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늘의 아스카 쇼 1
모리 타이시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13년 7월
평점 :
품절

만화책 즐겨읽기 282
가슴 펴고 재미있게 살자
― 오늘의 아스카 쇼 1
모리 타이시 글·그림
김시내 옮김
학산문화사 펴냄, 2013.7.25.
재미있게 살아가야 재미있습니다. 재미없게 살아가면 재미없습니다. 그런데, 재미있는 삶이란 스스로 일구지, 남이 만들어 주지 않습니다. 재미있는 이야기란 스스로 길어올리지, 남이 재미있는 얘기를 들려주지 않습니다.
하루가 재미없다면 스스로 재미없기 때문입니다. 우스갯소리를 한대서 재미있지 않습니다. 우스꽝스러운 춤이나 노래를 불러야 재미있지 않습니다. 우스갯소리는 우스울 뿐이고, 우스꽝스러운 춤이나 노래는 우스꽝스러울 뿐입니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 재미있을까요. 어떤 삶이 재미있는 삶일까요.
- “제 엉덩이를 보는 바람에, 불쾌한 기분이 드셨나요?” “아뇨, 아뇨! 그, 그렇진. 오히려.” “오히려?” “오히려, 그, 기뻤, 습니다.” “그럼 다행이네요.” (9∼10쪽)


내가 나를 좋아하고 아끼면 무엇이든 재미있습니다. 내가 나를 안 좋아하고 안 아끼면 무엇이든 재미없습니다.
꼭 이런 책을 읽어야 재미있지 않아요. 어느 책을 읽든, 스스로 마음을 시원스레 열면서 내 마음을 좋아하고 아낀다면, 늘 재미난 노래 부를 수 있어요. 아무리 재미나다는 책이라 하더라도, 스스로 마음을 꼭 닫고는 이녁 마음을 좋아하지 않고 아끼지 않는다면, 재미난 노래는 퍼지지 못합니다.
웃으면서 밥을 지으면 밥이 맛납니다. 노래하면서 아이들 손을 맞잡으면 저절로 춤이 이루어집니다. 웃으면서 길을 걸으면 마당에서 맴돌이를 하더라도 즐겁습니다. 노래하면서 자장자장 아이들을 재우면 하루가 아름답게 빛납니다.
- ‘속옷은 옷 안에 입는다는 본래 용도가 있는 데 반해, 수영복은 물가에서 입는 게 본래 용도라는 설득력! 과연! 그렇담 반대로 물이 있는 곳이라면 수영복 차림으로 있는 게 부끄럽지 않단 뜻이니까. (45쪽)
- ‘그렇구나. 딱히 이런 데서 한다고, 남한테 보여주고 싶은 건 아니구나. 방해해서 미안하네.’ (78∼79쪽)


모리 타이시 님 만화책 《오늘의 아스카 쇼》(학산문화사,2013) 첫째 권을 읽습니다. 이 만화책은 열다섯 살부터 읽도록 하는 책입니다. 아직 어린 아이들한테는 걸맞지 않다 할 책입니다. 왜 그러느냐 하면, 생각이 얕거나 마음을 제대로 열지 못한 사람한테 ‘이야기샘이 솟는 길’을 느끼도록 하는 책이기 때문입니다. 가슴을 활짝 펴고 재미나게 살아가자는 이야기를 들려주는 만화책인데, 열다섯 살 밑 아이들은 굳이 이 만화책을 읽지 않아도 스스로 즐겁게 하루를 빛낼 만해요.
다만, 이 나라 아이들은 열넷이든 열다섯이든 입시지옥에 일찌감치 시달립니다. 어떤 아이들은 열셋이나 열둘에도 참고서와 문제집 따위에 짓눌립니다. 어버이라는 사람부터 아이들한테 시험교재를 잔뜩 선물하는 짓을 일삼습니다.
아이들이 왜 ‘시험문제 풀이’를 해야 하나요. 아이들은 왜 삶을 못 배우고 시험문제만 풀어야 하나요. 아이들은 왜 사랑과 꿈을 못 키우면서 대학입시만 바라보아야 하나요.
- ‘굳이 혼욕탕에 들어오는 사람은 남녀를 불문하고 정신력이 장난 아니구나! 하지만 이왕이면, 노천 욕탕 쪽도 들어가 보고 싶었는데. ……. 그냥 그 이유만으로도 괜찮지 않나? 알몸을 보고 싶다든가 보이고 싶다든가 그런 건 상관없이, 난 그저 순수하게 이 노천 욕탕에 들어가고 싶은 거야! 그걸로 충분하지 않을까?’ (86∼87쪽)


어른들 스스로 눈을 터야 아이들이 스스럼없이 눈을 트며 삶길 열도록 이끌 수 있습니다. 어른들 스스로 삶 빛내는 길을 씩씩하게 걸어갈 때에, 아이들 또한 스스로 제 삶길 꿋꿋하게 걸어가도록 도울 수 있습니다.
생각해 봐요. 아이들이 집과 학교 사이를 자가용만 타고 다닌다면, 아이들이 무엇을 볼까요. 아이들이 스스로 버스를 타 보지 못한다면, 또 아이들이 집과 학교 사이를 걸어서 다니지 못한다면, 이 아이들은 마을과 이웃을 얼마나 헤아릴 수 있나요. 아이들이 더운 날 더위를 느끼며 집과 학교 사이를 다니지 못한다면, 아이들이 추운 날 추위를 느끼며 집과 학교 사이를 다니지 못한다면, 우리 둘레 숱한 이웃을 어떻게 살갗으로 느껴 받아들일 수 있겠습니까.
맑은 날에는 맑은 하늘 볼 수 있어야 즐겁습니다. 흐린 날에는 흐린 하늘 볼 수 있어야 기쁩니다. 잔뜩 낀 구름을 보고, 티없이 파란 하늘을 볼 때에 마음을 환하게 엽니다. 쏟아지는 빗줄기와 보슬보슬 듣는 나즈막한 빗소리 들으면서 개구리와 풀벌레 노래하는 소리에 젖어들 적에, 아이들 마음은 무럭무럭 자랍니다.

- “치한이세요?” “에에엑? 아, 아뇨. 에엑. 아닌데요!” “아, 죄송합니다! 계속 뒤를 쫓아오시니까. 실례 되는 소릴 해서 죄송합니다!” (107쪽)
- “보는 바와 같이 전 키도 작고, 잘생긴 것도 아니고, 솔직히 장점이라곤 아무것도 없는 녀석이지만, 혹시 괜찮으시면 저랑, 저기, 사귀어, 주시겠어요?” “…….” “죄, 죄송합니다! 이런 시원찮은 녀석이 그쪽처럼 귀여운 애한테, 웃기지도 않는 일이죠! 하핫.” “네? 이런, 얼굴에 드러났나? 죄송해요. 그런 게 아니라, 예를 들어서, 그쪽이 전자제품을 산다고 쳐 봐요. 점원이 ‘이 상품은 솔직히 기능도 적은데다, 성능도 안 좋고, 사용법도 불편하지만 괜찮으시면 사 주세요.’라면서 권하면 사겠어요?” “안 살 것 같은데요.” “자기도 별로라고 생각하는 걸 남한테 권하는 건, 실례라고 봐요. 전 코바야시 씨에 대해 아는 게 하나도 없어요. 그런데 자기 단점만 늘어놓으면 어떡해요! 장점을 더 많이 말해야죠!” (109∼110쪽)
만화책 《오늘의 아스카 쇼》는 ‘아스카’라는 아이가 스스로 삶을 일구려 하는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어른들이 만든 ‘굳은 생각’에 휩쓸리고 싶지 않아, 스스로 삶을 재미나게 누리려는 이야기를 찬찬히 보여줍니다. 늘 걷는 길도 새롭게 걷습니다. 언제나 보는 하늘도 새롭게 봅니다. 곰곰이 따지면, 어느 하나 새롭지 않은 모습이란 없습니다. 열다섯 살 나이도, 열여섯 살 나이도, 참말 꼭 한 번만 겪는 새로운 삶입니다.
못생기고 잘생기고라 하는 틀이란 없습니다. 있고 없고라 하는 틀이란 없습니다. 언제나 그대로 흐르는 삶입니다. 더 좋아하거나 덜 좋아할 대목이 없는 삶이에요. 물과 같이 흐르고 바람과 같이 흐릅니다. 물처럼 맑고 바람처럼 싱그럽습니다. 물처럼 깨끗하며 바람처럼 정갈합니다.
삶을 사랑하기에 하루가 즐겁습니다. 오늘 하루 아끼는 넋이기에 언제나 재미있습니다. 걸레질도 재미있고 빨래도 재미있습니다. 비질도 재미있으며 설거지도 재미있어요. 아이들 놀이를 가만히 지켜보아도 재미있고, 아이들 손을 잡고 달리기를 하거나 공놀이를 해도 재미있습니다.
재미있지 않을 삶이 있을까요? 재미있지 않을 사랑이 있을까요? 아이들을 학교에 가두지 않으면, 아이들을 시험공부로 옥죄지 않으면, 또 어른들 스스로 돈벌이에 휘둘리지 않으면, 이리하여 어른들 스스로 물질문명에 사로잡히지 않는다면, 우리 삶은 언제나 재미있습니다. 4346.11.14.나무.ㅎㄲㅅㄱ
(최종규 . 2013 - 만화책 즐겨읽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