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 취재 책읽기

 


  올 2013년 봄부터 부산 보수동 헌책방골목 ‘홍보대사’ 노릇을 한다. 헌책방과 헌책방골목을 널리 알리는 일이란 예전부터 늘 하던 일이라 새삼스럽지 않지만, 이제는 공식으로 이 일을 하는 만큼, 신문·방송사 취재를 받아야 한다. 부산 보수동 헌책방골목을 한결 널리 조금 더 깊이 알리려고 책을 하나 부산에서 내놓으면서, 저절로 여러 매체에서 취재를 하자고 연락한다. 내가 쓴 내 책이라 할 테지만, 나로서는 헌책방골목 알리려는 뜻에서 헌책방골목 주최로 내는 책이니, 이런 취재 연락을 섣불리 손사래치지 못한다. 서재도서관을 인천에서 열어 충주를 거쳐 고흥으로 오는 동안 어떠한 신문·잡지·방송사하고도 따로 취재를 받지 않았지만, 이번에는 받아들인다.


  2013년 부산 보수동 헌책방골목 책잔치는 10월 18일부터 10월 20일까지 열렸다. 이 책잔치를 놓고 몇 가지 신문에서 기사를 써 주었는데, 막상 취재 연락을 한 곳은 오직 〈조선일보〉 한 군데이다. 취재를 안 하고 보도자료로만 기사를 쓴 신문사가 몇 군데 있는데, 보도자료를 받고도 기사를 안 써 준 신문사가 더 많다. 취재를 안 하고 보도자료로만 기사를 쓴 신문사들은 보도자료조차 제대로 베껴쓰기를 하지 못했는데, 취재 연락을 한 〈조선일보〉 기자는 이번에 내가 쓴 책을 다 읽고 나서 취재를 했다.


  〈조선일보〉라는 신문은 ‘ㅈㅈㄷ(조중동)’ 가운데 하나이다. 적잖은 사람들한테서 손가락질 받는 신문이다. 나로서는 잘 모르는 노릇인데, 그동안 겪은 일과 둘레 책마을 사람들한테서 듣기로, 〈조선일보〉 기자가 책 이야기를 쓸 적에는 참 잘 쓴다고 느끼고, 둘레 사람들도 이렇게 말한다. 곰곰이 생각해 본다. 왜 ㅈㅈㄷ 가운데 하나인 〈조선일보〉 기자는 책 이야기를 기사로 잘 쓸 수 있을까?


  이번 부산 보수동 헌책방골목 책잔치 기사와 얽히기도 하며 느끼는데, 〈조선일보〉 기자는 책 이야기를 쓸 적에 웬만하면 ‘책을 다 읽고’ 기자 스스로 느끼는 마음을 글로 담는다. 이와 달리 거의 모든 일간신문 기자는 ‘책을 안 읽고’ 글을 쓰며, 글을 쓰더라도 이녁 마음을 꾸밈없이 안 담기 일쑤이다. 또 하나, 〈조선일보〉 기자들은 사람들한테서 손가락질 많이 받는 줄 언제나 느끼면서 ‘책을 쓴 작가와 책을 펴낸 출판사가 어떤 마음으로 이런 책을 내놓았는지’ 하는 대목을 더 찬찬히 읽어서 글로 담으려고 마음을 기울인다. 다른 신문사 기자들은 ‘책을 다 읽고 기사를 쓰더’라도 이 대목까지는 마음을 기울이는 자국을 찾아보기 어렵다.


  부산 보수동 헌책방골목 책잔치가 이루어지는 동안 ‘조선일보에 난 기사를 보고 보수동에 찾아왔다’고 말하는 사람을 무척 많이 만났다. 〈한겨레〉나 〈경향신문〉에 기사가 났어도 이렇게 찾아올 수 있었을까? 아마, 찾아오려면 찾아올 수도 있었으리라. 그런데, 〈한겨레〉나 〈경향신문〉은 올해뿐 아니라 지난해에도 그러께에도 부산 보수동 헌책방골목 책잔치 이야기를 제대로 짚어 준 적이 없다. 아니, 지난 열 해를 더듬어 보아도 두 신문은 보수동 헌책방골목 이야기를 제대로 짚은 일이 아예 없다.


  슬픈 일인지 안 슬픈 일인지 모르겠는데, 〈조선일보〉 기자한테서 취재 연락이 오면 마음이 놓이는 대목이 있다. 이 신문사 기자하고 취재를 하고픈 마음은 하나도 없지만 마음은 놓인다. 왜냐하면, 나는 〈조선일보〉 기자한테는 뻗댈 구석이 있다. 언제나 〈조선일보〉 기자한테 하는 말이 있다. “내 책을 다 읽지 않았으면 나한테 취재하려고 하지 마셔요.” 하고. 그런데, 〈조선일보〉 기자는 언제나 내 책을 다 읽고 다시 연락을 한다. 다른 신문사 기자한테도 이 말을 똑같이 하는데, 다른 신문사 기자들은 여태 “바쁘서요.” 하고 핑계를 대며 내 책을 열 쪽이건 한 쪽이건 제대로 읽지도 않으면서 취재를 하겠다고들 설레발을 친다.


  ㅈㅈㄷ을 손가락질하기 앞서 다른 신문사 기자들 매무새를 손가락질할 수 있기를 빈다. ㅈㅈㄷ을 손가락질하자면, 다른 신문사 기자들이 어떤 모습으로 취재를 해서 글을 쓰는지 알고, 다른 신문사 기자들이 똑바로 일하게끔 다그치거나 꾸짖을 수 있기를 빈다.


  나는 ㅈㅈㄷ 신문도 안 읽지만, 〈한겨레〉도 〈경향신문〉도 읽지 않는다. 발로 뛴 글을 찾기 어렵고, 손품 팔아 책을 찬찬히 통독이나 정독을 하는 몸가짐도 찾기 어려우며, 마음을 기울여 사랑스레 쓰려는 빛도 찾기 어렵다. ㅈㅈㄷ 신문을 손가락질하고 싶다면, 적어도 〈조선일보〉 기자가 취재를 하는 매무새, 〈조선일보〉 기자가 책을 읽고 살피며 마음을 기울이는 몸가짐 가운데 터럭만큼이라도 좇는다든지, 아니면 더 훌륭하거나 아름다운 모습을 보여야 옳지 않겠는가. 책마을을 놓고 볼 적에, 〈한겨레〉와 〈경향신문〉 기자들이 어디에서 무엇을 하는지 아무것도 모르겠다. 4346.10.24.나무.ㅎㄲㅅㄱ

 

(최종규 . 2013 - 삶과 책읽기)

 

..

 

조선일보 기사 들여다보기

 

제 사진은 제 사진기로 조선일보 기자가 찍어 1주었습니다.

내 사진 찍어 주는 사람이 없어 사진기 빌려주어

찍도록 했습니다. 이궁.... ㅠ.ㅜ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3/10/17/2013101700007.html

 

"피처럼 책이 도는 풍경, 헌책방에서만 볼 수 있죠"

 

입력 : 2013.10.17 03:03 박돈규 기자

'헌책방 사진작가' 최종규씨…

15년 동안 순례하며 렌즈에 담아

 

 


	사진작가 최종규씨.
최종규씨는“부산 보수동 책방골목은 옆에 찻길이 없어 천천히 걸어 다니며 책시렁을 살필 수 있는 곳”이라고 했다. /박돈규 기자
서울 신촌의 헌책방 '숨어있는 책'에서 사진작가 최종규(38)씨를 만났다. 지하 1층 바닥부터 천장까지 헌책이 빈틈없이 알뜰하게 쌓여 있다. '책 진열의 경제학'이다. 아직 풀지 않은 책 꾸러미도 여럿 보였다. 1992년부터 전국 헌책방을 순례했고 1998년부터 그 풍경을 카메라에 담아온 최씨는 "헌책방에서 '보물'을 건지려면 좋은 책을 알아보는 머리와 옮길 수 있는 힘, 두 가지가 필수"라며 책 묶는 법부터 일러줬다.

"끈으로 묶을 때는 서른 권이 딱 알맞아요. 십자 매듭으로 야무지게 여러 번 묶고 매듭은 옆에 지어야 합니다. 막 던져도 풀리지 않을 만큼 단단하게, 손가락 하나 들어갈 틈만 남기는 게 좋지요."

헌책방은 그에게 교실이자 세상이다. "헌책방에서 책을 손질하고 아끼는 법을 배웠다"고 했다. 많이 안 팔렸다고, 절판됐다고 값어치가 없는 게 아니다. "헌책방에서 발견한 2000~3000원짜리 낡은 책 한 권이 마지막일 수도 있기에 소홀히 다룰 수 없다"는 것이다. "헌책방에 가는 즐거움은 수십 가지 있지만 우선 조용해서 좋아요. 천장까지 책으로 막혀서 소리가 퍼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대형 서점은 정신 사나워서 못 가요."

최씨는 전남 고흥에 산다. "나오지 않겠다는 각오로 일부러 멀리까지 갔다"고 했다. 이사할 때 옮긴 책이 5t 트럭 5대 분량. 어림잡아 10만권쯤 된다. 고흥에서 폐교(廢校)를 빌려 '사진책도서관 함께살기'를 만들었다. "내 서재인 셈"이라며 싱글벙글했다.

'모든 책은 헌책이다' '우리말과 헌책방'을 쓴 이 헌책방 책지기가 이번엔 '책빛 마실'을 펴냈다. 부산 보수동 책방골목의 지난 10년 풍경과 이야기를 담았다. 그는 "헌책방 숫자야 서울이 많지만 골목 하나에 뭉치기로는 부산 보수동이 으뜸"이라면서 "헌책방 골목이 우리에게 어떤 구실, 어떤 몫, 어떤 이야기를 하는지 알리고 싶었다"고 했다. 오는 18~20일 보수동 책방골목에선 열 번째 책 잔치가 열린다.

헌책방을 좋아하는 사람은 헌책방 이야기를 잘 안 한다. 헌책은 딱 한 권뿐일 때가 잦아 남에게 빼앗길 수 있어서다. 최씨는 독립문 '골목책방', 용산역 '뿌리서점', 신촌 '숨어있는 책', 연대 앞 '정은서점', 동작구청 앞 '책방 진호'를 서울 최고의 헌책방으로 꼽았다.


	최종규씨가 찍은 부산 보수동 책방 골목.
최종규씨가 찍은 부산 보수동 책방 골목.
"집 가까이에 헌책방이 있다는 것은 축복입니다. 책을 파는 사람과 사는 사람이 있다는 증거지요. 피처럼 '책이 돈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헌책방이 없다면 폐지 처리장으로 갈 거예요. 없어지는 책을 모아 보관하고 사진에 담으며 헌책이 들려주는 이야기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


나는  '우선'이라는 한자말 안 쓰고 '기록하고 있습니다'처럼 '-고 있다' 같은 현재진행형 말투를 안 씁니다. 그래도 이럭저럭 기사는 잘 담아 준 듯하다고 느낍니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보슬비 2013-10-24 22:27   좋아요 0 | URL
정말 그렇게 많은 사진을 찍으셨으면서 본인 사진은 찍을수가 없었네요.
벼리가 좀 더 크면 아빠 사진을 담을수 있을까요. ^^

그러고보니 함께살기님께서 출간한 책들을 찾아봐야겠다는 생각을 지금까지 하지 못했었네요. 출간하신 책중에 읽고 싶은 책이 보여 도서관에 검색해보니 다른 도서관에 있는데, 그 책은 책배달이 안되더라구요. 그래서 집근처 도서관에 신청했어요. 어떤 책인지는 나중에 대출할때 알려드릴께요.^^

숲노래 2013-10-25 05:53   좋아요 0 | URL
벼리는 한동안 사진찍기 놀이 많이 하다가
이제는 다른 재미난 놀이가 많아서
안 찍더라고요 ^^;;;;

제 책도 즐겁게 읽어 주셔요~~ ^^

무해한모리군 2013-10-25 13:18   좋아요 0 | URL
함께살기님 이리 사진으로 뵈니 반갑습니다.
저도 신문을 받아보진 않지만 밥집에서 가끔 살펴볼 기회가 있는데
조선일보는 문화면 전체가 다른 신문보다 문체나 내용면에서 충실해보였습니다.

함께살기님 책은 집에도 두권있는데(우연히도 두권 모두 헌책방에서 구입하였습니다) 볼때마다 사진도 참 좋고, 저처럼 맞춤법조차 엉망인 인간은 존경의 마음으로 읽게됩니다.

숲노래 2013-10-26 10:08   좋아요 0 | URL
저도 조선일보는

아버지 집에 찾아가는 명절 때,
바깥에서 볼일 보며 밥집에서 밥을 먹을 때,
책일 때문에 서울에 있는 출판사에 갈 때,

이럴 때만 들추는데,
출판사 사무실에 잔뜩 쌓인 여러 신문들 뒤적이며
책 지면을 볼라치면...
좀 많이 슬프게도
ㅎ이나 ㄱ신문은 많이 뒤떨어지거나 딸리더군요.
왜 이렇게도 힘이 들까요.
정 힘이 들면 '책 한 권만이라도 알뜰히 읽고
보도자료에 안 기대는 서평'을 쓰면 될 텐데요.

아무튼... 제 사진기로 사진을 찍혔기에
모처럼 저도 제 사진 한 장을 건졌습니다 ^^;;;;