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 옷에 구멍 곱다라니
큰아이 입는 잠옷 무릎에 구멍이 났다. 언제 났을까. 엊저녁에 재울 때에 보니 구멍이 제법 크다. 이 추운 날씨에 춥겠네. 아침이 되어 일어나면 이 옷을 벗을 테니 바느질로 기워야겠다고 생각한다. 그나저나, 아침이 되어 바느질을 안 잊을 수 있을까. 바느질을 못 하는 까닭은 ‘아, 맞아, 구멍난 옷 기워야지.’ 하는 생각을 자꾸 잊기 때문이다.
아이들은 어머니나 아버지가 바느질을 하면 옆에 찰싹 달라붙어서 물끄러미 구경한다. 아직 아이들한테 실과 바늘을 건네지 않는다. 손을 더 야무지게 놀릴 수 있을 때까지 기다린다. 일곱 살은 어떨까. 글쎄, 일곱 살은 좀 힘들까. 여덟 살이라면 서슴없이 실과 바늘을 건네겠지.
아이들은 어머니나 아버지가 무언가 새롭다 싶은 집일이나 바깥일이나 할 적에 눈을 동그랗게 뜨며 쳐다본다. 삶을 배운다. 삶에 깃든 사랑을 배운다. 날마다 쌀을 냄비에 받아 헹굴 적에도 날마다 새삼스레 들여다본다. 여러 가지 쌀을 냄비에 골고루 담을 적에는 코를 박으며 냄새를 맡는다. 큰아이가 먼저 냄새를 맡으며 “냄새 좋아.” 하면 작은아이가 누나 따라 코를 박고 냄새를 맡으며 “냄새 좋아.” 하고 말한다. 문득 생각하니, 아이들이 이렇게 “냄새 좋아.” 하고 말해 주기에, 우리 집 밥이 더 맛나고 몸에 좋구나 싶다.
이 밤 지나고 새 아침 찾아와 큰아이가 잠옷 벗어 곱다라니 개어 놓으면, 이 옷을 살며시 집어서 찬찬히 기워야겠다. 아침에 잘 떠올리자. 4346.11.20.물.ㅎㄲㅅㄱ
(최종규 . 2013 - 아빠 육아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