 되는 밥이 아니에요. 가게에서 사다가 먹으면 되는 주전부리가 아니에요. 내 몸을 헤아려 나한테 가장 알맞고 반가운 밥을 찾아 누릴 아이들입니다. 내 삶을 사랑하고 아끼면서 스스로 삶을 짓고 사랑을 지으며 꿈을 지을 아이들입니다.
- “뭐, 몰랐던 게 한두 가지가 아니지. 엄마한테 못한 일, 동생 구박한 거. 친구들 무시한 거. 정말 웃기게, 다 후회된다. 후회하러 군대 왔나, 거참.” “저도 군대 와서야 알았습니다. 부실한 군대밥이 얼마나 맛있는지, 10분 휴식시간이 얼마나 달콤한지. 소녀시대가 얼마나 예쁜지.” (44∼45쪽)
- “미안, 아밋. 난 좀더 여행길에 집중하고 싶어. 긴 여행중엔 무거운 카펫을 사지 않는 것처럼, 여행자에게 연애는 너무 무거운 짐일 테니까. 그저 이 차이 한 잔 정도의 따뜻한 기억만 가져가는 게 바로, 여행자 스타일이야.” (57쪽)
조주희 님 만화책 《키친》(마녀의책장,2010) 셋째 권을 읽습니다. 조주희 님 만화책에는 남다르거나 놀랍다 싶은 밥 이야기는 흐르지 않습니다. 엄청난 밥솜씨를 보여주는 이야기는 나오지 않아요. 1등을 겨루는 밥솜씨꾼 피 튀기는 싸움이 나오지 않습니다. 우리 둘레 어디에서나 들을 만하고 볼 만한 이야기가 흐릅니다. 누구나 흔히 먹는 밥, 어디에서라도 으레 겪거나 만날 만한 밥을 조물조물 매만져서 이야기 한 가락으로 들려줍니다.
그렇다고 애틋한 추억에 기대어 눈물을 짜게 하지 않아요. 아련한 옛 생각에 젖도록 이끌면서 억지 웃음을 쥐어짜지 않아요. 어제와 오늘이 곱게 이어지고, 오늘과 모레가 나긋나긋 이어져요. 삶을 이루는 밥 한 그릇을 따사롭고 넉넉하게 붙안는 이야기를 만화로 빚습니다.
- “그렇게 회사만 알고 살아온 내 인생이건만, 결국 쫓겨나다니. 지금 난 정체성을 아예 잃어버린 거지. 모두 부질없어. 자넨 이 기분을 알겠나?” “부장님, 이 막걸리 좀 마셔도 되겠습니까?” “저 멍청이 신입 따위에게 내 자리를 내준 건가?” (63쪽)
- ‘엄마는 조십스럽고 안타깝게 납득을 하곤 했다.’ (99쪽)
- ‘자전거를 탄 동생은 바람처럼 나를 앞질러 멀리 멀리 돌아오곤 했다. 내가 보지 못한 세계를 다른 속도로 느낀다는 건 어떤 것일까. 그건 마음속이 아득해지도록 먹먹한 느낌. 그때부터 동생을 완벽하게 이해할 수 없을 거라고, 자전거 타기를 포기하듯 동생과의 공감을 포기해 버렸는지 모르겠다.’ (133쪽)
이 나라 아이들 누구나 밥을 즐겁게 짓는 꿈을 꿀 수 있기를 빌어요. 밥 한 그릇이 되는 쌀이 어떻게 자라고, 볍씨에서 쌀알이 되기까지 따사로운 햇볕과 시원한 빗물과 싱그러운 바람을 얼마나 많이 먹는지 곰곰이 돌아볼 수 있기를 빌어요. 아름다운 밥 한 그릇 지어, 아이들 스스로 먹고, 어머니와 아버지를 불러 함께 나누며, 할머니와 할아버지한테도, 이웃과 동무한테도, 풀과 나무한테도, 작은 벌레와 짐승한테도 골고루 나눌 수 있기를 빌어요.
꿈을 꾸면서 자라요. 꿈을 먹으며 자라요. 꿈을 나누며 사랑해요. 꿈을 가꾸며 스스로 빛이 되어요. 4346.12.20.쇠.ㅎㄲㅅㄱ
(최종규 .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