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 없애야 말 된다
 (393) 선천적 1 : 선천적으로 태어난

 

사람은 선천적으로 아름다운 얼굴로 태어난 사람도 있고, 못생긴 얼굴로 태어난 사람도 있다
《박도-아버지는 언제나 너희들 편이다》(우리문학사,1997) 27쪽

 

  얼굴은 타고 태어납니다. 어버이가 내 얼굴과 몸을 낳아 줍니다. 처음부터 타고서 태어나는 얼굴이요 몸입니다.


  한자말 ‘선천(先天)’은 “태어나면서부터 몸에 지니고 있는 것”을 뜻한다 합니다. ‘선천적(先天的)’은 “태어날 때부터 지니고 있는”을 뜻한다 해요. 곧, 이 보기글처럼 “선천적으로 … 태어난 사람도 있고”처럼 적으면 겹말이 됩니다. 한자말 ‘선천’을 쓰더라도 “선천으로 아름다운 얼굴인 사람도 있고”처럼 적어야 올발라요. 국어사전을 보면 “선천적 재능 때문이라기보다는”과 “선천적으로 약한 체질이어서” 같은 보기글이 나와요. 이 보기글은 “타고난 재주 때문이라기보다는”과 “처음부터 여린 몸이어서”로 손질합니다.

 

 선천적으로 아름다운 얼굴로 태어난 사람
→ 처음부터 아름다운 얼굴로 태어난 사람
→ 태어날 적부터 아름다운 얼굴인 사람
→ 아름다운 얼굴로 태어난 사람
→ 아름다운 얼굴을 물려받은 사람
 …

 

  어버이가 물려주는 얼굴인 만큼, ‘태어날’ 적부터 얻은 얼굴입니다. 태어날 적부터 얻은 얼굴이란 ‘물려받은’ 얼굴이거나 ‘이어받은’ 얼굴이에요. ‘처음부터’ 이러한 얼굴입니다. 잘생기고 못생기고를 떠나 고맙게 받은 얼굴을 고마운 말빛으로 나타내는 길을 하나둘 생각합니다. 4338.12.24.흙/4346.11.28.나무.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사람은 아름다운 얼굴로 태어난 사람도 있고, 못생긴 얼구롤 태어난 사람도 있다

 

..

 


 '-적' 없애야 말 된다
 (1668) 선천적 2 : 선천적으로 타고난

 

저런 능력이야말로 다람쥐들에겐 선천적으로 타고난 거야

《한스 페터슨/김정희 옮김-마티아스와 다람쥐》(온누리,2007) 155쪽

 

  ‘능력(能力)’은 ‘재주’나 ‘솜씨’로 다듬어요. “타고난 거야”는 “타고나”나 “타고나지”로 다듬어 줍니다.

 선천적으로 타고난 거야


→ 처음부터 타고나
→ 하늘에서 타고나지
→ 처음부터 있지
→ 어버이한테서 타고나지
 …

 

  “선천적으로 타고난”은 겹말입니다. 둘 가운데 하나를 덜어야 알맞습니다. 누군가는 ‘타고난’을 덜는지 모르나, 한국말을 올바르고 사랑스레 쓰고 싶은 분이라면 ‘선천적으로’를 덜어 줍니다.


  다람쥐는 나무 잘 타는 재주를 어미 다람쥐한테서 물려받습니다. 어미 다람쥐는 새끼 다람쥐한테 나무 잘 타는 재주를 물려주어요. 타고나는 재주요, 먼먼 옛날부터 하늘이 내려 즐겁게 누리는 재주입니다.


  이 보기글에서는 “다람쥐들한텐 타고나지”처럼 적으면 되는데, 사이에 꾸밈말로 ‘처음부터’나 ‘하늘에서’를 넣을 수 있습니다. 4346.11.28.나무.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저런 재주야말로 다람쥐들한텐 처음부터 타고나지

 

(최종규 . 2013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