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먹을 밥을 하는 마음
내가 차리는 밥은 나도 먹고 옆지기도 먹고 아이들도 먹습니다. 아이들이 노느라 바쁘면 애써 차린 밥이 다 식을 때까지 밥상맡으로 안 모이기도 하는데, 여름날이라면 모르되 겨울날 따순 밥과 국이 다 식도록 밥상맡으로 모이지 않는 날이면, 이내 서운합니다. 애써 차린 밥을 안 먹어서 서운하지 않습니다. 아이들 몸으로 따순 기운이 덜 들어가겠구나 싶어 서운합니다.
함께 살아가는 우리 살붙이 모두 따순 넋 되고 따순 삶 되기를 바라는 이야기를 밥 한 그릇에 담아 아침저녁을 차립니다. 무럭무럭 자라는 아이들 못지않게 날마다 새롭게 자라는 어버이로 살아가고 싶어 아침저녁을 차립니다. 풀을 뜯고, 헹구고, 손질하고, 톡톡 끊거나 썰어서 예쁜 접시에 담습니다. 때로는 김을 장만해서 알맞게 자르고, 국을 끓일 적에는 으레 다시마를 불려서 끓인 뒤 작게 썹니다. 집일을 하며 손가락과 손마디에 굳은살 두껍게 잡히니 뜨거운 냄비이건 그릇이건 아무렇지 않게 집습니다. 뜨겁다고 느끼지 않습니다. 내 어릴 적 우리 어머니 손도 오늘 내 손처럼 굳은살 두껍게 잡히며 단단했어요. 나는 어머니 손을 물려받아 오늘 하루 살아가고, 우리 아이들도 내 손을 이어받으며 저희 하루 살아가겠지요.
아이와 살아가니 아이 먹을 밥을 차린다 할 테지만, 아이가 먹는 밥이란 어버이인 내가 먹는 밥입니다. 서로 먹는 밥이고, 서로 살리는 밥입니다. 아이한테만 이것저것 먹일 수 없어요. 어버이부터 이것저것 먹어야 합니다. 아이한테 고기를 먹이고 싶다면 어버이도 고기를 먹어야지요. 아이한테 풀을 먹이고 싶으면 어버이도 풀을 먹어야지요.
지난날 돌이키면, 나는 풀을 그닥 안 먹는 삶이었습니다. 옆지기를 만나고 아이가 하나둘 찾아오면서, 밥차림에 풀빛이 차츰 늘어납니다. 앞으로 한 해 더 지나면 우리 집 밥차림은 더 푸른 빛이 될 테고, 두 해 더 흐르면 우리 집 밥차림은 한결 푸르게 빛나는 꽃밥 되리라 생각합니다. 앞으로는 나 혼자 아닌 아이들도 나란히 풀을 뜯어서 밥상에 올릴 테니까요.
옆지기가 처음 풀물 짜서 건네던 날을 돌아봅니다. 처음에는 풀물을 마시기 무척 힘들었는데, 이제는 풀물을 아주 잘 마십니다. 처음에는 날푸성귀 씹어서 먹기가 수월하지 않았으나, 이제는 날푸성귀가 가장 맛있어, 들길을 지나거나 숲속을 걷다가도 아무 풀이나 먹음직스럽다고 느끼면 톡톡 뜯어서 입에 넣고 한참 오물거립니다. 봄에도 가을에도 나뭇잎 새로 돋은 자국 보면, “나무야 한 잎만 주라.” 하고 말하면서 새로 돋은 잎을 톡 뜯어서 입에 넣고 오물오물 오래도록 씹습니다. 나무 한 그루 이 땅에 뿌리내려 햇볕과 바람과 빗물을 머금으며 내놓은 싱그럽고 보드라운 푸른 빛을 온몸으로 맞아들입니다.
우리 먹을 밥이란, 우리 살아갈 빛이라고 느낍니다. 밥을 날마다 차리면서, 밥순이 노릇 할 수 있는 하루가 얼마나 즐거우며 대단한가 하고 깨닫습니다. 아이들한테 밥을 먹이며 밥돌이 구실 하는 삶이란 얼마나 놀라우며 아름다운가 하고 느낍니다. 숨을 쉬고, 물을 마시며, 밥을 먹습니다. 볕을 쬐고, 바람을 쐬며, 흙을 만집니다. 사람이 오롯이 사람빛이 되는 삶을 그립니다. 사람이 되는 사람빛이란 어떤 무늬와 결일까 하고 떠올립니다. 우리가 먹는 밥 그대로 우리 몸이 되며 우리 넋과 말과 빛이 됩니다. 나는 우리 아이들 앞에서 삶을 살찌우는 이슬떨이가 됩니다. ‘어버이’라는 이름이 고맙습니다. 4346.11.26.불.ㅎㄲㅅㄱ
(최종규 . 2013 - 삶과 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